"선원전 은제기 목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
잔글 (→선원전의 제례) |
||
29번째 줄: | 29번째 줄: | ||
===선원전의 제례=== | ===선원전의 제례=== | ||
− | 선원전은 일종의 왕실 가묘와 같은 공간으로서 왕의 초상화인 어진을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장소였다. 이곳에서는 | + | 선원전은 일종의 왕실 가묘와 같은 공간으로서 왕의 초상화인 어진을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장소였다. 이곳에서는 어진으로 모셔진 왕의 탄신일에 [[작헌례]]와 [[다례]]가 행해졌는데 영조 연간에는 숙종의 탄신일 작헌례가 행해졌고 다례는 정조 연간 숙종과 영조 탄신일에 처음 행해졌다. 이후 매년 작헌례와 다례가 번갈아 시행되었다. 행례의 시기가 기일이나 명절이 아닌 탄신일에 행해진 까닭은 선왕이 살아 계실 때처럼 모신다는 사친(思親)의 정을 강조하기 위함으로 추정된다. <ref>유재빈, 「특집 : 조선후기 어진 관계 의례 연구; 의례를 통해 본 어진의 기능」, 『미술사와 시각문화』 10, 2011</ref> |
===선원전 은제기 목록 저술 배경=== | ===선원전 은제기 목록 저술 배경=== |
2017년 12월 12일 (화) 15:05 기준 최신판
선원전 은제기 목록 | |
한자명칭 | 璿源殿銀祭器目錄 |
---|---|
영문명칭 | A list of silver utensils |
작자 | 미상 |
간행시기 | 1778년 |
소장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청구기호 | 1896 |
유형 | 고문서 |
크기(세로×가로) | 36.2×200.2㎝ |
판본 | 필사본 |
수량 | 1장 |
표기문자 | 한글 |
목차
정의
1778년(조선 정조 3), 선원전을 보수하면서 은 제기의 목록을 정리한 기록이다.
내용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창덕궁 선원전(璿源殿) 제2실에 선왕(영조)의 어진을 봉안할 때, 제1실과 제2실의 제기를 개수하고, 은제기(銀祭器)를 개조한 뒤 각 실에 있는 은제기의 종류·수량·무게를 적어둔 것이다. 일실에는 '면기' 등 10종 37기, 이실에는 일실의 10종 외에 '벼오병'을 더하여 38기로 정하였다. 마지막에는 일실과 이실의 제기의 합을 정리하였다. 서체로 보아 정조의 친필 또는 정조의 필체를 모방한 사자관의 글씨로 추정된다. '우리'와 같이 종묘제례에 사용하지 않는 제기가 명시되어 있어 선원전 다례에 소용된 것으로 보인다. 선원전에는 임진왜란 이후 남아 있는 숙종, 영조, 정조, 순조, 문조, 헌종까지 모두 여섯 국왕의 어진(御眞)을 모시고, 각 탄일(誕日)에 다례를 올렸다. 태조의 어진은 고종대에 봉안되었다.1778년(정조2) 1월 20일 『승정원일기』 기사에 은기(銀器)로 개수한 기록이 있어 이 무렵 필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1]
선원전의 제례
선원전은 일종의 왕실 가묘와 같은 공간으로서 왕의 초상화인 어진을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장소였다. 이곳에서는 어진으로 모셔진 왕의 탄신일에 작헌례와 다례가 행해졌는데 영조 연간에는 숙종의 탄신일 작헌례가 행해졌고 다례는 정조 연간 숙종과 영조 탄신일에 처음 행해졌다. 이후 매년 작헌례와 다례가 번갈아 시행되었다. 행례의 시기가 기일이나 명절이 아닌 탄신일에 행해진 까닭은 선왕이 살아 계실 때처럼 모신다는 사친(思親)의 정을 강조하기 위함으로 추정된다. [2]
선원전 은제기 목록 저술 배경
『승정원일기』에는 '선원각의 제물들은 내간에서 갖추어 준비하므로 제기의 수가 일정하지 않아서 많게는 백 개에에 이르기도 했는데 정조가 내간에게 물어 제기 가운데 다례, 작헌례와 관계가 깊지 않은 것은 빼서 46가지 이하로 줄이고 재기의 도식을 정한 후에 크기를 맞추게 하였다. 또 2실의 제기를 조성할 때에 1실의 제기도 같이 은으로 개수하여 영구히 보존되도록 하였다'는 기사가 있어, 은제기를 정리·개수하고 목록을 만든 배경을 알 수 있다.[3] 이 자료는 내간, 즉 여성들의 거처하던 곳에서 제기를 개수하면서 작성한 목록이므로 사용상의 편의를 위해 한글로 쓰여진 것으로 추정된다.
지식 관계망
- 제례 관련 한글고문서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선원전 | 선원전 은제기 목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선원전 은제기 목록 | 내간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선원전 | 영조 어진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영조 어진 | 영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선원전 | 숙종 어진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숙종 어진 | 숙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선원전 | 정조 어진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정조 어진 | 정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선원전 | 순조 어진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순조 어진 | 순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선원전 | 문조 어진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문조 어진 | 문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선원전 | 현종 어진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현종 어진 | 현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선원전 | 태조 어진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태조 어진 | 태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선원전 | 고종 어진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고종 어진 | 고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작헌례 | 선원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다례 | 선원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간정보
시간 | 내용 |
---|---|
1778년 | 선원전 은제기 목록이 간행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39197 | 127.054387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선원전 은제기 목록이 소장되어 있다. |
주석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194쪽.
- ↑ 유재빈, 「특집 : 조선후기 어진 관계 의례 연구; 의례를 통해 본 어진의 기능」, 『미술사와 시각문화』 10, 2011
- ↑ 『승정원일기』 중종 2년(1788년) 1월 20일. 온라인 참조:',
『승정원일기』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최종확인: 2017년 04월 21일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이강근, 「조선후기 선원전(璿源殿)의 기능과 변천에 관한 연구」, 『강좌미술사』 35,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학회, 2010
유용한 정보
- "선원전과 제주 감귤", 『공감신문』, 작성일: 2017년 01월 0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