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이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시각자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인물정보
 
{{인물정보
|사진=
+
|사진= 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이삼 초상.jpg
|사진출처=
+
|사진출처= 배한철, "[http://m.mk.co.kr/premium/view.php?cc=110002&no=12160 만화인가 초상화인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매일경제』<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6년 05월 18일.
 
|대표명칭=이삼
 
|대표명칭=이삼
 
|한자표기=李森
 
|한자표기=李森
8번째 줄: 8번째 줄:
 
|이칭=
 
|이칭=
 
|시호=
 
|시호=
|호=
+
|호=백일헌(白日軒)
 
|자=원백(遠伯)
 
|자=원백(遠伯)
 
|생년=1677년(숙종 3)
 
|생년=1677년(숙종 3)
18번째 줄: 18번째 줄:
 
|대표저서=관서절요(關西節要)
 
|대표저서=관서절요(關西節要)
 
|대표직함=
 
|대표직함=
|배우자=
+
|배우자=진주유씨
 
|부=이사길(李師吉)
 
|부=이사길(李師吉)
 
|모=
 
|모=
37번째 줄: 37번째 줄:
 
이삼(李森)은 함평군 이사길(李師吉)과 [[남양전씨]] 사이에서 1677년([[조선 숙종|숙종]] 30)에 태어났다. 이삼의 가계는 상계로 올라가면 무반 가문의 전통이 강했다. 그러나 고조 이후는 문반으로서의 성향이 더해져, 이삼이 '문무겸전'의 인물이 되는 데 큰 영향을 끼쳤다.<ref>고순영, "[http://non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nonsan&dataType=01&contents_id=GC02001343 이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논산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이삼(李森)은 함평군 이사길(李師吉)과 [[남양전씨]] 사이에서 1677년([[조선 숙종|숙종]] 30)에 태어났다. 이삼의 가계는 상계로 올라가면 무반 가문의 전통이 강했다. 그러나 고조 이후는 문반으로서의 성향이 더해져, 이삼이 '문무겸전'의 인물이 되는 데 큰 영향을 끼쳤다.<ref>고순영, "[http://non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nonsan&dataType=01&contents_id=GC02001343 이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논산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윤증|윤증(尹拯)]]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병조판서 [[김구|김구(金傋)]]가 이삼의 힘과 담략이 뛰어남을 보고 무과 응시를 권하였다. 1705년([[조선 숙종|숙종]] 31)에 무과에 급제하였다. 1713년 정주목사로 임명된 뒤 1717년 평안도병마절도사사·함경남도병마절도사사 등을 역임하였다. 군제개혁에 많은 관심을 가졌으며, [[조선 경종|경종]]의 신임을 받아 수원부사·우포도대장·충청도병마절도사 등을 거쳐 1721년 총융사·한성부우윤, 1724년 어영대장을 지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340831&cid=40942&categoryId=37404 이삼]",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1725년([[조선 영조|영조]] 1) 어영(御營)대장으로 [[조선 경종|경종]] 때의 죄인을 신문한 사건과 관련하여 [[이정신|이정신(李正臣)]]과 함께 파직되어 경상도 곤양(昆陽:사천)에 유배되었다. 1727년 왕의 특지(特旨)로 훈련대장에 복관되어 [[이인좌의 난|이인좌(李麟佐)의 난]]을 평정하고 공신에 책록되었으며 함은군(咸恩君)에 봉해졌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34795&cid=40942&categoryId=33383 이삼]",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1729년 병조판서에 올랐다. 지리의 이용과 기계의 제조, 여러 무술에 두루 능통하였다.<ref>이재룡,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4556 이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1735년([[조선 영조|영조]] 11) 정월 10일 향년 59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이삼의 부음을 들은 [[조선 영조|영조]]는 애도의 뜻으로 철조(輟朝)<ref>철조(輟朝): 국상(國喪)을 당하거나 대신(大臣)이 죽었을 때, 혹은 재앙이 있을 때 임시로 조회(朝會)를 정지하던 일. 출처:한국고전용어사전 편찬위원회, 『한국고전용어사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1.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3743&cid=50293&categoryId=50293 철조]", 한국고전용어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와 철시(撤市)<ref>철시(撤市): 국상이 났거나 대신이 죽었을 때 저자의 문을 닫고 쉬던 일. 출처: "[http://stdweb2.korean.go.kr/search/View.jsp?idx=326856 철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표준국어대사전』<sup>online</sup></online></html>, 국립국어원.</ref>를 명하고 신하들이 진달한 바에 따라 우찬성 함은부원군(右贊成咸恩府院君)으로 추증하였으며, 예관을 보내어 제를 올렸다. 저서로는 『관서절요(關西節要)』가 있다.
+
[[윤증|윤증(尹拯)]]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병조판서 김구(金傋)가 이삼의 힘과 담략이 뛰어남을 보고 무과 응시를 권하였다. 1705년([[조선 숙종|숙종]] 31)에 무과에 급제하였다. 1713년 정주목사로 임명된 뒤 1717년 평안도병마절도사사·함경남도병마절도사사 등을 역임하였다. 군제개혁에 많은 관심을 가졌으며, [[조선 경종|경종]]의 신임을 받아 수원부사·우포도대장·충청도병마절도사 등을 거쳐 1721년 총융사·한성부우윤, 1724년 어영대장을 지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340831&cid=40942&categoryId=37404 이삼]",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1725년([[조선 영조|영조]] 1) [[조선 경종|경종]] 때의 죄인을 신문한 사건과 관련하여 [[이정신|이정신(李正臣)]]과 함께 파직되어 경상도 곤양(昆陽:사천)에 유배되었다. 1727년 왕의 특지(特旨)로 훈련대장에 복관되어 [[이인좌의 난|이인좌(李麟佐)의 난]]을 평정하고 공신에 책록되었으며 함은군(咸恩君)에 봉해졌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34795&cid=40942&categoryId=33383 이삼]",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1734년 [[조선 영조|영조]]로부터 '백일(白日)'이라는 편호(扁號)를 하사받았다.<ref>"[http://db.itkc.or.kr/dir/item?grpId=hj#/dir/node?grpId=hj&itemId=MI&dataId=ITKC_MI_0480A 백일헌유집]", 한국문집총간 해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고전종합DB』<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고전번역원.</ref> 1735년([[조선 영조|영조]] 11) 정월 10일 향년 59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이삼의 부음을 들은 [[조선 영조|영조]]는 애도의 뜻으로 철조(輟朝)<ref>철조(輟朝): 국상(國喪)을 당하거나 대신(大臣)이 죽었을 때, 혹은 재앙이 있을 때 임시로 조회(朝會)를 정지하던 일. 출처:한국고전용어사전 편찬위원회, 『한국고전용어사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1.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3743&cid=50293&categoryId=50293 철조]", 한국고전용어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와 철시(撤市)<ref>철시(撤市): 국상이 났거나 대신이 죽었을 때 저자의 문을 닫고 쉬던 일. 출처: "[http://stdweb2.korean.go.kr/search/View.jsp?idx=326856 철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표준국어대사전』<sup>online</sup></online></html>, 국립국어원.</ref>를 명하고 신하들이 진달한 바에 따라 우찬성 함은부원군(右贊成咸恩府院君)으로 추증하였으며, 예관을 보내어 제를 올렸다.<ref>고순영, "[http://non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nonsan&dataType=01&contents_id=GC02001343 이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논산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지리의 이용과 기계의 제조, 여러 무술에 두루 능통하였다고 한다.<ref>이재룡,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4556 이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현재 논산시 상월면 주곡리에는 이삼이 [[이인좌의 난]]을 평정하는 데 이바지함에 따라 [[조선 영조|영조]]가 내린 하사금으로 1700년대 초에 지은 고택인 [[논산 백일헌 종택|백일헌 종택(국가민속문화재 제273호)]]이 원형을 간직한 채 남아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8,02730000,34 논산 백일헌 종택]",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종택에는 조선 시대 공신의 책봉과 관련된 교서 등 많은 고문서와 백일헌 유집(遺集) 등 서적, 언월도(偃月刀) 등 무관(武官)과 관련된 많은 유품과 사당이 보존되어 있다.<ref>김규형, "[http://non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nonsan&dataType=01&contents_id=GC02030004 논산 백일헌 종택]",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논산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또한 논산시 상월면 석종리에는 이삼의 영정을 모신 사당인 [[백일헌영당|백일헌영당(白日軒影堂)]]<ref>전용우, "[http://non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nonsan&dataType=01&contents_id=GC02000679 백일헌 영당]",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논산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이삼 장군 묘소|이삼의 묘]], [[이삼 장군 재실|재실(齋室)]이삼 장군 재실 등이 남아 있다. 이 밖에, 조선시대 객사 건물인 [[여수 진남관|여수 진남관(鎭南館, 국보 제304호)]] 경내에는 이삼이 전라좌수사로 부임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건립된 비인 [[함은군 이삼 거사불망비咸恩君李森去思不忘碑 ]]가 남아 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325687&cid=40942&categoryId=33690 이삼]",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저서===
 +
[[윤동수|윤동수(尹東洙)]]가 지은 묘지명에 의하면 이삼의 저서로 『관서절요(關西節要)』가 있다고 하나 현재는 전해지지 않는다.<ref>"[http://db.itkc.or.kr/dir/item?grpId=hj#/dir/node?grpId=hj&itemId=MI&dataId=ITKC_MI_0480A 백일헌유집]", 한국문집총간 해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고전종합DB』<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고전번역원.</ref>
  
=='''지식관계망'''==
+
1949년 이삼의 후손들이 시문집을 수집하여 [[정인보|정인보(鄭寅普)]]로부터 서문을 받아 간행한 [[백일헌유집|백일헌유집(白日軒遺集)]]이 전해진다.
===관련항목===
+
 
 +
===이삼과 관련된 문화유산===
 +
현재 논산시 상월면 주곡리에는 이삼이 [[이인좌의 난]]을 평정하는 데 이바지함에 따라 [[조선 영조|영조]]가 내린 하사금으로 1700년대 초에 지은 고택인 [[논산 백일헌 종택|백일헌 종택(국가민속문화재 제273호)]]이 남아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8,02730000,34 논산 백일헌 종택]",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종택에는 조선 시대 공신의 책봉과 관련된 교서 등 많은 고문서와 백일헌 유집(遺集) 등 서적, 언월도(偃月刀) 등 무관(武官)과 관련된 많은 유품과 사당이 보존되어 있다.<ref>김규형, "[http://non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nonsan&dataType=01&contents_id=GC02030004 논산 백일헌 종택]",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논산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논산시 상월면 석종리에는 이삼의 영정을 모신 사당인 [[백일헌 영당|백일헌영당(白日軒影堂)]], [[이삼 장군 묘소|이삼의 묘]], [[이삼 장군 재실|이삼 장군 재실(齋室)]] 등이 남아 있다.<ref>전용우, "[http://non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nonsan&dataType=01&contents_id=GC02000679 백일헌 영당]",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논산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조선시대 객사 건물인 [[여수 진남관|여수 진남관(鎭南館, 국보 제304호)]] 경내에는 전라좌수사로 부임한 이삼을 기념하기 위해 건립된 [[함은군 이삼 거사불망비咸恩君李森去思不忘碑 ]]가 남아 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325687&cid=40942&categoryId=33690 함은군 이삼 거사불망비]",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지식 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E005/E005.htm  이삼과 이순신과 이창운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05/E005.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이삼 공신도상]] || [[이삼]] || A는 B의 초상화이다 ||
+
| [[이삼 공신도상]] || [[이삼]]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이삼 초상(전신상)]] || [[이삼]] || A는 B의 초상화이다 ||
+
| [[이삼 초상]] || [[이삼]]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 [[윤증]] || [[이삼]]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이삼]] || [[이인좌의 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이삼]] || [[조선 영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이삼]] || [[윤동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이삼]] || [[정인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이삼]] || [[백일헌유집]]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이삼]] || [[논산 백일헌 종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이삼]] || [[백일헌 영당]]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이삼]] || [[이삼 장군 묘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이삼]] || [[이삼 장군 재실]]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함은군 이삼 거사불망비]] || [[이삼]]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
| [[이삼]] || [[수군절도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분무공신]] || [[이삼]]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여수 진남관]] || [[이삼]]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시각자료'''==
 
=='''시각자료'''==
 
===갤러리===
 
===갤러리===
<gallery mode=packed heights=230px caption='이삼의 초상화'>
+
<gallery mode=packed heights=230px>
 +
파일: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이삼 공신도상.jpg|이삼 공신도상<ref>younghwan, "[http://younghwan12.tistory.com/3207 중앙박물관 특별전 '145년만의 귀환, 외규장각 의궤', 왕권과 통치]", 박물관 여행(Museum)/박물관특별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티스토리 블로그 -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1년 07월 25일.</ref>
 +
파일: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이삼 초상.jpg|이삼 초상<ref>배한철, "[http://m.mk.co.kr/premium/view.php?cc=110002&no=12160 만화인가 초상화인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매일경제』<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6년 05월 18일.</ref>
 
</gallery>
 
</gallery>
 +
 +
===영상===
 +
*Nonsan City, "[https://www.youtube.com/embed/puVTY1-a6fg 이삼장군 고택]", YouTube, 게시일: 2016년 6월 29일.
 +
<html>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puVTY1-a6fg" frameborder="0" gesture="media" allowfullscreen></iframe>
 +
</html>
  
 
=='''주석'''==
 
=='''주석'''==
61번째 줄: 113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
#*"[http://db.itkc.or.kr/dir/item?grpId=hj#/dir/node?grpId=hj&itemId=MI&dataId=ITKC_MI_0480A 백일헌유집]", 한국문집총간 해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고전종합DB』<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고전번역원.
 +
#*이재룡,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4556 이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340831&cid=40942&categoryId=37404 이삼]",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34795&cid=40942&categoryId=33383 이삼]",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고순영, "[http://non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nonsan&dataType=01&contents_id=GC02001343 이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논산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규형, "[http://non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nonsan&dataType=01&contents_id=GC02030004 논산 백일헌 종택]",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논산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8,02730000,34 논산 백일헌 종택]",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전용우, "[http://non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nonsan&dataType=01&contents_id=GC02000679 백일헌 영당]",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논산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325687&cid=40942&categoryId=33690 함은군 이삼 거사불망비]",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younghwan, "[http://younghwan12.tistory.com/3207 중앙박물관 특별전 '145년만의 귀환, 외규장각 의궤', 왕권과 통치]", 박물관 여행(Museum)/박물관특별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티스토리 블로그 -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1년 07월 25일.
 +
#*배한철, "[http://m.mk.co.kr/premium/view.php?cc=110002&no=12160 만화인가 초상화인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매일경제』<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6년 05월 18일.
  
[[분류:인물]]
+
{{틀:역사인물초상화 Top icon}}
 +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역사인물]][[분류:인물]]

2017년 11월 28일 (화) 16:53 기준 최신판

이삼(李森)
배한철, "만화인가 초상화인가", 『매일경제』online, 작성일: 2016년 05월 18일.
대표명칭 이삼
한자표기 李森
생몰년 1677년(숙종 3)-1735년(영조 11)
본관 함평(咸平)
백일헌(白日軒)
원백(遠伯)
시대 조선
대표저서 관서절요(關西節要)
배우자 진주유씨
이사길(李師吉)



정의

조선 후기의 무신.

내용

이삼(李森)은 함평군 이사길(李師吉)과 남양전씨 사이에서 1677년(숙종 30)에 태어났다. 이삼의 가계는 상계로 올라가면 무반 가문의 전통이 강했다. 그러나 고조 이후는 문반으로서의 성향이 더해져, 이삼이 '문무겸전'의 인물이 되는 데 큰 영향을 끼쳤다.[1]

윤증(尹拯)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병조판서 김구(金傋)가 이삼의 힘과 담략이 뛰어남을 보고 무과 응시를 권하였다. 1705년(숙종 31)에 무과에 급제하였다. 1713년 정주목사로 임명된 뒤 1717년 평안도병마절도사사·함경남도병마절도사사 등을 역임하였다. 군제개혁에 많은 관심을 가졌으며, 경종의 신임을 받아 수원부사·우포도대장·충청도병마절도사 등을 거쳐 1721년 총융사·한성부우윤, 1724년 어영대장을 지냈다.[2] 1725년(영조 1) 경종 때의 죄인을 신문한 사건과 관련하여 이정신(李正臣)과 함께 파직되어 경상도 곤양(昆陽:사천)에 유배되었다. 1727년 왕의 특지(特旨)로 훈련대장에 복관되어 이인좌(李麟佐)의 난을 평정하고 공신에 책록되었으며 함은군(咸恩君)에 봉해졌다.[3] 1734년 영조로부터 '백일(白日)'이라는 편호(扁號)를 하사받았다.[4] 1735년(영조 11) 정월 10일 향년 59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이삼의 부음을 들은 영조는 애도의 뜻으로 철조(輟朝)[5]와 철시(撤市)[6]를 명하고 신하들이 진달한 바에 따라 우찬성 함은부원군(右贊成咸恩府院君)으로 추증하였으며, 예관을 보내어 제를 올렸다.[7] 지리의 이용과 기계의 제조, 여러 무술에 두루 능통하였다고 한다.[8]

저서

윤동수(尹東洙)가 지은 묘지명에 의하면 이삼의 저서로 『관서절요(關西節要)』가 있다고 하나 현재는 전해지지 않는다.[9]

1949년 이삼의 후손들이 시문집을 수집하여 정인보(鄭寅普)로부터 서문을 받아 간행한 백일헌유집(白日軒遺集)이 전해진다.

이삼과 관련된 문화유산

현재 논산시 상월면 주곡리에는 이삼이 이인좌의 난을 평정하는 데 이바지함에 따라 영조가 내린 하사금으로 1700년대 초에 지은 고택인 백일헌 종택(국가민속문화재 제273호)이 남아 있다.[10] 종택에는 조선 시대 공신의 책봉과 관련된 교서 등 많은 고문서와 백일헌 유집(遺集) 등 서적, 언월도(偃月刀) 등 무관(武官)과 관련된 많은 유품과 사당이 보존되어 있다.[11]

논산시 상월면 석종리에는 이삼의 영정을 모신 사당인 백일헌영당(白日軒影堂), 이삼의 묘, 이삼 장군 재실(齋室) 등이 남아 있다.[12]

조선시대 객사 건물인 여수 진남관(鎭南館, 국보 제304호) 경내에는 전라좌수사로 부임한 이삼을 기념하기 위해 건립된 함은군 이삼 거사불망비咸恩君李森去思不忘碑 가 남아 있다.[1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삼 공신도상 이삼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이삼 초상 이삼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윤증 이삼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이삼 이인좌의 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삼 조선 영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삼 윤동수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삼 정인보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삼 백일헌유집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삼 논산 백일헌 종택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삼 백일헌 영당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삼 이삼 장군 묘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삼 이삼 장군 재실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함은군 이삼 거사불망비 이삼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이삼 수군절도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분무공신 이삼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여수 진남관 이삼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고순영, "이삼", 『디지털논산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이삼",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이삼",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4. "백일헌유집", 한국문집총간 해제, 『한국고전종합DB』online, 한국고전번역원.
  5. 철조(輟朝): 국상(國喪)을 당하거나 대신(大臣)이 죽었을 때, 혹은 재앙이 있을 때 임시로 조회(朝會)를 정지하던 일. 출처:한국고전용어사전 편찬위원회, 『한국고전용어사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1. 온라인 참조: "철조", 한국고전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6. 철시(撤市): 국상이 났거나 대신이 죽었을 때 저자의 문을 닫고 쉬던 일. 출처: "철시", 『표준국어대사전』online, 국립국어원.
  7. 고순영, "이삼", 『디지털논산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8. 이재룡, "이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9. "백일헌유집", 한국문집총간 해제, 『한국고전종합DB』online, 한국고전번역원.
  10. "논산 백일헌 종택",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11. 김규형, "논산 백일헌 종택", 『디지털논산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2. 전용우, "백일헌 영당", 『디지털논산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3. "함은군 이삼 거사불망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14. younghwan, "중앙박물관 특별전 '145년만의 귀환, 외규장각 의궤', 왕권과 통치", 박물관 여행(Museum)/박물관특별전, 『티스토리 블로그 -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online, 작성일: 2011년 07월 25일.
  15. 배한철, "만화인가 초상화인가", 『매일경제』online, 작성일: 2016년 05월 18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