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후미술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황국신민화의 수단)
(참고문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개념정보
+
{{단체정보
 
|사진= 민족팀_일러_화풍.png
 
|사진= 민족팀_일러_화풍.png
|사진출처= 김현승 일러스트레이터
+
|사진출처=
 
|대표명칭= 총후미술전
 
|대표명칭= 총후미술전
 
|한자표기= 銃後美術展
 
|한자표기= 銃後美術展
|영문명칭=  
+
|영문명칭=
|이칭=  
+
|이칭=
 
|유형=
 
|유형=
|관련개념=
+
|창립자=
 +
|창립시대=
 +
|창립일= 1942년
 +
|변경일=
 +
|해체일= 1944년
 +
|주요업무=
 +
|담당업무=
 +
|관련기관=
 +
|관련단체=
 +
|소재지=
 +
|웹사이트=
 
}}
 
}}
 
=='''정의'''==
 
=='''정의'''==
1942년-1944년까지 개최되었던 일제의 전시 체제 아래에 있었던 국내 미술전.
+
1942년-1944년까지 일제의 전시 체제 아래에서 개최되었던 국내 미술전이다.  
  
 
=='''내용'''==
 
=='''내용'''==
 
===황국신민화의 수단===
 
===황국신민화의 수단===
미술을 식민통치를 합리화하고 황국신민화의 수단으로 이용한 일제는 1940년대 들어 군국주의 전쟁을 위한 보국체제로 전환시켰다. 1941년 '회화봉공'을 맹세하며 '[[조선미술가협회]]'가 설립되었고, 1940년 '성전(聖戰)미술전', 1942년부터 44년까지 '반도총후(銃後)미술전', 1944년 '결전(決戰)미술전' 등이 잇따라 열려 전쟁을 찬양하고 황국신민으로서 일제에 보답할 것을 독려하였다.<br/>
+
일제는 미술을 식민통치를 합리화하고 황국신민화의 수단으로써 이용하였다. 1940년대 들어 전쟁이 격화하자 미술계를 군국주의 전쟁을 위한 보국체제로 전환시켰다. 1941년 '회화봉공'을 맹세하며 '[[조선미술가협회]]'가 설립되었고, 1940년 '성전(聖戰)미술전', 1942년부터 44년까지 '반도총후(銃後)미술전', 1944년 '결전(決戰)미술전' 등이 잇따라 열려 전쟁을 찬양하고 황국신민으로서 일제에 보답할 것을 독려하였다.
  
 
===친일미술인===
 
===친일미술인===
또한 1943년에는 조선인징병제 실시에 맞추어 일본인과 조선인으로 구성된 단광회는 이를 기념하는 그림을 공동제작해 순회전을 열고 조선군사령부에 헌납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보국예술'은 일제의 강요에 더불어 친일미술인들의 적극적인 참여에 의한 것이었다.<br/>
+
또한 1943년에는 조선인징병제 실시에 맞추어 일본인과 조선인으로 구성된 [[단광회]]를 구성하였다. 이를 기념하는 그림을 공동제작해 순회전을 열고 조선군사령부에 헌납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보국예술'은 일제의 강요도 있었으나 친일미술인들의 적극적인 참여에 의한 것도 있었다.<br/>
이렇듯 일제를 찬양하고 전시총동원체제에 적극 협력했던 미술인들은 해방 역사적 인물들과 독립운동가의 영정과 조각을 제작하기도 하였으며, 미술계의 권위 있는 원로가 되기도 하였다.
+
일제를 찬양하고 전시총동원체제에 적극 협력했던 미술인들이 해방 후에는 역사적 인물들과 독립운동가의 영정과 조각을 제작하기도 하였으며, 미술계의 권위 있는 원로가 되기도 하였다.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24번째 줄: 34번째 줄: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김은호]] || [[총후미술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김기창]] || [[총후미술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김기창]] || [[총후미술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39번째 줄: 51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유용한 정보===
#웹자원
+
#웹 자원
 
# "[http://news.joins.com/article/1613266 제76화 화맥인맥(32)「총후미술전」, 월전 장우성]", 『중앙일보』, 1982년 01월 15일.
 
# "[http://news.joins.com/article/1613266 제76화 화맥인맥(32)「총후미술전」, 월전 장우성]", 『중앙일보』, 1982년 01월 15일.
  
[[분류:민족기록화]][[분류:개념]]
+
[[분류:민족기록화]][[분류:단체]]
[[분류:민족/교열요청]]
 

2017년 12월 1일 (금) 03:09 기준 최신판

총후미술전(銃後美術展)
민족팀 일러 화풍.png
대표명칭 총후미술전
한자표기 銃後美術展
창립일 1942년
해체일 1944년


정의

1942년-1944년까지 일제의 전시 체제 아래에서 개최되었던 국내 미술전이다.

내용

황국신민화의 수단

일제는 미술을 식민통치를 합리화하고 황국신민화의 수단으로써 이용하였다. 1940년대 들어 전쟁이 격화하자 미술계를 군국주의 전쟁을 위한 보국체제로 전환시켰다. 1941년 '회화봉공'을 맹세하며 '조선미술가협회'가 설립되었고, 1940년 '성전(聖戰)미술전', 1942년부터 44년까지 '반도총후(銃後)미술전', 1944년 '결전(決戰)미술전' 등이 잇따라 열려 전쟁을 찬양하고 황국신민으로서 일제에 보답할 것을 독려하였다.

친일미술인

또한 1943년에는 조선인징병제 실시에 맞추어 일본인과 조선인으로 구성된 단광회를 구성하였다. 이를 기념하는 그림을 공동제작해 순회전을 열고 조선군사령부에 헌납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보국예술'은 일제의 강요도 있었으나 친일미술인들의 적극적인 참여에 의한 것도 있었다.
일제를 찬양하고 전시총동원체제에 적극 협력했던 미술인들이 해방 후에는 역사적 인물들과 독립운동가의 영정과 조각을 제작하기도 하였으며, 미술계의 권위 있는 원로가 되기도 하였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김은호 총후미술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김기창 총후미술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군마도",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1. 웹 자원
  2. "제76화 화맥인맥(32)「총후미술전」, 월전 장우성", 『중앙일보』, 1982년 01월 1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