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 금산전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관계정보) |
(→참고문헌)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사건정보 | {{사건정보 | ||
|사진= 민족팀_일러_성전투.png | |사진= 민족팀_일러_성전투.png | ||
− | |사진출처= | + | |사진출처= |
|대표명칭= 1차 금산전투 | |대표명칭= 1차 금산전투 | ||
|한자표기= 錦山戰鬪 | |한자표기= 錦山戰鬪 | ||
8번째 줄: | 8번째 줄: | ||
|유형= 전투 | |유형= 전투 | ||
|시대= 조선 | |시대= 조선 | ||
− | |날짜= 1592년 | + | |날짜= 1592년 7월 9일-10일 |
|관련인물= [[고경명]], [[곽영]], [[고인후]], [[고바야카와 다카카게]] | |관련인물= [[고경명]], [[곽영]], [[고인후]], [[고바야카와 다카카게]] | ||
|관련단체= | |관련단체= | ||
16번째 줄: | 16번째 줄: | ||
}} | }} | ||
=='''정의'''== | =='''정의'''== | ||
− | [[임진왜란]] 때인 1592년([[조선 | + | [[임진왜란]] 때인 1592년([[조선 선조]] 25) 7월 9일에서 10일까지 의병장 [[고경명]]이 지휘한 의병과 관군이 왜군과 충청남도 [[금산]]에서 싸운 전투이다. |
=='''내용'''== | =='''내용'''== | ||
− | === | + | ===7월 9일=== |
− |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전라도 광주 지역에서 의병을 일으킨 [[고경명|고경명(高敬命)]]은 7,000여 명의 군사를 거느리고 한성을 향해 북상하였다. 그가 전주를 출발하여 | + |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전라도 광주 지역에서 의병을 일으킨 [[고경명|고경명(高敬命)]]은 7,000여 명의 군사를 거느리고 한성을 향해 북상하였다. 그가 전주를 출발하여 여산(현재 익산)에 이르렀을 때 왜군이 전라도로 침입해 들어올 것이라는 소식을 듣게 되었다. [[고경명]]은 당초 계획을 바꾸어 왜군을 물리친 후 북상하기로 결정하였다. 이때 전라도 방어사 [[곽영|곽영(郭嶸)]]은 [[금산]] 서쪽 진산에 진을 치고 있었다.<ref>문안식,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5600495 금산성 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br/> |
− | 한편, [[고바야카와 다카카게]]가 지휘하는 왜군은 8월 15일 전주로 진출하려다가 [[이치전투|이치전투(梨峙戰鬪)]]에서 [[권율|권율(權慄, 1537~1599)]]이 이끈 조선군에게 크게 패하고 [[금산]]으로 | + | 한편, [[고바야카와 다카카게|고바야카와 다카카게(小早川隆景)]]가 지휘하는 왜군은 8월 15일 전주로 진출하려다가 [[이치전투|이치전투(梨峙戰鬪)]]에서 [[권율|권율(權慄, 1537~1599)]]이 이끈 조선군에게 크게 패하고 [[금산]]으로 철수하였다. 비록 후퇴했다고 해도 금산에 주둔하고 있는 일본군 병력은 1만 5000여 명이나 되었다. [[고경명]]의 의병은 [[곽영]]의 관군과 함께 [[진산]]을 거쳐 7월 9일 [[금산]]에 도착하여 금산성을 포위하고 공격을 개시하였다. 그러나 왜군은 성 위에서 조총 사격으로 조선군의 접근을 저지하려고만 할 뿐 적극적인 대항을 하지 않았다. 이는 전날 [[이치전투]]에서 대패하여 병력 손실이 많아 미처 전열을 정비하지 못한 때문이었다.<ref>"[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9&cp_code=cp0208&index_id=cp02081358&content_id=cp020813580001&search_left_menu= 금산전투(1차)]", 한민족 전투원형,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ref><br/> |
− | === | + | ===7월 10일=== |
− | + | 7월 10일 아침, [[고경명]]은 [[금산성]] 서문을 공격 목표로 잡고 서문 공격에 전력을 집중하였다. 그때 [[고바야카와 다카카게]]는 조선의 관군이 허약한 것을 보고 동문으로 출진하여 관군을 공격하였다.<ref>"[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9&cp_code=cp0208&index_id=cp02081358&content_id=cp020813580001&search_left_menu= 금산전투(1차)]", 한민족 전투원형,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ref> 왜군의 선제공격을 받은 [[곽영]]과 관군은 후퇴하였고 덩달아 사기가 떨어진 의병군도 붕괴되고 말았다. [[고경명]]은 끝까지 왜적과 맞서 싸우다가 아들 [[고인후]] 등과 함께 순절하였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0223 금산싸움]",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
===결과 및 의의=== | ===결과 및 의의=== | ||
− | 1차 금산전투는 관군과 의병의 연합작전 실패로 비록 [[금산성]] | + | 1차 금산전투는 관군과 의병의 연합작전 실패로 비록 [[금산성]]을 탈환하지는 못하였지만, 왜군의 전주 진출을 저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ref>문안식,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5600495 금산성 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32/C032.htm '''"조헌선생의 금산전투"(정창섭) 지식관계망'''] | ||
<html> | <html>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63번째 줄: | 64번째 줄: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 | ===가상현실=== | ||
+ | <html> | ||
+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C032/S001/S00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br/> | ||
+ | {{clickable button|[http://dh.aks.ac.kr/encyves/Pavilions/C032/S001/S001.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
+ | |||
===갤러리=== | ===갤러리===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금산_칠백의총_종용사.jpg | [[고경명]], [[고인후]] 및 [[고경명]] 휘하의 의병들의 위패를 모시는 종용사(從容祠) | ||
+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금산_칠백의총_종용사2.jpg| 종용사 내부 | ||
+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금산_칠백의총_종용사_현판.jpg | 종용사 현판 | ||
+ | </gallery> | ||
− | |||
===영상=== | ===영상=== | ||
84번째 줄: | 95번째 줄: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사건]]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사건]] | ||
− | |||
− |
2017년 11월 27일 (월) 07:15 기준 최신판
1차 금산전투(錦山戰鬪) | |
대표명칭 | 1차 금산전투 |
---|---|
한자표기 | 錦山戰鬪 |
이칭 | 금산싸움 |
유형 | 전투 |
시대 | 조선 |
날짜 | 1592년 7월 9일-10일 |
관련인물 | 고경명, 곽영, 고인후, 고바야카와 다카카게 |
관련장소 | 금산 |
관련유물유적 | 금산 종용사 |
목차
정의
임진왜란 때인 1592년(조선 선조 25) 7월 9일에서 10일까지 의병장 고경명이 지휘한 의병과 관군이 왜군과 충청남도 금산에서 싸운 전투이다.
내용
7월 9일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전라도 광주 지역에서 의병을 일으킨 고경명(高敬命)은 7,000여 명의 군사를 거느리고 한성을 향해 북상하였다. 그가 전주를 출발하여 여산(현재 익산)에 이르렀을 때 왜군이 전라도로 침입해 들어올 것이라는 소식을 듣게 되었다. 고경명은 당초 계획을 바꾸어 왜군을 물리친 후 북상하기로 결정하였다. 이때 전라도 방어사 곽영(郭嶸)은 금산 서쪽 진산에 진을 치고 있었다.[1]
한편, 고바야카와 다카카게(小早川隆景)가 지휘하는 왜군은 8월 15일 전주로 진출하려다가 이치전투(梨峙戰鬪)에서 권율(權慄, 1537~1599)이 이끈 조선군에게 크게 패하고 금산으로 철수하였다. 비록 후퇴했다고 해도 금산에 주둔하고 있는 일본군 병력은 1만 5000여 명이나 되었다. 고경명의 의병은 곽영의 관군과 함께 진산을 거쳐 7월 9일 금산에 도착하여 금산성을 포위하고 공격을 개시하였다. 그러나 왜군은 성 위에서 조총 사격으로 조선군의 접근을 저지하려고만 할 뿐 적극적인 대항을 하지 않았다. 이는 전날 이치전투에서 대패하여 병력 손실이 많아 미처 전열을 정비하지 못한 때문이었다.[2]
7월 10일
7월 10일 아침, 고경명은 금산성 서문을 공격 목표로 잡고 서문 공격에 전력을 집중하였다. 그때 고바야카와 다카카게는 조선의 관군이 허약한 것을 보고 동문으로 출진하여 관군을 공격하였다.[3] 왜군의 선제공격을 받은 곽영과 관군은 후퇴하였고 덩달아 사기가 떨어진 의병군도 붕괴되고 말았다. 고경명은 끝까지 왜적과 맞서 싸우다가 아들 고인후 등과 함께 순절하였다.[4]
결과 및 의의
1차 금산전투는 관군과 의병의 연합작전 실패로 비록 금산성을 탈환하지는 못하였지만, 왜군의 전주 진출을 저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5]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금산전투 | 1차 금산전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금산전투 | 2차 금산전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고바야카와 다카카게 | 금산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고경명 | 1차 금산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곽영 | 1차 금산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고인후 | 1차 금산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고경명 | 고인후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고경명 | 금산 종용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고인후 | 금산 종용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고경명 | 이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 ↑ 문안식, "금산성 전투",
『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금산전투(1차)", 한민족 전투원형,
『문화콘텐츠닷컴』online , 한국콘텐츠진흥원. - ↑ "금산전투(1차)", 한민족 전투원형,
『문화콘텐츠닷컴』online , 한국콘텐츠진흥원. - ↑ "금산싸움",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 문안식, "금산성 전투",
『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유용한 정보
- 김진봉, "금산전투",
『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2년 11월 29일.
- 김진봉, "금산전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