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경민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참고문헌) |
잔글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
||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2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로마자명칭= Eoje gyeongmineum | |로마자명칭= Eoje gyeongmineum | ||
|영문명칭= King Yeongjo’s Admonition for the People | |영문명칭= King Yeongjo’s Admonition for the People | ||
− | |작자= 영조 | + | |작자= [[조선 영조]] |
|작성시기= 1762년 | |작성시기= 1762년 | ||
|간행시기= 조선후기 | |간행시기= 조선후기 | ||
|간행처= | |간행처= | ||
|기탁처= | |기탁처= | ||
− |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 |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청구기호= 2-1835 | |청구기호= 2-1835 | ||
|유형= 고서 | |유형= 고서 | ||
21번째 줄: | 21번째 줄: | ||
</noinclude> | </noinclude> | ||
==정의== | ==정의== | ||
− | [[영조]]가 1762년 9월 12일 구술하여 쓰게 한 | + | [[조선 영조]]가 1762년 9월 12일 금주령의 내용을 담아 구술하여 쓰게 한 담긴 한글본 윤음이다. |
==내용== | ==내용== | ||
− | + |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 |
− | + | 윤음의 내용은 술을 경계하는 것이다. 영조는 왕위에 오른 후 신료들에게 경계해야 할 것 세 가지로 [[붕당|붕당(朋黨)]], 사치, 술을 제시하였다. 영조는 1731년 [[계주문|계주문(戒酒文)]]에서 술의 폐해를 언급하며, 술이 없을 수는 없으니 술을 많이 빚는 것에 대해서만 금령을 내리겠다고 밝혔다. | |
− | 이 윤음은 한자본을 해석한 것이 아니라 한글로 작성해 반포되었다. 이는 국가의 정책을 모든 백성이 쉽게 이해함으로써 법을 어기지 | + | [[조선 영조|영조]]는 술을 경계하는 윤음을 1757년과 1762년 두 차례 반포했는데, 『[[어제경민음|어제경민음(御製警民音)]]』은 이 중 두 번째 계주 윤음이다. [[조선 영조|영조]]는 금주를 위하여 국가 제사에서조차 술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였다. 1762년에는 금주를 강화했음에도 역관들이 모여 술을 마신 일이 있었다. 이에 [[권극|권극(權極)]]은 술을 마시는 것을 철저하게 막기 위해 금주령을 어긴 사람을 적발하는 대로 효시하자고 주장하였다. 영조는 이 주장을 받아들여서 금주령을 어긴 경우 효시한다는 내용을 담아서 이 윤음을 내리게 되었다. |
− | <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 + | 이 윤음은 한자본을 해석한 것이 아니라 한글로 작성해 반포되었다. 이는 국가의 정책을 모든 백성이 쉽게 이해함으로써 법을 어기지 않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
+ | <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74-75쪽.</REF> | ||
− | == | + | ===[[어제경민음]]의 특징=== |
− | + | 『[[어제경민음]]』의 뒷부분을 보면 이전의 하교(『[[어제계주윤음]]』)를 언문으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내용이 충분하게 번역되지 않거나 베끼면서 빠진 부분이 있었으니 이번에는 [[교서관]]에서 한글로 인쇄하여 반포하게 했다는 것과 이전의 번역한 글(『[[어제계주윤음]]』)과 달라 보기가 어렵지 않을 것이라 서술하고 있다. 즉, 백성들에게 중대한 사안을 전달할 때 '언해'라는 방식이 한계가 있음을 언급하면서 아예 처음부터 한문의 매개없이 한글을 직접 사용한 것이다. 공적 영역에서도 한글이 더 이상 한문을 보조하는 존재가 아니라 독자적인 소통수단으로서 인정받고 있으며 한글의 사용이 확대되어 가는 양상을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 |
− | <ref>이영경, 「영조대의 교화서 간행과 한글 사용의 양상」, 『한국문화』61, 서울대학교 | + | <ref>이영경, 「영조대의 교화서 간행과 한글 사용의 양상」, 『한국문화』61,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한국문화), 2013, 267-271쪽.</ref> |
− | |||
− | = | + | {{연계자원정보 |
− | + | |연계자원1=[[윤음을 통해 보는 조선 임금들의 애민정신]] | |
− | + | |연계자원2= | |
− | + | |연계자원3= | |
− | + | |연계자원4= | |
− | + | |연계자원5= | |
+ | }} | ||
− | == | + | ==지식 관계망== |
+ | *'''윤음을 통해 보는 조선 임금들의 애민정신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202/A202.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A026/A026.htm 어제경민음 지식관계망]''' | ||
+ | <!--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026/A026.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 | ===관계정보=== | ||
{|class="wikitable sortable" | {|class="wikitable sortable"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 | | [[ | + | | [[어제경민음 반포]] || [[어제경민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영조]] || [[ | + | | [[조선 영조]] || [[어제경민음 반포]] || A는 B를 명령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권극]] || [[ | + | | [[권극]] || [[어제경민음 반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교서관]] || [[ | + | | [[교서관]] || [[어제경민음 반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어제경민음]] || [[교서관]] ||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 A dcterms:publisher B |
|- | |- | ||
− | | [[어제계주윤음]] || | + | | [[어제계주윤음]] || [[교서관]] ||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 A dcterms:publisher B |
|- | |- | ||
− | | [[어제계주윤음 | + | | [[어제계주윤음]] || [[어제경민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어제계주윤음 반포]] || [[어제계주윤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영조]] || [[ | + | | [[조선 영조]] || [[어제계주윤음 반포]] || A는 B를 명령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계주문]] || [[조선 영조]]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금주령]] || | + | | [[금주령]] || [[계주문]]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금주령]] || [[ | + | | [[금주령]] || [[어제경민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금주령]] || [[어제계주윤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어제경민음]]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 ||
− | ==시간정보== | + |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 | |- | ||
− | |1731년 || [[영조]]가 [[계주문]]을 저술하였다 | + | |1731년 || [[조선 영조]]가 [[계주문]]을 저술하였다 |
|- | |- | ||
− | |1757년 || [[영조]]가 [[어제계주윤음 | + | |1757년 || [[조선 영조]]가 [[어제계주윤음]] 반포를 명령하였다 |
|- | |- | ||
− | |1762년 || [[영조]]가 [[ | + | |1762년 || [[조선 영조]]가 [[어제경민음]] 반포를 명령하였다 |
|- | |- | ||
− | |1762년 || [[교서관]]이 | + | |1762년 || [[교서관]]이 [[어제경민음]]을 간행하였다. |
|- | |- | ||
|} | |} | ||
− | ==공간정보== | + | ===공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 | ||
− | | 37.39197 || 127.054387|| | + | | 37.39197 || 127.054387|| [[어제경민음]]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보관되어 있다. |
|- | |- | ||
|} | |} | ||
+ | |||
+ | ==시각자료== | ||
+ | ===갤러리=== | ||
+ | <gallery> | ||
+ | 파일:어제경민음_01.jpg | 어제경민음 01 | ||
+ | 파일:어제경민음_02.jpg | 어제경민음 02 | ||
+ | 파일:한글팀 어제경민음01 어제경민음03.jpg | 어제경민음 03 | ||
+ | 파일:주사거배_신윤복_혜원전신첩.jpg | 주사거배 신윤복 혜원전신첩 | ||
+ | </gallery> | ||
<!-- | <!-- | ||
<googlemap height="250" lat="37.392230" lon="127.054384" type="terrain" zoom="14"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googlemap height="250" lat="37.392230" lon="127.054384" type="terrain" zoom="14"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
99번째 줄: | 126번째 줄: | ||
</googlemap> | </googlemap> | ||
--> | --> | ||
+ | |||
+ | ==주석== | ||
+ | <references/>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더 읽을 거리=== | ||
*단행본 | *단행본 | ||
− | * | + | **홍문각, 『御製 訓書諺解 ; 御製 百行源 ; 御製 警民音』, 1984. |
− | * | + | **김목한·김성규·남윤진·박부자·박진호·이래호·이현주·정승혜·정윤자·정재영·황문환·황선엽·홍은진, 『장서각한글자료해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0. |
*웹자원 | *웹자원 | ||
− | * | + | **홍윤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6077 어제경민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 | **이정민, "[http://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gotourl=http://kyujanggak.snu.ac.kr/home/MOK/CONVIEW.jsp?type=MOK^ptype=list^subtype=sm^lclass=AL^ntype=sj^cn=GI40313_00 어제경민음]", <html><online style="color:purple">『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sup>online</sup></online></html>,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 | |||
− | |||
[[분류:한글고문서]] | [[분류:한글고문서]] | ||
− | [[분류: | + | [[분류:전시자료]] |
− | [[분류: | + | [[분류:문헌]] |
− | |||
− |
2017년 12월 7일 (목) 02:53 기준 최신판
어제경민음 | |
한자명칭 | 御製警民音 |
---|---|
영문명칭 | King Yeongjo’s Admonition for the People |
작자 | 조선 영조 |
작성시기 | 1762년 |
간행시기 | 조선후기 |
소장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청구기호 | 2-1835 |
유형 | 고서 |
크기(세로×가로) | 23.1×14.9㎝ |
판본 | 금속활자본(무신자) |
수량 | 1冊 |
표기문자 | 한글, 한자 |
목차
정의
조선 영조가 1762년 9월 12일 금주령의 내용을 담아 구술하여 쓰게 한 담긴 한글본 윤음이다.
내용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윤음의 내용은 술을 경계하는 것이다. 영조는 왕위에 오른 후 신료들에게 경계해야 할 것 세 가지로 붕당(朋黨), 사치, 술을 제시하였다. 영조는 1731년 계주문(戒酒文)에서 술의 폐해를 언급하며, 술이 없을 수는 없으니 술을 많이 빚는 것에 대해서만 금령을 내리겠다고 밝혔다. 영조는 술을 경계하는 윤음을 1757년과 1762년 두 차례 반포했는데, 『어제경민음(御製警民音)』은 이 중 두 번째 계주 윤음이다. 영조는 금주를 위하여 국가 제사에서조차 술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였다. 1762년에는 금주를 강화했음에도 역관들이 모여 술을 마신 일이 있었다. 이에 권극(權極)은 술을 마시는 것을 철저하게 막기 위해 금주령을 어긴 사람을 적발하는 대로 효시하자고 주장하였다. 영조는 이 주장을 받아들여서 금주령을 어긴 경우 효시한다는 내용을 담아서 이 윤음을 내리게 되었다. 이 윤음은 한자본을 해석한 것이 아니라 한글로 작성해 반포되었다. 이는 국가의 정책을 모든 백성이 쉽게 이해함으로써 법을 어기지 않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1]
어제경민음의 특징
『어제경민음』의 뒷부분을 보면 이전의 하교(『어제계주윤음』)를 언문으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내용이 충분하게 번역되지 않거나 베끼면서 빠진 부분이 있었으니 이번에는 교서관에서 한글로 인쇄하여 반포하게 했다는 것과 이전의 번역한 글(『어제계주윤음』)과 달라 보기가 어렵지 않을 것이라 서술하고 있다. 즉, 백성들에게 중대한 사안을 전달할 때 '언해'라는 방식이 한계가 있음을 언급하면서 아예 처음부터 한문의 매개없이 한글을 직접 사용한 것이다. 공적 영역에서도 한글이 더 이상 한문을 보조하는 존재가 아니라 독자적인 소통수단으로서 인정받고 있으며 한글의 사용이 확대되어 가는 양상을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2]
연계 자원 보러 가기 |
• 윤음을 통해 보는 조선 임금들의 애민정신 |
지식 관계망
- 윤음을 통해 보는 조선 임금들의 애민정신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어제경민음 반포 | 어제경민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조선 영조 | 어제경민음 반포 | A는 B를 명령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권극 | 어제경민음 반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교서관 | 어제경민음 반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어제경민음 | 교서관 |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 A dcterms:publisher B |
어제계주윤음 | 교서관 |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 A dcterms:publisher B |
어제계주윤음 | 어제경민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어제계주윤음 반포 | 어제계주윤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조선 영조 | 어제계주윤음 반포 | A는 B를 명령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계주문 | 조선 영조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금주령 | 계주문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금주령 | 어제경민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금주령 | 어제계주윤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어제경민음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731년 | 조선 영조가 계주문을 저술하였다 |
1757년 | 조선 영조가 어제계주윤음 반포를 명령하였다 |
1762년 | 조선 영조가 어제경민음 반포를 명령하였다 |
1762년 | 교서관이 어제경민음을 간행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39197 | 127.054387 | 어제경민음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보관되어 있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74-75쪽.
- ↑ 이영경, 「영조대의 교화서 간행과 한글 사용의 양상」, 『한국문화』61,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한국문화), 2013, 267-27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