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틀:역사인물초상화 Top icon}} | ||
{{인물정보 | {{인물정보 | ||
− | |사진= | + | |사진= 역사인물초상화 초상 이황 표준영정.jpg |
|사진출처= | |사진출처= | ||
|대표명칭= 이황 | |대표명칭= 이황 | ||
46번째 줄: | 47번째 줄: | ||
===[[성학십도]]=== | ===[[성학십도]]=== | ||
− | [[조선 명종|명종]]은 [[이황]]을 계속 중앙정계로 복귀시키려 하였지만, 이황은 벼슬길에 나서지 않았다. [[조선 선조|선조]] 또한 수차례 벼슬을 내렸지만 마찬가지였다. 대신 그는 1568년에 성군이 되기 위한 학문의 원리를 열 가지로 정리한 『 [[성학십도|성학십도(聖學十圖)]]』를 올렸다. <ref>이민정,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75 이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 | [[조선 명종|명종]]은 [[이황]]을 계속 중앙정계로 복귀시키려 하였지만, 이황은 벼슬길에 나서지 않았다. [[조선 선조|선조]] 또한 수차례 벼슬을 내렸지만 마찬가지였다. 대신 그는 1568년에 성군이 되기 위한 학문의 원리를 열 가지로 정리한 『[[성학십도|성학십도(聖學十圖)]]』를 올렸다. <ref>이민정,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75 이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은퇴와 [[도산서원]]=== | ===은퇴와 [[도산서원]]=== | ||
57번째 줄: | 58번째 줄: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이황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52/E052.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A123/A123.htm 도산십이곡 지식관계망]'''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A124/A124.htm 고산구곡도 지식관계망]'''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A206/A206.htm 구곡가계로 보는 이황과 이이 지식관계망]'''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A207/A207.htm 조선 중기의 대표적 문인들과 한글 시가 지식관계망]''' | ||
+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ortable"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93번째 줄: | 105번째 줄: | ||
| [[도산십이곡]] || [[이황]]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도산십이곡]] || [[이황]]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이황]] || [[도산서원]] || A는 B에 의해 건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 | | [[이황]] || [[안동 도산서원]] || A는 B에 의해 건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 | |- | ||
| [[이황]] || [[상덕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이황]] || [[상덕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이황]] || [[류성룡]]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이황]] || [[류성룡]]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132번째 줄: | 142번째 줄: | ||
|- | |- | ||
|} | |} | ||
+ | ==시각자료== | ||
+ | ===갤러리=== | ||
+ | <gallery> | ||
+ | 파일:역사인물초상화 초상 이황 표준영정.jpg |이황 표준영정 | ||
+ | 파일:한글팀 도산서원 전경 01.jpg|도산사원 | ||
+ | </gallery> | ||
==주석== | ==주석== | ||
144번째 줄: | 160번째 줄: | ||
[[분류:인물]] | [[분류:인물]] | ||
−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 ||
[[분류:역사인물]] | [[분류:역사인물]] | ||
− | |||
− |
2017년 11월 30일 (목) 15:40 기준 최신판
이황(李滉) | |
대표명칭 | 이황 |
---|---|
한자표기 | 李滉 |
생몰년 | 1501-1570 |
본관 | 진보(眞寶) |
시호 | 문순(文純) |
호 | 퇴계(退溪), 퇴도(退陶) |
자 | 경호(景浩) |
시대 | 조선 |
대표저서 | 성학십도, 심경후론, 주자서절요, 도산십이곡 |
대표직함 | 풍기군수, 성균관대사성, 단양군수, 대제학 |
배우자 | 이황 처 김해 허씨 이황 처 안동 권씨 |
부 | 이식 |
모 | 이식 처 춘천 박씨 |
목차
정의
내용
이황의 어린시절
이황은 1501년 11월 25일 경상도 예안현 온계리에서 태어났다. 이황이 태어난지 7개월 만에 아버지 이식이 세상을 떠났다. 이황은 12살 때 이우에게 학문을 배우기 시작하였고, 23살 때 성균관에 입학하였다. 2달 만에 성균관을 떠나게 되나, 이 때 김인후와 친분을 쌓는다. 이황은 1533년(33세)에 다시 성균관에서 공부하였고 이 때 김안국과 친분을 쌓는다. [1]
이황의 정계활동
이황은 1534년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올랐다. 이황은 1527년 아내 허씨가 세상을 떠나자 1529년 권질의 딸 안동 권씨에게 다시 장가를 갔다. 1535년에 여주 목사로 있던 이순(李純)과 신륵사(神勒寺)에을 방문하였다. 1549년에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에 편액과 서적을 내려줄 것을 청하였다.[2]
기대승과의 사단칠정논쟁
이황은 말년에 고향에 은거하면서 제자를 길렀다. 1550년에는 신진학자 기대승에게 사단(四端)과 칠정(七情)에 대해 논변하는 편지를 보냈는데, 이것이 바로 ‘사단칠정논쟁’이다. [3]
성학십도
명종은 이황을 계속 중앙정계로 복귀시키려 하였지만, 이황은 벼슬길에 나서지 않았다. 선조 또한 수차례 벼슬을 내렸지만 마찬가지였다. 대신 그는 1568년에 성군이 되기 위한 학문의 원리를 열 가지로 정리한 『성학십도(聖學十圖)』를 올렸다. [4]
은퇴와 도산서원
1550년 이황은 퇴계(退溪) 서쪽에 자리를 잡았다. 1559년에 도산서당(陶山書堂)을 짓고 강학에 본격적으로 힘쓰기 시작하였다. 1570년 지병이 악화되어 세상을 떠났다. 1572년 이황의 위패가 안동 상덕사에 모셔졌다. 도산서당은 안동 도산서원으로 확대되었고 1575년에 한호(韓濩)가 쓴 ‘ 도산서원(陶山書院)’이란 편액을 하사받았다. [5]
이황의 학문의 영향과 계승
당대의 이황의 문인은 유성룡(柳成龍)·정구(鄭逑)·김성일(金誠一)·조목·이덕홍·기대승·등 260여 인에 이른다. 나아가 이황의 학문은 성혼(成渾)·이현일(李玄逸)·이재(李栽)·이익(李瀷)·이상정(李象靖)·등 영남학파로 이어졌다. [6] 임진왜란 후 이황의 학문은 일본에 전해져 기몬학파 및 구마모토학파에게 깊은 영향을 끼쳤다.[7]
지식 관계망
- 이황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이황 | 이식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A ekc:hasFather B |
이황 | 이식 처 춘천 박씨 | A는 어머니 B가 있다 | A ekc:hasMother B |
이식 처 춘천 박씨 | 이식 | A는 B의 아내이다 | A ekc:hasHusband B |
이우 | 이식 | A는 형제 B가 있다 | A ekc:hasBrother B |
이우 | 이황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성균관 | 이황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이황 | 김인후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이황 | 이황 처 김해 허씨 | A는 B의 아내이다 | A ekc:hasHusband B |
이황 | 이황 처 안동 권씨 | A는 B의 아내이다 | A ekc:hasHusband B |
이황 처 안동 권씨 | 권질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A ekc:hasFather B |
이황 | 이순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이황 | 여주 신륵사 | A는 B를 방문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이황 | 영주 소수서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이황 | 기대승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성학십도 | 이황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도산십이곡 | 이황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이황 | 안동 도산서원 | A는 B에 의해 건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이황 | 상덕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이황 | 류성룡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이황 | 정구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이황 | 김성일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이황 | 이산해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이황 | 기대승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이황 | 성혼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시간정보
시간 | 내용 |
---|---|
1521년 | 이황이 이황 처 김해 허씨와 혼인하였다. |
1529년 | 이황이 이황 처 안동 권씨와 혼인하였다. |
1549년 | 이황이 백운동서원에 편액과 서적을 내려 줄 것을 청하였다. |
1559년 | 이황이 도산서원을 건립하였다. |
1569년 | 이황이 도산십이곡을 창작하였다. |
1572년 | 이황의 위패가 상덕사에 봉안되었다. |
1575년 | 한호가 도산서원 편액을 제작하였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이민정, "이황",
『한국사콘텐츠』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이민정, "이황",
『한국사콘텐츠』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이민정, "이황",
『한국사콘텐츠』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이민정, "이황",
『한국사콘텐츠』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이민정, "이황",
『한국사콘텐츠』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전두하, "이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전두하, "이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 박기현, "조선에 무욕의 리더십을 펼친 퇴계", 명사칼럼,
『문화유산채널』online , 한국문화재재단, 작성일: 2013년 01월 16일. - 정창권, "지적장애 아내를 평생 사랑으로 보살핀 퇴계 이황", 『조선일보』, 작성일: 2015년 04월 09일.
- 김현용, "퇴계(退溪)이황(李滉)과 일본", 『아시아씨이뉴스』, 작성일: 2017년 04월 04일.
- 박구재, "지폐인물열전(34) 퇴계 이황…성리학의 큰 산", 『경향신문』, 작성일: 2015년 09월 2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