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이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시간정보)
(영상)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3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틀:역사인물초상화 Top icon}}
 
{{인물정보
 
{{인물정보
 
|사진= 초상화 이이 표준영정.png
 
|사진= 초상화 이이 표준영정.png
31번째 줄: 32번째 줄:
  
 
==정의==
 
==정의==
조선후기의 문신·학자로 [[조선 중종|중종]]과 [[조선 선조|선조]]대의 인물이다. 조선 성리학을 대표하는 학자로 손꼽히며 그의 후대 문인들이 서인 세력을 형성하여 조선후기 정치를 주도하였다.  
+
조선후기의 문신·학자로 [[조선 중종|중종]]과 [[조선 선조|선조]]대의 인물이다. 조선 성리학을 대표하는 학자로 손꼽히며 그의 후대 문인들이 서인 세력을 형성하였다.
<ref>김영두,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71 이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ref>김영두,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71 이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내용==
 
==내용==
 
===이이의 성장배경===
 
===이이의 성장배경===
 
====이이의 가정환경====
 
====이이의 가정환경====
이이의 본관은 경기 덕수(德水)이며, 부친은 이원수(李元秀)로 감찰(監察)을 지냈다. 어머니는 기묘명현(己卯名賢)인 [[신명화|신명화(申命和)]]의 딸인 [[신사임당|신사임당(申師任堂)]]으로서 예(禮)에 익숙하고 시(詩)에 밝았으며 글씨를 잘 쓰고 그림도 잘 그렸다. 이이는 중종 31년(1536) 12월 26일에 강릉 북평촌(北坪村) 외가에서 태어났다. 자라면서 어머니에게 글을 배웠다. <ref>김영두,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71 이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이이의 본관은 경기 덕수(德水)이며, 부친은 [[이원수|이원수(李元秀)]]이다. 어머니는 [[신사임당|신사임당]]이다. [[이이]]는 1536년 12월 26일에 [[강릉 오죽헌]]에서 태어났다. <ref>김영두,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71 이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이이의 혼인과 학문적 성장====
+
====[[이이]]의 혼인과 학문적 성장====
이이는 16세에 어머니의 상(喪)을 당하였고, 때문에 19세에 불교를 공부하러 산에 들어갔다가 20세 되던 해에 다시 강릉으로 돌아왔다. 그리고 그때 [[자경문]]을 지었는데, 그것은 자신의 수양과 공부의 원칙을 11개 조항으로 정리한 것이었다. 그리고 그 첫 번째 조항이 뜻을 크게 세우고 성현을 표준으로 삼는다는 것이었다. 명종 12년(1557) 부인을 맞아들였는데, 성주목사(星州牧使) [[노경린|노경린(盧慶麟)]]의 따님이었다. 다음 해 성주에서 강릉으로 돌아가는 길에 도산(陶山)에 들러 [[이황|퇴계 이황]]을 만났다. 그 후 서찰을 주고받으며 여러 학설을 논변하였다. 이이는 일찍이 [[성혼|우계(牛溪) 성혼(成渾)]]과 교유하였고, [[이황|퇴계 이황]]을 만나 교분을 쌓았다. <ref>김영두,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71 이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이이]]는 16세에 어머니 [[신사임당]]사망으로 충격을 받아 19세에 불교를 공부하러 산에 들어갔다가 20세에 다시 강릉으로 돌아왔다. 그 때 [[자경문]]을 지었다. 1557년 [[노경린|노경린(盧慶麟)]]의 딸과 혼인하였다. 다음 해 [[안동 계상서당]]에서 [[이황|퇴계 이황]]을 만났다. 그 후 서찰을 주고받으며 여러 학설을 논변하였다. <ref>김영두,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71 이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이이의 정계활동===
 
===이이의 정계활동===
====이이의 정계활동 초기====
+
이이는 1564년 과거에 급제하였다. 처음 호조좌랑(戶曹佐郞)에 제수되었고, 이조좌랑(吏曹佐郞), 사헌부 지평 등을 역임하였다. [[조선 명종]]승하하고 [[조선 선조]]가 즉위하자 [[홍문관]] 교리가 되었는데, 이때 『[[동호문답|동호문답(東湖問答)]]』과 『[[만언봉사]]』를 지어올렸다. <ref>김영두,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71 이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이이는 명종 19년(1564) 과거에 급제하였다. 이때 사마시(司馬試)와 문과(文科)를 거치면서 장원을 차지한 것이 아홉 차례에 이르러 ‘구도장원공(九度壯元公)’이라고 불리었다. 처음 호조좌랑(戶曹佐郞)에 제수되었고, 예조좌랑(禮曹佐郞),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 이조좌랑(吏曹佐郞), 사헌부 지평 등을 역임하였다. 그는 신진 관료로서 [[을사사화|을사사화(乙巳士禍)]] 이후 관직의 풍토를 비판하였는데, 을사사화 때의 위사공신(보익공신)(衛社功臣(保翼功臣))을 삭훈하자는 주장이 대표적이다. 명종이 승하하고 선조(조선)(宣祖)가 즉위하자 천추사(千秋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북경(北京)에 갔다가 돌아와서 홍문관 부교리(弘文館副校理)에 제수되었다가 다음 해 홍문관 교리가 되었는데, 이때 사가독서에 뽑혀 독서당에 있으면서 『[[동호문답|동호문답(東湖問答)]]』을 지어 올렸다. 선조 7년에는 『[[만언봉사]]』를 지어올려 임금의 수양과 관련된 네 가지 대책을 내놓았고, 밖으로 백성을 편안하게 하기 위한 다섯 가지 개혁 방안을 제시하였다. <ref>김영두,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71 이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지방관으로서의 이이====
+
이이는 청주목사, 황해도 관찰사 등를 지냈다. 지방관으로 있으면서 여러 개혁책을 추진하였다.  [[공납|공납(貢納)]]의 폐단에 대해서도 공안(貢案)의 개정, [[수미법]] 시행 등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ref>김영두,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71 이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이이는 또한 지방관으로 부임하기도 하였는데, 선조 4년 청주목사가 되었으며, 선조 7년에는 황해도 관찰사를 지냈다. 지방관으로 있으면서 그는 민생에 대해 지대한 관심을 보이면서 여러 가지 개혁책을 추진하였는데, [[서원향약]]과 [[해주향약]]을 직접 만들어 시행하기도 하였으며, [[공납|공납(貢納)]]의 폐단에 대해서도 공안(貢案)의 개정, [[수미법]] 시행 등 여러 가지 해결책을 구상하고 제시하였다. <ref>김영두,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71 이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이이의 정계활동 후기====
+
이이는 병조판서로 재직 중에 과로로 병을 얻어 49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죽기 직전 [[서익|서익(徐益)]]이 임금의 명을 받고 변방의 일을 물으러 오자 이이는 6조항의 방략을 일러주고, 다음날 세상을 떠났다고 한다. <ref>김영두,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71 이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결국 이이는 병조판서로 재직 중에 과로로 병을 얻어 49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죽기 직전 순무어사(巡撫御史)로 임명되어 관북(關北) 지방으로 가게 된 서익(徐益)이 임금의 명을 받고 변방의 일을 물으러 오자 이이는 병세를 염려하여 만남을 만류하는 자제들의 청을 물리치고 6조항의 방략을 불러주었는데, 구술을 마친 이이는 호흡이 끊어졌다가 결국 다음날 세상을 떠났다고 한다. <ref>김영두,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71 이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이이의 학문활동===
 
===이이의 학문활동===
 
====성리학적 학문활동====
 
====성리학적 학문활동====
이이의 학문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나는 성리학이고 다른 하나는 경세학이다.  이이는 자신의 성리학 사상의 핵심 개념으로 ‘이기지묘(理氣之妙)’를 제시하였다. 이이는 이와 기의 차이를 뚜렷이 구분하였는데, 이는 시공을 넘어서는 보편성을 가지고 기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는다는 ‘이통기국’의 개념으로 구체화되었다. 그런데 이이는 자신의 학문적 기준을 성리학에 두고 있었지만, 다른 학문에 대해서도 비교적 관용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는 어릴 때 불서를 섭렵한 경험도 있었고, [[양명학|양명학(陽明學)]]과 도가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고 가치를 평가하였다. <ref>김영두,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71 이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이이는 자신의 성리학 사상의 핵심 개념으로 ‘[[이기지묘|이기지묘(理氣之妙)]]’를 제시하였다. 이이는 자신의 학문적 기준을 성리학에 두고 있었지만, 다른 학문에도 관용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는 어릴 때 불서를 섭렵한 경험도 있었고, [[양명학|양명학(陽明學)]]과 도가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고 가치를 평가하였다. <ref>김영두,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71 이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경세학적 학문활동====
 
====경세학적 학문활동====
이이 학문의 또 다른 특징은 경세학에 대한 폭넓은 관심이다. 여러 개혁 상소와 동호문답 등의 저술을 통해 그는 동서분당의 해소, 공납 제도 개혁, 서얼 허통과 공사노비속량 등 신분제 개혁, 교육 제도 및 군사 제도의 개혁을 주장하였다. 또한 그는 성군이 되기 위해 임금이 갖추어야 하는 학문인 이른바 성학, 곧 제왕학에 관심을 보였다. 이이는 『[[성학집요|성학집요(聖學輯要)]]』를 저술하여 자신의 성학을 체계화하였다. 성학집요는 대학을 기본으로 하여 목차를 구성한 다음 여러 경전과 사서 가운데 긴요한 말씀을 모아 편찬한 것이었다. <ref>김영두,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71 이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이이]]는 여러 개혁 상소와 [[동호문답]] 등의 저술을 통해 분당의 해소, 공납 제도 개혁, 신분제 개혁, 교육 및 군사 제도의 개혁을 주장하였다. 제왕학에도 관심이 있던 이이는 『[[성학집요|성학집요(聖學輯要)]]』를 저술하여 [[조선 선조]]에게 바쳤다.<ref>김영두,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71 이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교육과 교화활동====
 
====교육과 교화활동====
이이는 학문과 교육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이이는 [[조선 선조|선조]]의 명을 받들어 사서의 언해본을 저술해서 한글화 하였고, 『[[격몽요결|격몽요결(擊蒙要訣)]]』과 같은 어린이들을 위한 교재를 저술하기도 하였다. 또한 『[[학교모범|학교모범(學校模範)]]』을 지어 구체적인 학교 제도의 개혁안도 제시한 바 있다. 마지막으로 그는 서원향약과 해주향약을 저술하여 지방 사회의 교화와 자치에 대한 방안도 제시하였다. 이처럼 이이는 당시의 지배적 학풍은 성리학에 매몰되지 않고 정치와 경제, 백성들의 삶을 향상시키는 민생에까지 관심과 대안을 제시하였다. 그리하여 그는 [[유형원|반계(磻溪) 유형원(柳馨遠)]]과 [[이익|성호(星湖) 이익(李瀷)]]의 실학 사상에도 일정한 영향을 미쳐 실학의 선구로 평가되기도 한다. <ref>김영두,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71 이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이이]]는 [[조선 선조|선조]]의 명을 받들어 사서의 언해본을 저술하였고, 『[[격몽요결|격몽요결(擊蒙要訣)]]』과 같은 어린이들을 위한 교재를 저술하기도 하였다. 또한 『[[학교모범|학교모범(學校模範)]]』을 지어 구체적인 학교 제도의 개혁안도 제시하였다. 그는 [[서원향약]]과 [[해주향약]]을 저술하여 지방 사회의 교화와 자치에 대한 방안도 제시하였다. <ref>김영두,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71 이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영향과 계승====
 
====영향과 계승====
이이의 문인으로는 조선 예학의 종장으로 불리는 [[김장생|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과 [[임진왜란|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장으로 순절한 [[조헌|중봉(重峯) 조헌(趙憲)]]이 있다. 김장생의 문인으로는 그의 아들인 [[김집|신독재(愼獨齋) 김집(金集)]]을 비롯해 [[송시열|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 [[송준길|동춘당(同春堂) 송준길(宋浚吉)]], [[이유태|초려(草廬) 이유태(李惟泰)]], [[조익|포저(浦渚) 조익(趙翼)]], [[장유|계곡(谿谷) 장유(張維)]], [[신흠|상촌(象村) 신흠(申欽)]] 등이 있다. 또한 친우인 우계 성혼의 문인들도 율곡의 문인들과 밀접한 관련을 맺었는데 성혼의 학맥은 사위인 [[윤황|팔송(八松) 윤황(尹煌)]]으로 이어져, 그의 아들인 [[윤선거|미촌(美村) 윤선거(尹宣擧)]]와 손자 [[윤증|명재(明齋) 윤증(尹拯)]]으로 계승되었다.  
+
이이의 문인으로는 [[김장생|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과 [[조헌|중봉(重峯) 조헌(趙憲)]]이 있다. 이는 [[송시열|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 등으로 이어져 [[서인]] 세력을 형성한다. 또한 친우인 우계 [[성혼]]문인들도 율곡의 문인들과 관련을 맺었는데 성혼의 학맥은 [[윤증|명재(明齋) 윤증(尹拯)]]으로 계승되었다.  
<ref>김영두,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71 이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ref>김영두,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71 이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소현서원|소현서원(紹賢書院)]]은 이이가 황해도 석담(石潭)에 정착하면서 세운 은병정사(銀甁精舍)가 모태가 되어 설립된 서원으로 광해군 2년(1610)에 소현이라는 사액을 받았으며, [[자운서원]]은 이이의 묘가 있는 경기 파주에 그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서원으로 효종(孝宗) 때 사액을 받았다.
+
[[소현서원|소현서원(紹賢書院)]]은 이이가 황해도에 세운 은병정사(銀甁精舍)가 모태가 되어 설립된 서원으로 1610년에 소현이라는 사액을 받았으며, [[자운서원]]은 이이의 묘가 있는 경기 파주에 그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서원으로 [[조선 효종|효종(孝宗)]] 때 사액을 받았다.
<ref>김영두,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71 이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ref>김영두,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071 이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신사임당과 이이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01/E00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 [http://dh.aks.ac.kr/Encyves/Graph/A124/A124.htm 고산구곡도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A206/A206.htm 구곡가계로 보는 이황화 이이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E001/E001.htm      신사임당과 이이 지식관계망]
 +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PAGENAME}} || [[이원수]]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
| [[이이]] || [[이원수]]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A ekc:hasFather B
 
|-
 
|-
| {{PAGENAME}} || [[신사임당]] || A는 어머니 B가 있다||  
+
| [[이이]] || [[신사임당]] || A는 어머니 B가 있다 || A ekc:hasMother B
 
|-
 
|-
| [[신사임당]] || [[신명화]]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 [[신사임당]] || [[신명화]]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A ekc:hasFather B
 
|-
 
|-
| [[신사임당]] || [[이원수]] || A는 B의 아내이다 ||  
+
| [[신사임당]] || [[이원수]] || A는 B의 아내이다 || A ekc:hasHusband B
 
|-
 
|-
| {{PAGENAME}} || [[이황]] || A는 B와 교유하였다 ||  
+
| [[이이]] || [[이황]]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 {{PAGENAME}} || [[성혼]] || A는 B와 교유하였다 ||  
+
| [[이이]] || [[성혼]]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 {{PAGENAME}} || [[이이 처 곡산 노씨]] || A는 B의 아내이다 || 1557년
+
| [[이이]] || [[이이 처 곡산 노씨]] || A는 B의 아내이다 || A ekc:hasHusband B
 
|-
 
|-
| [[이이 처 곡산 노씨]] || [[노경린]]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
| [[이이 처 곡산 노씨]] || [[노경린]]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A ekc:hasFather B
 
|-
 
|-
| {{PAGENAME}} || [[김장생]] || A는 B의 스승이다 ||  
+
| [[이이]] || [[김장생]]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PAGENAME}} || [[조헌]] || A는 B의 스승이다  ||
+
| [[이이]] || [[조헌]]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김장생]] || [[김집]] || A는 B의 스승이다  ||
 
|-
 
| [[김장생]] || [[송시열]] || A는 B의 스승이다  ||
 
|-
 
| [[김장생]] || [[송준길]] || A는 B의 스승이다 ||  
 
 
|-
 
|-
| [[김장생]] || [[유이태]] || A는 B의 스승이다 ||
+
| [[김장생]] || [[김집]]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김장생]] || [[조익]] || A는 B의 스승이다  ||
 
|-
 
| [[김장생]] || [[장유]] || A는 B의 스승이다  ||
 
|-
 
| [[김장생]] || [[신흠]] || A는 B의 스승이다  ||  
 
 
|-
 
|-
| [[성혼]] || [[윤황]] || A는 B의 스승이다  ||
+
| [[김장생]] || [[송시열]]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김장생]] || [[윤선거]] || A는 B의 스승이다  ||
 
|- 
 
| [[김장생]] || [[윤증]] || A는 B의 스승이다 ||
 
|-
 
| [[윤선거]] || [[윤황]]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
| [[윤증]] || [[윤선거]]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 [[김장생]] || [[송준길]]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성학집요]] || {{PAGENAME}}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
| [[김장생]] || [[유이태]]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동호문답]] || {{PAGENAME}}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1567년
+
| [[김장생]] || [[조익]]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만언봉사]] || {{PAGENAME}}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1574년
+
| [[김장생]] || [[장유]]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격몽요결]] || {{PAGENAME}}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 [[김장생]] || [[신흠]]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학교모범]] || {{PAGENAME}}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 [[성혼]] || [[윤황]]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서원향약]] || {{PAGENAME}} || A는 B에 의해 창시되었다||1574년
+
| [[김장생]] || [[윤선거]]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해주향약]] || {{PAGENAME}} || A는 B에 의해 창시되었다||1574년
+
| [[김장생]] || [[윤증]]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소현서원]] || {{PAGENAME}}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윤선거]] || [[윤황]]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A ekc:hasFather B
 
|-
 
|-
|[[자운서원]] || {{PAGENAME}}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윤증]] || [[윤선거]]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A ekc:hasFather B
 +
|-
 +
| [[성학집요]] || [[이이]]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동호문답]] || [[이이]]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만언봉사]] || [[이이]]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격몽요결]] || [[이이]]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학교모범]] || [[이이]]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서원향약]] || [[이이]] || A는 B에 의해 창시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해주향약]] || [[이이]] || A는 B에 의해 창시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소현서원]] || [[이이]] || A는 B에 배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
 +
| [[자운서원]] || [[이이]] || A는 B에 배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
 +
| [[강릉 오죽헌]] || [[이이]] || A는 B에서 거주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142번째 줄: 158번째 줄:
 
| 1574년 || {{PAGENAME}}가 [[서원향약]], [[해주향약]], [[만언봉사]]를 지었다.
 
| 1574년 || {{PAGENAME}}가 [[서원향약]], [[해주향약]], [[만언봉사]]를 지었다.
 
|}
 
|}
 +
 
==시각자료==
 
==시각자료==
 +
===갤러리===
 +
<gallery>
 +
역사인물초상화 초상 이이 표준영정.jpg|이이 표준영정
 +
HFP_Ojukheon_eojegak.JPG|오죽헌
 +
</gallery>
 
===영상===
 
===영상===
 
* "[http://www.k-heritage.tv/brd/board/229/L/CATEGORY/2337/menu/373?brdCodeField=CATEGORY&brdCodeValue=2337&bbIdx=10753&brdType=R 오죽헌 2부 시묘살이 3년 이이의 사모곡]",  7분다큐,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채널』<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재재단.
 
* "[http://www.k-heritage.tv/brd/board/229/L/CATEGORY/2337/menu/373?brdCodeField=CATEGORY&brdCodeValue=2337&bbIdx=10753&brdType=R 오죽헌 2부 시묘살이 3년 이이의 사모곡]",  7분다큐,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채널』<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재재단.
 +
<html>
 
<video  
 
<video  
width="100%"  
+
width="600"  
height="100%"
+
height="380"
 
poster="/jnrepo/upload/jnBrdBoard/201609/cd162327a2b3431fac38f19b7da81351_1475218892480.jpg"
 
poster="/jnrepo/upload/jnBrdBoard/201609/cd162327a2b3431fac38f19b7da81351_1475218892480.jpg"
 
controls
 
controls
153번째 줄: 176번째 줄:
 
<source src="http://uci.k-heritage.tv/resolver/I801:1501001-001-V00446@N2R:1" type="video/mp4">
 
<source src="http://uci.k-heritage.tv/resolver/I801:1501001-001-V00446@N2R:1" type="video/mp4">
 
</video>
 
</video>
 +
</html>
  
 
==주석==
 
==주석==
158번째 줄: 182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
===더 읽을 거리===
 +
*논문
 +
**류태건, 「이황과 이이의 우주론과 인성론 비교정리」, 『21세기정치학회보』제12권 1호, 21세기정치학회, 2005, 105-127쪽.
 
*단행본
 
*단행본
**이병도, 『栗谷의 生涯와 思想』, 서문당, 1972
+
**이병도, 『栗谷의 生涯와 思想』, 서문당, 1972.
**조남국, 『율곡의 삶과 철학 그리고 경제·윤리』, 교육과학사, 1997
+
**조남국, 『율곡의 삶과 철학 그리고 경제·윤리』, 교육과학사, 1997.
**황준연, 『이율곡, 그 삶의 모습』,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
**황준연, 『이율곡, 그 삶의 모습』,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황의동, 『한국의 사상가 10인(人) 율곡 이이』, 예문서원, 2003
+
**황의동, 『율곡 이이』, 살림, 2007.
** 류태건, 「이황과 이이의 우주론과 인성론 비교정리」, 2005
+
**황의동, 『한국의 사상가 10인(人) 율곡 이이』, 예문서원, 2003.
**황의동,『율곡 이이』, 살림, 2007
+
 
 
===유용한 정보===
 
===유용한 정보===
*박기현, "[http://www.k-heritage.tv/brd/board/275/L/CATEGORY/325/menu/251?brdCodeField=CATEGORY&brdCodeValue=325&bbIdx=3829&brdType=R 조선에 무욕의 리더십을 펼친 퇴계]",  명사칼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채널』<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재재단, 2013년 01월 16일.
+
* "[http://www.yulgok.or.kr/icons/app/cms/?html=/home/sub3_1_1.html&shell=/index.shell:28 율곡이이·신사임당]", <html><online style="color:purple">『사단법인 율곡연구원』<sup>online</sup></online></html>, 사단법인 율곡연구원.
*정창권, "[http://premium.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4/08/2015040803267.html 지적장애 아내를 평생 사랑으로 보살핀 퇴계 이황]", 정창권의 조선시대 부부사랑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프리미엄 조선』<sup>online</sup></online></html>, 조선일보, 2015년 04월 09일.
+
*박구재, "[http://m.biz.khan.co.kr/view.html?artid=201510260939421&code=920100 지폐인물열전(35) 율곡 이이…목숨 걸고 직언한 유학자]", 마켓·비즈,  <html><online style="color:purple">『경향비즈』<sup>online</sup></online></html>, 경향신문, 작성일:2015년 10월 26일.
*김현용, "[http://www.asiac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393 퇴계(退溪)이황(李滉)과 일본]", 사설·칼럼 <html><online style="color:purple">『아시아씨이뉴스』<sup>online</sup></online></html>, 아시아씨이뉴스, 2017년 04월 04일.
 
*박구재, "[http://m.biz.khan.co.kr/view.html?artid=201510260939421&code=920100 지폐인물열전(35) 율곡 이이…목숨 걸고 직언한 유학자]", 마켓·비즈,  <html><online style="color:purple">『경향비즈』<sup>online</sup></online></html>, 경향신문, 2015년 10월 26일.
 
  
 
[[분류:인물]]
 
[[분류:인물]]
[[분류:한글고문서]]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분류:이혜영]]
 
[[분류:초상화]]
 
 
[[분류:민족기록화]]
 
[[분류:민족기록화]]
 +
[[분류:역사인물]]

2017년 11월 27일 (월) 22:52 기준 최신판


이이(李珥)
"이이", 표준영정, 『한민족정보마당』online, 한국문화정보원.
대표명칭 이이
한자표기 李珥
생몰년 1536-1584
본관 덕수(德水)
시호 문성(文成)
율곡(栗谷), 석담(石潭), 우재(愚齋)
숙헌(叔獻)
출생지 강릉 오죽헌
시대 조선
대표저서 성학집요, 격몽요결, 동호문, 기자실기
대표직함 이조판서, 병조판서, 홍문관대제학
배우자 이이 처 곡산 노씨
이원수
신사임당



정의

조선후기의 문신·학자로 중종선조대의 인물이다. 조선 성리학을 대표하는 학자로 손꼽히며 그의 후대 문인들이 서인 세력을 형성하였다. [1]

내용

이이의 성장배경

이이의 가정환경

이이의 본관은 경기 덕수(德水)이며, 부친은 이원수(李元秀)이다. 어머니는 신사임당이다. 이이는 1536년 12월 26일에 강릉 오죽헌에서 태어났다. [2]

이이의 혼인과 학문적 성장

이이는 16세에 어머니 신사임당이 사망으로 충격을 받아 19세에 불교를 공부하러 산에 들어갔다가 20세에 다시 강릉으로 돌아왔다. 그 때 자경문을 지었다. 1557년 노경린(盧慶麟)의 딸과 혼인하였다. 다음 해 안동 계상서당에서 퇴계 이황을 만났다. 그 후 서찰을 주고받으며 여러 학설을 논변하였다. [3]

이이의 정계활동

이이는 1564년 과거에 급제하였다. 처음 호조좌랑(戶曹佐郞)에 제수되었고, 이조좌랑(吏曹佐郞), 사헌부 지평 등을 역임하였다. 조선 명종이 승하하고 조선 선조가 즉위하자 홍문관 교리가 되었는데, 이때 『동호문답(東湖問答)』과 『만언봉사』를 지어올렸다. [4]

이이는 청주목사, 황해도 관찰사 등를 지냈다. 지방관으로 있으면서 여러 개혁책을 추진하였다. 공납(貢納)의 폐단에 대해서도 공안(貢案)의 개정, 수미법 시행 등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5]

이이는 병조판서로 재직 중에 과로로 병을 얻어 49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죽기 직전 서익(徐益)이 임금의 명을 받고 변방의 일을 물으러 오자 이이는 6조항의 방략을 일러주고, 다음날 세상을 떠났다고 한다. [6]

이이의 학문활동

성리학적 학문활동

이이는 자신의 성리학 사상의 핵심 개념으로 ‘이기지묘(理氣之妙)’를 제시하였다. 이이는 자신의 학문적 기준을 성리학에 두고 있었지만, 다른 학문에도 관용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는 어릴 때 불서를 섭렵한 경험도 있었고, 양명학(陽明學)과 도가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고 가치를 평가하였다. [7]

경세학적 학문활동

이이는 여러 개혁 상소와 동호문답 등의 저술을 통해 분당의 해소, 공납 제도 개혁, 신분제 개혁, 교육 및 군사 제도의 개혁을 주장하였다. 제왕학에도 관심이 있던 이이는 『성학집요(聖學輯要)』를 저술하여 조선 선조에게 바쳤다.[8]

교육과 교화활동

이이선조의 명을 받들어 사서의 언해본을 저술하였고, 『격몽요결(擊蒙要訣)』과 같은 어린이들을 위한 교재를 저술하기도 하였다. 또한 『학교모범(學校模範)』을 지어 구체적인 학교 제도의 개혁안도 제시하였다. 그는 서원향약해주향약을 저술하여 지방 사회의 교화와 자치에 대한 방안도 제시하였다. [9]

영향과 계승

이이의 문인으로는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중봉(重峯) 조헌(趙憲)이 있다. 이는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 등으로 이어져 서인 세력을 형성한다. 또한 친우인 우계 성혼의 문인들도 율곡의 문인들과 관련을 맺었는데 성혼의 학맥은 명재(明齋) 윤증(尹拯)으로 계승되었다. [10]

소현서원(紹賢書院)은 이이가 황해도에 세운 은병정사(銀甁精舍)가 모태가 되어 설립된 서원으로 1610년에 소현이라는 사액을 받았으며, 자운서원은 이이의 묘가 있는 경기 파주에 그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서원으로 효종(孝宗) 때 사액을 받았다. [11]

지식 관계망

  • 신사임당과 이이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이 이원수 A는 아버지 B가 있다 A ekc:hasFather B
이이 신사임당 A는 어머니 B가 있다 A ekc:hasMother B
신사임당 신명화 A는 아버지 B가 있다 A ekc:hasFather B
신사임당 이원수 A는 B의 아내이다 A ekc:hasHusband B
이이 이황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이이 성혼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이이 이이 처 곡산 노씨 A는 B의 아내이다 A ekc:hasHusband B
이이 처 곡산 노씨 노경린 A는 아버지 B가 있다 A ekc:hasFather B
이이 김장생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이이 조헌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김장생 김집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김장생 송시열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김장생 송준길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김장생 유이태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김장생 조익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김장생 장유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김장생 신흠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성혼 윤황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김장생 윤선거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김장생 윤증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윤선거 윤황 A는 아버지 B가 있다 A ekc:hasFather B
윤증 윤선거 A는 아버지 B가 있다 A ekc:hasFather B
성학집요 이이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동호문답 이이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만언봉사 이이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격몽요결 이이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학교모범 이이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서원향약 이이 A는 B에 의해 창시되었다 A dcterms:creator B
해주향약 이이 A는 B에 의해 창시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소현서원 이이 A는 B에 배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자운서원 이이 A는 B에 배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강릉 오죽헌 이이 A는 B에서 거주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시간 내용
1557년 이이가 이이 처 곡산 노씨와 혼인하였다.
1567년 이이가 동호문답을 저술하였다.
1574년 이이가 서원향약, 해주향약, 만언봉사를 지었다.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김영두, "이이",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2. 김영두, "이이",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3. 김영두, "이이",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4. 김영두, "이이",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5. 김영두, "이이",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6. 김영두, "이이",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7. 김영두, "이이",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8. 김영두, "이이",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9. 김영두, "이이",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10. 김영두, "이이",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11. 김영두, "이이",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류태건, 「이황과 이이의 우주론과 인성론 비교정리」, 『21세기정치학회보』제12권 1호, 21세기정치학회, 2005, 105-127쪽.
  • 단행본
    • 이병도, 『栗谷의 生涯와 思想』, 서문당, 1972.
    • 조남국, 『율곡의 삶과 철학 그리고 경제·윤리』, 교육과학사, 1997.
    • 황준연, 『이율곡, 그 삶의 모습』,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 황의동, 『율곡 이이』, 살림, 2007.
    • 황의동, 『한국의 사상가 10인(人) 율곡 이이』, 예문서원, 2003.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