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박창돈-안시성싸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5번째 줄: 5번째 줄:
 
|작가= [[이종상]]
 
|작가= [[이종상]]
 
|제작연도= 1975년
 
|제작연도= 1975년
|규격= 300호(290.9x197cm)
+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전쟁
 
|유형= 전쟁
 
|분류= 유화
 
|분류= 유화
11번째 줄: 11번째 줄:
 
|필드수=8
 
|필드수=8
 
}}
 
}}
=='''개요'''==
 
[[파일:박창돈-안시성싸움(양만춘)-1975s.jpg|800px|center]]
 
<center>[[민족기록화 작품 시각화 예시]]</center>
 
  
=='''내용'''==
+
=='''설명'''==
 
[[양만춘]]<ref>안시성 전투를 승리로 이끈 장수의 이름이 『삼국사기』 등의 안시성전투에 관한 기본사료에는 나타나지 않으나 조선 중기 이래의 야사에는 양만춘(梁萬春 또는 楊滿春)으로 전해지고 있다고 한다.</ref>이 [[안시성]]에서 고구려군을 포위 공격하는 당나라 군대를 격퇴하는 장면을 그린 민족기록화이다.<br/>
 
[[양만춘]]<ref>안시성 전투를 승리로 이끈 장수의 이름이 『삼국사기』 등의 안시성전투에 관한 기본사료에는 나타나지 않으나 조선 중기 이래의 야사에는 양만춘(梁萬春 또는 楊滿春)으로 전해지고 있다고 한다.</ref>이 [[안시성]]에서 고구려군을 포위 공격하는 당나라 군대를 격퇴하는 장면을 그린 민족기록화이다.<br/>
 
당나라는 [[안시성]]을 점령하기 위해 당대 가장 강력한 공성 무기였던 [[포거]]<ref>抛車, 큰 돌을 날려 보내는 투석기</ref>와 [[충거]]<ref>衝車, 성벽을 파괴하는 돌격용 수레</ref>를 동원하는 한편 성벽보다 높은 토산(土山)을 쌓아 이를 발판으로 성을 공격하였다. 그러나 갑작스레 토산이 무너지면서 성벽의 한쪽 귀퉁이가 함께 부서졌고, 고구려군은 이 무너진 성벽 틈으로 빠져 나와 역으로 토산을 점령하여 전세를 뒤집을 수 있었다. 그림 왼편에 [[포거]]와 [[충거]]를 확인할 수 있고, 오른편에 성벽의 무너진 틈새에서 청룡기를 나부끼며 쏟아져 나오는 고구려군을 볼 수 있다.<br/>
 
당나라는 [[안시성]]을 점령하기 위해 당대 가장 강력한 공성 무기였던 [[포거]]<ref>抛車, 큰 돌을 날려 보내는 투석기</ref>와 [[충거]]<ref>衝車, 성벽을 파괴하는 돌격용 수레</ref>를 동원하는 한편 성벽보다 높은 토산(土山)을 쌓아 이를 발판으로 성을 공격하였다. 그러나 갑작스레 토산이 무너지면서 성벽의 한쪽 귀퉁이가 함께 부서졌고, 고구려군은 이 무너진 성벽 틈으로 빠져 나와 역으로 토산을 점령하여 전세를 뒤집을 수 있었다. 그림 왼편에 [[포거]]와 [[충거]]를 확인할 수 있고, 오른편에 성벽의 무너진 틈새에서 청룡기를 나부끼며 쏟아져 나오는 고구려군을 볼 수 있다.<br/>
 
실제 전투의 흐름 상 그림의 모든 상황이 같은 시간대에 이루어지지는 않았겠지만, 사료에 입각하여 [[안시성싸움|안시성 전투]]의 전개, 진행상 특이점 등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한 작품이다.
 
실제 전투의 흐름 상 그림의 모든 상황이 같은 시간대에 이루어지지는 않았겠지만, 사료에 입각하여 [[안시성싸움|안시성 전투]]의 전개, 진행상 특이점 등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한 작품이다.
 +
 +
=='''시각적 안내'''==
 +
[[파일:박창돈-안시성싸움(양만춘)-1975s.jpg|800px|center]]
 +
<center>[[민족기록화 작품 시각화 예시]]</center>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 민족기록화'''==
27번째 줄: 28번째 줄:
 
파일:정영렬-사수싸움(연개소문)-1976s.jpg|[[정영열-연개소문의 사수싸움]]
 
파일:정영렬-사수싸움(연개소문)-1976s.jpg|[[정영열-연개소문의 사수싸움]]
 
</gallery>
 
</gallery>
 
=='''추출정보'''==
 
===작품정보 연결망===
 
[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김지선/김지선1/김지선_김정호.htm 네트워크 그래프가 보이지 않는다면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html>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김지선/김지선1/김지선_김정호.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관련항목===
 
===관련항목===
65번째 줄: 59번째 줄:
 
|{{PAGENAME}} ||소장처|| [[독립기념관]] ||36.7861847|| 127.2242915
 
|{{PAGENAME}} ||소장처|| [[독립기념관]] ||36.7861847|| 127.2242915
 
|}
 
|}
 +
 +
=='''그래프'''==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김지선/김지선1/김지선_김정호.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참고문헌'''==
 
=='''참고문헌'''==

2017년 3월 9일 (목) 09:44 판


안시성싸움
박창돈-안시성싸움(양만춘)-1975s.jpg
작가 이종상
제작연도 1975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전쟁
분류 유화
소장처 독립기념관



설명

양만춘[1]안시성에서 고구려군을 포위 공격하는 당나라 군대를 격퇴하는 장면을 그린 민족기록화이다.
당나라는 안시성을 점령하기 위해 당대 가장 강력한 공성 무기였던 포거[2]충거[3]를 동원하는 한편 성벽보다 높은 토산(土山)을 쌓아 이를 발판으로 성을 공격하였다. 그러나 갑작스레 토산이 무너지면서 성벽의 한쪽 귀퉁이가 함께 부서졌고, 고구려군은 이 무너진 성벽 틈으로 빠져 나와 역으로 토산을 점령하여 전세를 뒤집을 수 있었다. 그림 왼편에 포거충거를 확인할 수 있고, 오른편에 성벽의 무너진 틈새에서 청룡기를 나부끼며 쏟아져 나오는 고구려군을 볼 수 있다.
실제 전투의 흐름 상 그림의 모든 상황이 같은 시간대에 이루어지지는 않았겠지만, 사료에 입각하여 안시성 전투의 전개, 진행상 특이점 등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한 작품이다.

시각적 안내

박창돈-안시성싸움(양만춘)-1975s.jpg
민족기록화 작품 시각화 예시

관련 민족기록화

고구려 전쟁 소재 작품

관련항목

노드 관계 노드
박창돈-안시성싸움 ~에 의해 그려지다 박창돈
박창돈-안시성싸움 ~에 소장되어 있다 독립기념관
박창돈-안시성싸움 ~을 소재로 삼다 안시성싸움
박창돈-안시성싸움 ~을 소재로 삼다 양만춘
박창돈-안시성싸움 ~을 배경으로 하다 안시성

시간정보

중심 시간정보명 시간값
박창돈-안시성싸움 제작연도 1975년
박창돈-안시성싸움 독립기념관 대여기간 1992.01.31~1992.01.30

공간정보

중심 연결정보 공간정보이름 경도 위도
박창돈-안시성싸움 소장처 독립기념관 36.7861847 127.2242915

그래프

참고문헌

주석

  1. 안시성 전투를 승리로 이끈 장수의 이름이 『삼국사기』 등의 안시성전투에 관한 기본사료에는 나타나지 않으나 조선 중기 이래의 야사에는 양만춘(梁萬春 또는 楊滿春)으로 전해지고 있다고 한다.
  2. 抛車, 큰 돌을 날려 보내는 투석기
  3. 衝車, 성벽을 파괴하는 돌격용 수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