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내용)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작가= [[김서봉]] | |작가= [[김서봉]] | ||
|제작연도= 1975년 | |제작연도= 1975년 | ||
− | |규격= 300호( | + | |규격= 300호(197x290.9cm) |
|유형= 전쟁 | |유형= 전쟁 | ||
|분류= 유화 | |분류= 유화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필드수=8 | |필드수=8 | ||
}} | }} | ||
− | ==''' | + | =='''설명'''== |
+ | [[배중손]]이 지휘하는 [[삼별초]]의 전선들이 [[진도]]에서 고려·몽고 연합군을 격퇴하는 장면을 그린 민족기록화이다.<br/> | ||
+ | 왼쪽 위에 작게 고려·몽고의 연합군이 [[삼별초]]를 혁파하기 위해 [[진도]]의 맞은 편에서 진을 치고 있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그러나 평소 [[강화도]] 지역의 수비를 맡아 해상 전투에 익숙한 [[삼별초]]에 의해 연합군의 배는 속수무책으로 가라앉고 있는 상황이다. 침몰하고 있는 전선(戰船)들에서 검은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는데, 삼별초 항쟁이 벌어진 1270년대 당시에는 [[화포]]와 [[화약]] 개량이나 보급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극적 효과를 노리기 위한 미술적 장치로 보아야 할 것이다. 좌우로 양분된 화면 오른편에는 진군하는 [[삼별초]]의 모습이, 왼편에는 연기로 뒤덮인 채 바다로 침몰하고 있는 연합군의 모습이 대비를 이루고 있다. | ||
+ | |||
+ | =='''시각적 안내'''== | ||
[[파일:김서봉-삼별초대몽항쟁-1975s.jpg|800px|center]] | [[파일:김서봉-삼별초대몽항쟁-1975s.jpg|800px|center]] | ||
<center>[[민족기록화 작품 시각화 예시]]</center> | <center>[[민족기록화 작품 시각화 예시]]</center> | ||
− | |||
− | |||
− | |||
− | |||
=='''관련 민족기록화'''== | =='''관련 민족기록화'''== | ||
29번째 줄: | 29번째 줄: | ||
파일:박창돈-홍산전투(최영)-1976s.jpg|[[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 파일:박창돈-홍산전투(최영)-1976s.jpg|[[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 ||
</gallery> | </gallery> | ||
− | |||
− | |||
− | |||
− | |||
− | |||
− | |||
− | |||
===관련항목=== | ===관련항목=== | ||
67번째 줄: | 60번째 줄: | ||
|{{PAGENAME}} ||소장처|| [[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 ||37.423111|| 126.973591 | |{{PAGENAME}} ||소장처|| [[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 ||37.423111|| 126.973591 | ||
|} | |} | ||
+ | |||
+ | =='''그래프'''== | ||
+ | <html> | ||
+ |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김지선/김지선1/김지선_김정호.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2017년 3월 9일 (목) 09:40 판
삼별초의 대몽항전 | |
작가 | 김서봉 |
---|---|
제작연도 | 1975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전쟁 |
분류 | 유화 |
소장처 | 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 |
설명
배중손이 지휘하는 삼별초의 전선들이 진도에서 고려·몽고 연합군을 격퇴하는 장면을 그린 민족기록화이다.
왼쪽 위에 작게 고려·몽고의 연합군이 삼별초를 혁파하기 위해 진도의 맞은 편에서 진을 치고 있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그러나 평소 강화도 지역의 수비를 맡아 해상 전투에 익숙한 삼별초에 의해 연합군의 배는 속수무책으로 가라앉고 있는 상황이다. 침몰하고 있는 전선(戰船)들에서 검은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는데, 삼별초 항쟁이 벌어진 1270년대 당시에는 화포와 화약 개량이나 보급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극적 효과를 노리기 위한 미술적 장치로 보아야 할 것이다. 좌우로 양분된 화면 오른편에는 진군하는 삼별초의 모습이, 왼편에는 연기로 뒤덮인 채 바다로 침몰하고 있는 연합군의 모습이 대비를 이루고 있다.
시각적 안내
관련 민족기록화
고려 전쟁 소재 작품
관련항목
노드 | 관계 | 노드 |
---|---|---|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 ~에 의해 그려지다 | 김서봉 |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 ~에 소장되어 있다 | 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 |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 ~을 소재로 삼다 | 삼별초 |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 ~을 소재로 삼다 | 배중손 |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 ~을 배경으로 하다 | 진도 |
시간정보
중심 | 시간정보명 | 시간값 |
---|---|---|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 제작연도 | 1975년 |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 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 대여기간 | 1991.11.30~1992.11.29 |
공간정보
중심 | 연결정보 | 공간정보이름 | 경도 | 위도 |
---|---|---|---|---|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 소장처 | 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 | 37.423111 | 126.973591 |
그래프
참고문헌
- "쌍영총", 고고학사전,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학사전 온라인 서비스 (2017년 2월 7일 확인)
- "쌍영총:안간천정벽화",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백과 길상 이미지), 한국콘텐츠진흥원. 문화콘텐츠닷컴 (2017년 2월 7일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