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창돈-안시성싸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참고문헌)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작가= [[이종상]] | |작가= [[이종상]] | ||
|제작연도= 1975년 | |제작연도= 1975년 | ||
− | |규격= 300호( | + | |규격= 300호(197x290.9cm) |
|유형= 전쟁 | |유형= 전쟁 | ||
|분류= 유화 | |분류= 유화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필드수=8 | |필드수=8 | ||
}} | }} | ||
− | |||
− | |||
− | |||
− | ==''' | + | =='''설명'''== |
[[양만춘]]<ref>안시성 전투를 승리로 이끈 장수의 이름이 『삼국사기』 등의 안시성전투에 관한 기본사료에는 나타나지 않으나 조선 중기 이래의 야사에는 양만춘(梁萬春 또는 楊滿春)으로 전해지고 있다고 한다.</ref>이 [[안시성]]에서 고구려군을 포위 공격하는 당나라 군대를 격퇴하는 장면을 그린 민족기록화이다.<br/> | [[양만춘]]<ref>안시성 전투를 승리로 이끈 장수의 이름이 『삼국사기』 등의 안시성전투에 관한 기본사료에는 나타나지 않으나 조선 중기 이래의 야사에는 양만춘(梁萬春 또는 楊滿春)으로 전해지고 있다고 한다.</ref>이 [[안시성]]에서 고구려군을 포위 공격하는 당나라 군대를 격퇴하는 장면을 그린 민족기록화이다.<br/> | ||
당나라는 [[안시성]]을 점령하기 위해 당대 가장 강력한 공성 무기였던 [[포거]]<ref>抛車, 큰 돌을 날려 보내는 투석기</ref>와 [[충거]]<ref>衝車, 성벽을 파괴하는 돌격용 수레</ref>를 동원하는 한편 성벽보다 높은 토산(土山)을 쌓아 이를 발판으로 성을 공격하였다. 그러나 갑작스레 토산이 무너지면서 성벽의 한쪽 귀퉁이가 함께 부서졌고, 고구려군은 이 무너진 성벽 틈으로 빠져 나와 역으로 토산을 점령하여 전세를 뒤집을 수 있었다. 그림 왼편에 [[포거]]와 [[충거]]를 확인할 수 있고, 오른편에 성벽의 무너진 틈새에서 청룡기를 나부끼며 쏟아져 나오는 고구려군을 볼 수 있다.<br/> | 당나라는 [[안시성]]을 점령하기 위해 당대 가장 강력한 공성 무기였던 [[포거]]<ref>抛車, 큰 돌을 날려 보내는 투석기</ref>와 [[충거]]<ref>衝車, 성벽을 파괴하는 돌격용 수레</ref>를 동원하는 한편 성벽보다 높은 토산(土山)을 쌓아 이를 발판으로 성을 공격하였다. 그러나 갑작스레 토산이 무너지면서 성벽의 한쪽 귀퉁이가 함께 부서졌고, 고구려군은 이 무너진 성벽 틈으로 빠져 나와 역으로 토산을 점령하여 전세를 뒤집을 수 있었다. 그림 왼편에 [[포거]]와 [[충거]]를 확인할 수 있고, 오른편에 성벽의 무너진 틈새에서 청룡기를 나부끼며 쏟아져 나오는 고구려군을 볼 수 있다.<br/> | ||
실제 전투의 흐름 상 그림의 모든 상황이 같은 시간대에 이루어지지는 않았겠지만, 사료에 입각하여 [[안시성싸움|안시성 전투]]의 전개, 진행상 특이점 등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한 작품이다. | 실제 전투의 흐름 상 그림의 모든 상황이 같은 시간대에 이루어지지는 않았겠지만, 사료에 입각하여 [[안시성싸움|안시성 전투]]의 전개, 진행상 특이점 등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한 작품이다. | ||
+ | |||
+ | =='''시각적 안내'''== | ||
+ | [[파일:박창돈-안시성싸움(양만춘)-1975s.jpg|800px|center]] | ||
+ | <center>[[민족기록화 작품 시각화 예시]]</center> | ||
=='''관련 민족기록화'''== | =='''관련 민족기록화'''== | ||
27번째 줄: | 28번째 줄: | ||
파일:정영렬-사수싸움(연개소문)-1976s.jpg|[[정영열-연개소문의 사수싸움]] | 파일:정영렬-사수싸움(연개소문)-1976s.jpg|[[정영열-연개소문의 사수싸움]] | ||
</gallery> | </gallery> | ||
− | |||
− | |||
− | |||
− | |||
− | |||
− | |||
− | |||
===관련항목=== | ===관련항목=== | ||
65번째 줄: | 59번째 줄: | ||
|{{PAGENAME}} ||소장처|| [[독립기념관]] ||36.7861847|| 127.2242915 | |{{PAGENAME}} ||소장처|| [[독립기념관]] ||36.7861847|| 127.2242915 | ||
|} | |} | ||
+ | |||
+ | =='''그래프'''== | ||
+ | <html> | ||
+ |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김지선/김지선1/김지선_김정호.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2017년 3월 9일 (목) 09:44 판
안시성싸움 | |
작가 | 이종상 |
---|---|
제작연도 | 1975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전쟁 |
분류 | 유화 |
소장처 | 독립기념관 |
설명
양만춘[1]이 안시성에서 고구려군을 포위 공격하는 당나라 군대를 격퇴하는 장면을 그린 민족기록화이다.
당나라는 안시성을 점령하기 위해 당대 가장 강력한 공성 무기였던 포거[2]와 충거[3]를 동원하는 한편 성벽보다 높은 토산(土山)을 쌓아 이를 발판으로 성을 공격하였다. 그러나 갑작스레 토산이 무너지면서 성벽의 한쪽 귀퉁이가 함께 부서졌고, 고구려군은 이 무너진 성벽 틈으로 빠져 나와 역으로 토산을 점령하여 전세를 뒤집을 수 있었다. 그림 왼편에 포거와 충거를 확인할 수 있고, 오른편에 성벽의 무너진 틈새에서 청룡기를 나부끼며 쏟아져 나오는 고구려군을 볼 수 있다.
실제 전투의 흐름 상 그림의 모든 상황이 같은 시간대에 이루어지지는 않았겠지만, 사료에 입각하여 안시성 전투의 전개, 진행상 특이점 등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한 작품이다.
시각적 안내
관련 민족기록화
고구려 전쟁 소재 작품
관련항목
노드 | 관계 | 노드 |
---|---|---|
박창돈-안시성싸움 | ~에 의해 그려지다 | 박창돈 |
박창돈-안시성싸움 | ~에 소장되어 있다 | 독립기념관 |
박창돈-안시성싸움 | ~을 소재로 삼다 | 안시성싸움 |
박창돈-안시성싸움 | ~을 소재로 삼다 | 양만춘 |
박창돈-안시성싸움 | ~을 배경으로 하다 | 안시성 |
시간정보
중심 | 시간정보명 | 시간값 |
---|---|---|
박창돈-안시성싸움 | 제작연도 | 1975년 |
박창돈-안시성싸움 | 독립기념관 대여기간 | 1992.01.31~1992.01.30 |
공간정보
중심 | 연결정보 | 공간정보이름 | 경도 | 위도 |
---|---|---|---|---|
박창돈-안시성싸움 | 소장처 | 독립기념관 | 36.7861847 | 127.2242915 |
그래프
참고문헌
- "안시성전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 (2017년 2월 14일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