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정의) |
|||
(사용자 6명의 중간 판 8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한글고문헌 샘플 | {{한글고문헌 샘플 | ||
− | |이미지= | + | |이미지= 한글팀 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 01.jpg |
|대표명칭= 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 | |대표명칭= 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 | ||
|한자명칭= | |한자명칭=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영문명칭= A record of land trades and trade procurement issued to servant Ilbok of Yun family from servant Chulsaeng | |영문명칭= A record of land trades and trade procurement issued to servant Ilbok of Yun family from servant Chulsaeng | ||
|작자= 상전 | |작자= 상전 | ||
− | |작성시기= 1696- | + | |작성시기= 1696-1697년 |
|간행시기= 조선후기 | |간행시기= 조선후기 | ||
|간행처= | |간행처= | ||
− | |기탁처= | + | |기탁처= 해남윤씨 녹우당 |
− | |소장처= 장서각 | + |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청구기호= | |청구기호= | ||
|유형= 고문서 | |유형= 고문서 | ||
|크기(세로×가로)= 41.7×38㎝ | |크기(세로×가로)= 41.7×38㎝ | ||
− | |판본= | + | |판본= 필사본 |
|수량= 1章 | |수량= 1章 | ||
|표기문자= 한글, 한자 | |표기문자= 한글, 한자 | ||
− | |필드수= | + | |해독문= |
+ | |해독문2= | ||
+ | |필드수= 12 | ||
}} | }} | ||
</noinclude> | </noinclude> | ||
− | ==정의== | + | =='''정의'''== |
− | [[노 출생]]이 [[ | + | 1696년(조선 [[숙종]]22) 12월 2일에 [[노 출생]]이 [[윤두서|윤 진사]] 댁 노 일복 에게 전답을 매매할 때 발급한 명문을 붙여놓은 자료이다. |
− | ==내용== | + | =='''내용'''== |
− | + |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 |
+ | 1696년 12월 2일에 상전이 [[노 출생|노비 출생(出生)]]에게 전답의 매매를 위임하면서 발급한 배지(牌旨)와 1697년 2월 12일에 노비 출생이 윤진사댁 [[노 일복|노비 일복(日福)]]에게 전답을 매매할 때 발급한 명문(明文)을 붙여놓은 자료이다. 상전은 출생에게 전답 매매를 당부하고 위임하는 내용의 배지를 한글로 작성해주었다. | ||
+ | 출생은 상전의 배지에 따라 윤진사댁 노 일복(日福)에게 현산면(縣山面) 백야지(白也只) 당악원(堂岳員)에 있는 이자(李字) 밭 종피(種皮) 5마지기를 상전댁의 배지와 함께 정조(正租) 5석(石) 15두(斗)의 가격으로 매매하였다. 당시 전답을 매매할 때 반노(班奴) 생이(生伊)와 반노 이학(李鶴)이 증인과 증보(證保)로 참여했고, 승려 탄잠(坦岑)이 문서를 작성하였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116-117쪽.</REF> | ||
− | == | + | ===장서각 금요강독회 내용=== |
− | + | 1682년 사노 출생이 윤진사댁 노비인 일복(日福)에게 논을 팔기 위해 매매명문을 작성한 사람이 ‘[[반노 이학|사노(私奴) 이학(李鶴)]]’이다. 사노 출생과의 관계는 ‘동생제(同生弟)’이다. 1706년에 ‘[[이학|노(奴) 이학]]’이 윤니산댁에 논을 파는 매매명문에 증인으로 그의 ‘동생장형(同生長兄)’인 ‘[[출생]]’이 확인된다. 이를 보면 출생에게는 여러 형제가 있었고 그가 장남이었다. | |
+ | 1709년 [[이신철|이신철(李信哲)]]이 박생원댁의 노비 [[연백(連白)]]에게 논을 파는 문서에서 증인으로‘동생형 [[이출생|이출생(李出行)]]’이 기재된 것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출생은 최소 3형제 중 장남이었으며 모두가 노비 신분이다가 18세기 즈음에 ‘이씨’성을 갖게 된 것으로 보인다. 출생이 성을 가졌다고 종의 신분에서 벗어나 평민이나 그 이상이 되었다고 단정하기는 다소 무리가 있다. 출생은 18세기 즈음 상전의 성을 따라 이출생이 되어 사회적으로 행세하기 시작했다고 추정할 뿐이다. | ||
− | + | - 상전: 상전의 성은 물론이고 이름까지도 정확하게 기재되어 있지 않다. 출생이 18세기에 그의 성을 ‘이씨’로 밝히고 있고, 당시 노비들이 상전의 성을 따르는 사례가 있었음을 볼 때 이씨였을 가능성이 있다. | |
− | + | ||
− | + | - 니산댁(尼山宅): 조선왕조실록에는 1678년(숙종 4) 어명에 따라 [[윤이석|윤이석(尹爾錫, 1626-1694)]]을 특별히 6품으로 승진시키고 이산현감에 제수한 기록이 확인된다. 이로 본다면 ‘니산댁’은 곧 윤이석이 이삼현감을 지낸 사실을 지칭한다고 볼 수 있다. 해남윤씨종가의 [[윤이석]]이 이산현감을 지내면서 그 종가는 ‘[[윤니산댁]]’으로 통칭되었으며, 그가 세상을 떠난 후에도 그 택호는 그대로 남아 그를 기렸다. (니산: 충남 논산의 옛 이름) | |
− | + | ||
− | </ | + | - 의호(儀浩): 배지에는 ‘녯죵 의호’로 기록되고 문서 ‘儀浩’와 ‘義浩’로 확인된다. 해남윤씨 종가 자료 중 1629년에서 1672년 사이에 13건에서 확인된다. 특히 1672년의 배지와 매매명문에서는 당시 이미 세상을 떠난 것으로 밝히고 있다.<REF>[http://jsg.aks.ac.kr/home/event/conferenceView.do?searchCondition=&searchWord=&page=2&idx=37 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 강독자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금요강독회, 2016.12.09, 정수환』<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 {{연계자원정보 | ||
+ | |연계자원1= [[해남윤씨 토지매매명문]] | ||
+ | |연계자원2= [[해남윤씨 배지 - 상전 이씨가 그의 종 출생에게]] | ||
+ | |연계자원3= | ||
+ | |연계자원4= | ||
+ | |연계자원5= | ||
+ | }} | ||
+ | |||
+ | =='''지식 관계망'''== | ||
+ | *'''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053/A053.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A212/A212.htm 전답매매 관련 한글고문서 지식 관계망]''' | ||
− | == | + | ===관계정보=== |
− | {|class="wikitable sortable"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 | | | + | | [[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 || [[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 배지]]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 + | | [[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 || [[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 명문]]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 + | | [[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 배지]] || [[상전]] || A는 B에 의해 지어졌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 + | | [[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 명문]] || [[승 탄잠]] || A는 B에 의해 지어졌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 + | | [[이출생]] || [[노 출생]] || A는 B와 유사하다 || A owl:sameAs B |
|- | |- | ||
− | | [[ | + | | [[윤진사]] || [[윤이석]] || A는 B와 유사하다 || A owl:sameAs B |
|- | |- | ||
− | | [[탄잠]] || | + | | [[노 출생]] || [[상전]] || A는 B와 유사하다 || A ekc:hasOwner B |
+ | |- | ||
+ | | [[노 일복]] || [[윤진사]] || A는 B와 유사하다 || A ekc:hasOwner B | ||
+ | |- | ||
+ | | [[노 연백]] || [[박생원]] || A는 B와 유사하다 || A ekc:hasOwner B | ||
+ | |- | ||
+ | | [[이출생]] || [[이신철]] || A는 형제 B가 있다 || A ekc:hasBrother B | ||
+ | |- | ||
+ | | [[노 출생]] || [[노 일복]]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이신철]] || [[노 연백]]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노 출생]] || [[윤진사댁_전답매매명문과_위임장_배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노 일복]] || [[윤진사댁_전답매매명문과_위임장_배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승 탄잠]] || [[윤진사댁_전답매매명문과_위임장_배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윤진사]] || [[윤진사댁_전답매매명문과_위임장_배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노 출생]] || [[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 명문]]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노 일복]] || [[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 명문]]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윤진사]] || [[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 명문]]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반노 생이]] || [[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 명문]]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반노 이학]] || [[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 명문]]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윤진사댁_전답매매명문과_위임장]]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 ||
− | ==시간정보== | + |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 | |- | ||
− | |1696-1697년 || | + | |1696-1697년 || [[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이 작성되었다. |
|- | |- | ||
|} | |} | ||
− | ==공간정보== | + | ===공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 | ||
− | |37.39197||127.054387|| | + | |37.39197||127.054387||[[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
|- | |- | ||
|} | |} | ||
− | == | + | =='''시각자료'''== |
+ | ===갤러리=== | ||
+ | <gallery> | ||
+ | 파일:윤진사댁_전답매매명문과_위임장_03.jpg | 토지매매명문 | ||
+ | 파일:윤진사댁_전답매매명문과_위임장_02.jpg | 해남윤씨 배지 | ||
+ | 파일:윤진사댁_전답매매명문과_위임장_01.jpg | 토지매매명문과 배지 | ||
+ | </gallery> | ||
− | ==주석== | + | =='''주석'''== |
<references/> | <references/> | ||
+ | =='''참고문헌'''== | ||
+ | *온라인 | ||
+ | ** "[http://jsg.aks.ac.kr/home/event/conferenceView.do?searchCondition=&searchWord=&page=2&idx=37 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 강독자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금요강독회, 2016.12.09, 정수환』<sup>online</sup></online></html> | ||
− | [[분류: | + | [[분류:한글고문서]] |
− | [[분류: | + | [[분류:전시자료]] [[분류:문헌]] |
− | |||
− | [[분류: |
2017년 12월 9일 (토) 17:45 기준 최신판
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 | |
영문명칭 | A record of land trades and trade procurement issued to servant Ilbok of Yun family from servant Chulsaeng |
---|---|
작자 | 상전 |
작성시기 | 1696-1697년 |
간행시기 | 조선후기 |
기탁처 | 해남윤씨 녹우당 |
소장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유형 | 고문서 |
크기(세로×가로) | 41.7×38㎝ |
판본 | 필사본 |
수량 | 1章 |
표기문자 | 한글, 한자 |
목차
정의
1696년(조선 숙종22) 12월 2일에 노 출생이 윤 진사 댁 노 일복 에게 전답을 매매할 때 발급한 명문을 붙여놓은 자료이다.
내용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1696년 12월 2일에 상전이 노비 출생(出生)에게 전답의 매매를 위임하면서 발급한 배지(牌旨)와 1697년 2월 12일에 노비 출생이 윤진사댁 노비 일복(日福)에게 전답을 매매할 때 발급한 명문(明文)을 붙여놓은 자료이다. 상전은 출생에게 전답 매매를 당부하고 위임하는 내용의 배지를 한글로 작성해주었다. 출생은 상전의 배지에 따라 윤진사댁 노 일복(日福)에게 현산면(縣山面) 백야지(白也只) 당악원(堂岳員)에 있는 이자(李字) 밭 종피(種皮) 5마지기를 상전댁의 배지와 함께 정조(正租) 5석(石) 15두(斗)의 가격으로 매매하였다. 당시 전답을 매매할 때 반노(班奴) 생이(生伊)와 반노 이학(李鶴)이 증인과 증보(證保)로 참여했고, 승려 탄잠(坦岑)이 문서를 작성하였다.[1]
장서각 금요강독회 내용
1682년 사노 출생이 윤진사댁 노비인 일복(日福)에게 논을 팔기 위해 매매명문을 작성한 사람이 ‘사노(私奴) 이학(李鶴)’이다. 사노 출생과의 관계는 ‘동생제(同生弟)’이다. 1706년에 ‘노(奴) 이학’이 윤니산댁에 논을 파는 매매명문에 증인으로 그의 ‘동생장형(同生長兄)’인 ‘출생’이 확인된다. 이를 보면 출생에게는 여러 형제가 있었고 그가 장남이었다. 1709년 이신철(李信哲)이 박생원댁의 노비 연백(連白)에게 논을 파는 문서에서 증인으로‘동생형 이출생(李出行)’이 기재된 것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출생은 최소 3형제 중 장남이었으며 모두가 노비 신분이다가 18세기 즈음에 ‘이씨’성을 갖게 된 것으로 보인다. 출생이 성을 가졌다고 종의 신분에서 벗어나 평민이나 그 이상이 되었다고 단정하기는 다소 무리가 있다. 출생은 18세기 즈음 상전의 성을 따라 이출생이 되어 사회적으로 행세하기 시작했다고 추정할 뿐이다.
- 상전: 상전의 성은 물론이고 이름까지도 정확하게 기재되어 있지 않다. 출생이 18세기에 그의 성을 ‘이씨’로 밝히고 있고, 당시 노비들이 상전의 성을 따르는 사례가 있었음을 볼 때 이씨였을 가능성이 있다.
- 니산댁(尼山宅): 조선왕조실록에는 1678년(숙종 4) 어명에 따라 윤이석(尹爾錫, 1626-1694)을 특별히 6품으로 승진시키고 이산현감에 제수한 기록이 확인된다. 이로 본다면 ‘니산댁’은 곧 윤이석이 이삼현감을 지낸 사실을 지칭한다고 볼 수 있다. 해남윤씨종가의 윤이석이 이산현감을 지내면서 그 종가는 ‘윤니산댁’으로 통칭되었으며, 그가 세상을 떠난 후에도 그 택호는 그대로 남아 그를 기렸다. (니산: 충남 논산의 옛 이름)
- 의호(儀浩): 배지에는 ‘녯죵 의호’로 기록되고 문서 ‘儀浩’와 ‘義浩’로 확인된다. 해남윤씨 종가 자료 중 1629년에서 1672년 사이에 13건에서 확인된다. 특히 1672년의 배지와 매매명문에서는 당시 이미 세상을 떠난 것으로 밝히고 있다.[2]
연계 자원 보러 가기 |
• 해남윤씨 토지매매명문 |
• 해남윤씨 배지 - 상전 이씨가 그의 종 출생에게 |
지식 관계망
- 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 | 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 배지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 | 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 명문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 배지 | 상전 | A는 B에 의해 지어졌다 | A dcterms:creator B |
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 명문 | 승 탄잠 | A는 B에 의해 지어졌다 | A dcterms:creator B |
이출생 | 노 출생 | A는 B와 유사하다 | A owl:sameAs B |
윤진사 | 윤이석 | A는 B와 유사하다 | A owl:sameAs B |
노 출생 | 상전 | A는 B와 유사하다 | A ekc:hasOwner B |
노 일복 | 윤진사 | A는 B와 유사하다 | A ekc:hasOwner B |
노 연백 | 박생원 | A는 B와 유사하다 | A ekc:hasOwner B |
이출생 | 이신철 | A는 형제 B가 있다 | A ekc:hasBrother B |
노 출생 | 노 일복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이신철 | 노 연백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노 출생 | 윤진사댁_전답매매명문과_위임장_배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노 일복 | 윤진사댁_전답매매명문과_위임장_배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승 탄잠 | 윤진사댁_전답매매명문과_위임장_배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윤진사 | 윤진사댁_전답매매명문과_위임장_배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노 출생 | 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 명문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노 일복 | 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 명문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윤진사 | 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 명문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반노 생이 | 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 명문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반노 이학 | 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 명문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윤진사댁_전답매매명문과_위임장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696-1697년 | 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이 작성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39197 | 127.054387 | 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116-117쪽.
- ↑ 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 강독자료",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금요강독회, 2016.12.09, 정수환』online
참고문헌
- 온라인
- "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 강독자료",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금요강독회, 2016.12.09, 정수환』online
- "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 강독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