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운동"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유용한 정보) |
(→참고문헌)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0번째 줄: | 10번째 줄: | ||
|날짜=1970년 04월 22일 | |날짜=1970년 04월 22일 | ||
|관련인물=[[박정희]] | |관련인물=[[박정희]] | ||
− | |관련단체=[[ | + | |관련단체=[[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 |
|관련장소= | |관련장소= | ||
|관련물품= | |관련물품= | ||
|관련유물유적= | |관련유물유적= | ||
}} | }} | ||
− | |||
=='''정의'''== | =='''정의'''== | ||
− | 1970년부터 시작된 범국민적 지역사회 | + | 1970년부터 시작된 범국민적 지역사회 개발운동이다.<ref>왕인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7443 새마을운동]",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내용'''== | =='''내용'''== | ||
===시작=== | ===시작=== | ||
− | 새마을운동은 1970년대의 한국사회를 특징짓는 중요한 | + | 새마을운동은 1970년대의 한국사회를 특징짓는 중요한 사건이다. 1970년 4월 22일 한해대책을 숙의하기 위하여 지방장관회의가 소집되었다. 이 자리에서 [[박정희]] 대통령이 수재민 복구대책과 아울러 넓은 의미의 농촌재건운동에 착수하기 위하여 근면·자조·자립정신을 바탕으로 한 마을가꾸기 사업을 제창하고 이것을 '새마을가꾸기운동'이라 부르기 시작한 데서 시작되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58649 새마을운동회]",<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전개과정=== | ===전개과정=== | ||
− | 새마을운동은 전국적인 규모로 개별적인 자연촌락을 대상으로 하여 하행·하달된 사업지침에 따라 | + | 새마을운동은 전국적인 규모로 추진하되, 개별적인 자연촌락을 대상으로 하여 하행·하달된 사업지침에 따라 시행해나가는 것에서부터 출발하였다. 따라서 일사분란하게 전개하여 목표를 비교적 단기간 내에 성취할 수가 있었다. 이와 같은 사실은 민주국가에서는 보기 드문 일로 국제적 관심거리가 되었다.<ref>왕인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7443 새마을운동]",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br/> |
− | 1970년대 새마을 운동은 1970년 '우리 마을을 우리 힘으로 새롭게 바꾸어 보자'는 농어촌 새마을운동을 시작으로 | + | 1970년대 새마을 운동은 1970년 '우리 마을을 우리 힘으로 새롭게 바꾸어 보자'는 농어촌 새마을운동을 시작으로 1974년에는 도시 새마을운동으로 전개되었다. 1980년대 새마을운동은 국민운동으로 계승·발전시켜야 한다는 사회적 여론에 따라 국민의식을 일깨우기 위한 정신적 운동으로 전개되었다. 1990년대에는 건강한 사회 건설을 위한 국민 의식 개혁 운동으로 전개되었다.<ref>권대웅, "[http://cheongdo.grandculture.net/Contents?local=cheongdo&dataType=01&contents_id=GC05501434 새마을 운동]",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청도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br/> |
===해외보급=== | ===해외보급=== | ||
− | + | 1992년부터 추진된 살기 좋은 고장 가꾸기 사례 교환을 위한 한일 국제 교류 대회, 러시아 연해주 농업협력 사업, 베트남 새마을 협력 사업 등을 계기로 해외 현지 새마을 운동이 본격화되었다. 1990년대 후반에는 민간 차원의 대북 교류 사업을 추진하여 대북 지원 사업에도 동참하였다.<ref>권대웅, "[http://cheongdo.grandculture.net/Contents?local=cheongdo&dataType=01&contents_id=GC05501434 새마을 운동]",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청도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의의와 평가=== | ===의의와 평가=== | ||
− | 농촌을 겨냥한 새마을운동의 발의·전개는 적지 않은 도전도 겪었지만, 전통적 체계의 농촌을 현대적으로 변환하도록 충격을 가하는 데 크게 성공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즉, 농촌사회에 팽배되어 있었던 | + | 농촌을 겨냥한 새마을운동의 발의·전개는 적지 않은 도전도 겪었지만, 전통적 체계의 농촌을 현대적으로 변환하도록 충격을 가하는 데 크게 성공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즉, 농촌사회에 팽배되어 있었던 폐쇄성, 숙명론적 무기력증, 그리고 지역지향성 등을 극히 단기간 내에 전국적인 규모로 타파하는 데 성공한 것으로 국제적으로도 높이 평가되었다.<ref>왕인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7443 새마을운동]",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br/> |
− | 그러나 농촌을 겨냥한 원래의 새마을운동이 도시지역으로 확대되어 거의 전방위적인 국가발전 사업을 기획·집행한 이래, 공식적인 성과와 사업전개 대상자인 국민의 평가 사이에는 적지 않은 괴리가 | + | 그러나 농촌을 겨냥한 원래의 새마을운동이 도시지역으로 확대되어 거의 전방위적인 국가발전 사업을 기획·집행한 이래, 공식적인 성과와 사업전개 대상자인 국민의 평가 사이에는 적지 않은 괴리가 생기기도 하였다.<ref>왕인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7443 새마을운동]",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br/> |
+ | 또 1970년대부터 1980년대 말까지 절대적이었던 대통령의 권력과 관치가 결합되어 국가발전에 이바지한 점이 큰 게 사실이지만, 박정희 대통령의 유신체제를 지탱하는 통치이데올로기로서 기능하였다는 비판도 있다. 새마을운동이 일제의 농촌진흥운동을 모방했고 파시즘 체제 유지를 위한 도구였다는 것이다.<br/> | ||
+ | 이와 함께 새마을운동 과정에서 미신타파 명분으로 우리 전통문화를 탄압했다는 데 대한 부정적 평가와, 1급 발암물질인 석면 슬레이트로 농촌 가옥 개량을 개량했던 일에 대한 비판도 있다. 제5공화국 시절 중앙본부의 각종 이권개입과 공금횡령이 밝혀지면서 비리의 온상으로 낙인찍히기도 하였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C%83%88%EB%A7%88%EC%9D%84_%EC%9A%B4%EB%8F%99 새마을운동]",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 | =='''지식 관계망'''==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57/C057.htm "협업영농새마을(개곡리)"(이인영) 지식관계망] | ||
+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57/C057.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58/C058.htm "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장두건) 지식관계망]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59/C059.htm "환경정리새마을"(이동훈) 지식관계망]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60/C060.htm "소득사업(새마을)"(이마동) 지식관계망] | ||
+ | |||
+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박정희]] || [[새마을운동]]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김종필]] || [[새마을운동]]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새마을운동]] || [[새마을운동 기록물]]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새마을운동]]|| [[농촌근대화촉진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새마을운동]] || [[농어민 소득증대 특별사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영상=== | ===영상=== | ||
− | * | + | *KTV 대한뉴스, [https://www.youtube.com/embed/y-pTpQ71zuE 대한뉴스 제 870호-거국적인 새마을 운동을], ''YouTube'', 작성일: 2016년 11월 22일. |
<html> | <html> |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y-pTpQ71zuE"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y-pTpQ71zuE"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html> | </html> | ||
− | * | + | |
+ | *행정자치부, [https://www.youtube.com/embed/JTBHJgyzj-k 세계가 인정한 빈곤퇴치 롤모델,'지구촌 새마을운동'이란?], ''YouTube'', 작성일: 2015년 11월 23일. | ||
<html> | <html> |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JTBHJgyzj-k"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JTBHJgyzj-k"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54번째 줄: | 84번째 줄: | ||
#* 권대웅, "[http://cheongdo.grandculture.net/Contents?local=cheongdo&dataType=01&contents_id=GC05501434 새마을 운동]",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청도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권대웅, "[http://cheongdo.grandculture.net/Contents?local=cheongdo&dataType=01&contents_id=GC05501434 새마을 운동]",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청도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58649 새마을운동]",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58649 새마을운동]",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0371&cid=42958&categoryId=42958 새마을운동]", 한국근현대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근현대사사전 』, 가람기획, 2005.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0371&cid=42958&categoryId=42958 새마을운동]", 한국근현대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유용한 정보=== | ===유용한 정보=== |
2017년 12월 1일 (금) 01:24 기준 최신판
새마을운동() | |
대표명칭 | 새마을운동 |
---|---|
영문명칭 | Saemaul Undong |
시대 | 현대 |
날짜 | 1970년 04월 22일 |
관련인물 | 박정희 |
관련단체 |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 |
목차
정의
1970년부터 시작된 범국민적 지역사회 개발운동이다.[1]
내용
시작
새마을운동은 1970년대의 한국사회를 특징짓는 중요한 사건이다. 1970년 4월 22일 한해대책을 숙의하기 위하여 지방장관회의가 소집되었다. 이 자리에서 박정희 대통령이 수재민 복구대책과 아울러 넓은 의미의 농촌재건운동에 착수하기 위하여 근면·자조·자립정신을 바탕으로 한 마을가꾸기 사업을 제창하고 이것을 '새마을가꾸기운동'이라 부르기 시작한 데서 시작되었다.[2]
전개과정
새마을운동은 전국적인 규모로 추진하되, 개별적인 자연촌락을 대상으로 하여 하행·하달된 사업지침에 따라 시행해나가는 것에서부터 출발하였다. 따라서 일사분란하게 전개하여 목표를 비교적 단기간 내에 성취할 수가 있었다. 이와 같은 사실은 민주국가에서는 보기 드문 일로 국제적 관심거리가 되었다.[3]
1970년대 새마을 운동은 1970년 '우리 마을을 우리 힘으로 새롭게 바꾸어 보자'는 농어촌 새마을운동을 시작으로 1974년에는 도시 새마을운동으로 전개되었다. 1980년대 새마을운동은 국민운동으로 계승·발전시켜야 한다는 사회적 여론에 따라 국민의식을 일깨우기 위한 정신적 운동으로 전개되었다. 1990년대에는 건강한 사회 건설을 위한 국민 의식 개혁 운동으로 전개되었다.[4]
해외보급
1992년부터 추진된 살기 좋은 고장 가꾸기 사례 교환을 위한 한일 국제 교류 대회, 러시아 연해주 농업협력 사업, 베트남 새마을 협력 사업 등을 계기로 해외 현지 새마을 운동이 본격화되었다. 1990년대 후반에는 민간 차원의 대북 교류 사업을 추진하여 대북 지원 사업에도 동참하였다.[5]
의의와 평가
농촌을 겨냥한 새마을운동의 발의·전개는 적지 않은 도전도 겪었지만, 전통적 체계의 농촌을 현대적으로 변환하도록 충격을 가하는 데 크게 성공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즉, 농촌사회에 팽배되어 있었던 폐쇄성, 숙명론적 무기력증, 그리고 지역지향성 등을 극히 단기간 내에 전국적인 규모로 타파하는 데 성공한 것으로 국제적으로도 높이 평가되었다.[6]
그러나 농촌을 겨냥한 원래의 새마을운동이 도시지역으로 확대되어 거의 전방위적인 국가발전 사업을 기획·집행한 이래, 공식적인 성과와 사업전개 대상자인 국민의 평가 사이에는 적지 않은 괴리가 생기기도 하였다.[7]
또 1970년대부터 1980년대 말까지 절대적이었던 대통령의 권력과 관치가 결합되어 국가발전에 이바지한 점이 큰 게 사실이지만, 박정희 대통령의 유신체제를 지탱하는 통치이데올로기로서 기능하였다는 비판도 있다. 새마을운동이 일제의 농촌진흥운동을 모방했고 파시즘 체제 유지를 위한 도구였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새마을운동 과정에서 미신타파 명분으로 우리 전통문화를 탄압했다는 데 대한 부정적 평가와, 1급 발암물질인 석면 슬레이트로 농촌 가옥 개량을 개량했던 일에 대한 비판도 있다. 제5공화국 시절 중앙본부의 각종 이권개입과 공금횡령이 밝혀지면서 비리의 온상으로 낙인찍히기도 하였다.[8]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박정희 | 새마을운동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김종필 | 새마을운동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새마을운동 | 새마을운동 기록물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새마을운동 | 농촌근대화촉진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새마을운동 | 농어민 소득증대 특별사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각자료
영상
- KTV 대한뉴스, 대한뉴스 제 870호-거국적인 새마을 운동을, YouTube, 작성일: 2016년 11월 22일.
- 행정자치부, 세계가 인정한 빈곤퇴치 롤모델,'지구촌 새마을운동'이란?, YouTube, 작성일: 2015년 11월 23일.
주석
- ↑ 왕인근, "새마을운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새마을운동회",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 왕인근, "새마을운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권대웅, "새마을 운동",
『디지털청도문화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권대웅, "새마을 운동",
『디지털청도문화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왕인근, "새마을운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왕인근, "새마을운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새마을운동",
『위키백과』online .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유용한 정보
- 웹 자원
- "새마을운동중앙회",
『새마을운동중앙회』online . - "새마을운동 아카이브",
『새마을운동 아카이브의 체계적 구축과 기초연구』online , 성공회대학교 민주주의연구소. - 『새마을운동아카이브』online, 새마을운동중앙회 새마을운동연구소.
- "새마을운동중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