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상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4번째 줄: 14번째 줄:
 
==내용==
 
==내용==
 
===변상도의 의미===
 
===변상도의 의미===
변상도는 불교의 교리에 입각하여 표현되는 종교화이다. 즉 진리의 내용을 변화하여 나타낸 것이므로 변상이라 하며, 도상적 성격(圖相的性格)을 지니므로 변상도라고 한다. 대체로 변상도는 석가모니의 전생을 묘사한 본생도(本生圖)와 현생(現生)의 전기를 담은 불전도(佛傳圖) 그리고 정토(淨土)의 장엄도(莊嚴圖)가 중심이 된다. 따라서 변상도는 이들과 관련된 조각이나 회화 등의 조형체(造形體)를 포괄하는 명칭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변상도는 교훈적 의미를 지닌 석가모니 전생의 설화와 사상적 내용을 지닌 여러 형태의 조형물을 뜻한다.  
+
불교의 교리가 그림이나 조각 등으로 알기 쉽게 표현된 종교화이다. 대체로 교훈적 의미를 지닌 석가모니 전생의 설화와 사상적 내용을 지닌 여러 형태의 조형물을 뜻한다.
 
<ref>장충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2926 변상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ref>장충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2926 변상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변상도의 형태별 종류===
 
===변상도의 형태별 종류===
변상의 종류로는 석조 조각에 나타난 이들 부조상(浮彫像)의 형태와 일반 불교 회화로 구별할 수 있다. 우리 나라의 경우에는 전자보다는 불교 회화의 형태에 속하는 것이 많다. 회화 형태의 변상도에는 벽화·탱화(幀畫)·사경화(寫經畫)·경판화(經板畫), 심지어는 단청(丹靑)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
변상도는 석조 조각에 나타난 부조상(浮彫像)의 형태와 일반 불교 회화로 구별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불교 회화의 형태인 것이 많다. 회화 형태의 변상도는 벽화·탱화(幀畫)·사경화(寫經畫)·경판화(經板畫), 심지어는 단청(丹靑)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불탑에 대한 신앙적 표현이나 외호 또는 장엄을 위한 부조상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ref>장충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2926 변상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우리 나라의 경우 석탑 등에 나타난 변상으로서의 부조상은 인도에서와 같은 다양한 내용을 지니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서 본생담이나 부처의 전기를 담은 변상이 아니라, 단순히 불탑에 대한 신앙적 표현이나 외호적 또는 장엄적 기능으로서의 부조상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ref>장충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2926 변상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변상도의 내용별 종류===
 
===변상도의 내용별 종류===
변상도의 종류를 내용별로 분류한다면 여러 경전의 내용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들을 등장 인물에 의하여 살펴보면, 아미타불변상도·비로자나불변상도(毘盧遮那佛變相圖)·석가모니불변상도(釋迦牟尼佛變相圖)·약사여래변상도·관음보살변상도·지장보살변상도(地藏菩薩變相圖) 등 매우 다양하다. 이밖에도 사천왕(四天王)이나 천부중(天部衆) 등 불보살을 외호해 주거나 장엄해주 는 신중(神衆)을 묘사한 변상도도 있다.<ref>장충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2926 변상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변상도의 종류는 여러 경전의 내용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들을 등장 인물로 의하여 살펴보면, 아미타불변상도·비로자나불변상도(毘盧遮那佛變相圖)·석가모니불변상도(釋迦牟尼佛變相圖)·약사여래변상도·관음보살변상도·지장보살변상도(地藏菩薩變相圖) 등 매우 다양하다. 이밖에도 사천왕(四天王)이나 천부중(天部衆) 등 불보살을 외호해 주거나 장엄해주는 신중(神衆)을 묘사한 변상도도 있다.<ref>장충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2926 변상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변상도]] || [[불설대보부모은중경 언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변상도]] || [[불설대보부모은중경 언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변상도]] || [[월인석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변상도]] || [[월인석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
==참고문헌==
[[분류:한글고문서]][[분류:개념]][[분류:이혜영]]
+
===인용 및 참조===
 +
*장충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2926 변상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분류:한글고문서]][[분류:개념]]

2017년 11월 30일 (목) 15:36 기준 최신판

변상도
(變相圖)
대표명칭 변상도
한자표기 變相圖



정의

불교에 관한 여러 가지 내용을 시각적으로 형상화한 그림이다.

내용

변상도의 의미

불교의 교리가 그림이나 조각 등으로 알기 쉽게 표현된 종교화이다. 대체로 교훈적 의미를 지닌 석가모니 전생의 설화와 사상적 내용을 지닌 여러 형태의 조형물을 뜻한다. [1]

변상도의 형태별 종류

변상도는 석조 조각에 나타난 부조상(浮彫像)의 형태와 일반 불교 회화로 구별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불교 회화의 형태인 것이 많다. 회화 형태의 변상도는 벽화·탱화(幀畫)·사경화(寫經畫)·경판화(經板畫), 심지어는 단청(丹靑)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불탑에 대한 신앙적 표현이나 외호 또는 장엄을 위한 부조상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2]

변상도의 내용별 종류

변상도의 종류는 여러 경전의 내용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들을 등장 인물로 의하여 살펴보면, 아미타불변상도·비로자나불변상도(毘盧遮那佛變相圖)·석가모니불변상도(釋迦牟尼佛變相圖)·약사여래변상도·관음보살변상도·지장보살변상도(地藏菩薩變相圖) 등 매우 다양하다. 이밖에도 사천왕(四天王)이나 천부중(天部衆) 등 불보살을 외호해 주거나 장엄해주는 신중(神衆)을 묘사한 변상도도 있다.[3]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변상도 불설대보부모은중경 언해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변상도 월인석보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주석

  1. 장충식, "변상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장충식, "변상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장충식, "변상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장충식, "변상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