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인용 및 참조)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인물정보
 
{{인물정보
|사진= KadhLogo2.gif
+
|사진= 민족_일러_원무신.png
|사진출처=
+
|사진출처=
 
|대표명칭= 나세
 
|대표명칭= 나세
 
|한자표기= 羅世
 
|한자표기= 羅世
10번째 줄: 10번째 줄:
 
|호=   
 
|호=   
 
|자=   
 
|자=   
|생년=  
+
|생년= 1320년
|몰년=
+
|몰년= 1397년
|출생지= 1320년
+
|출생지=  
|사망지= 1397년
+
|사망지=  
 
|시대= 고려
 
|시대= 고려
 
|국적= 원나라~고려
 
|국적= 원나라~고려
30번째 줄: 30번째 줄:
 
}}
 
}}
 
=='''정의'''==
 
=='''정의'''==
고려 말 조선 초의 장군.
+
고려 말 조선 초의 장군으로 원나라의 귀화인이다.
  
 
=='''내용'''==
 
=='''내용'''==
원나라의 귀화인으로, 1363년(공민왕 12) 홍건적을 격퇴하여 이등공신이 되었다. 1374년 동지밀직사사 부원수로서 말의 공출을 거부하고, 난을 일으킨 제주도 목호들을 토벌하였다.<br/>
+
===활동과 업적===
그 뒤 교동만호(喬桐萬戶)가 되었으나 왜구가 침입하였을 때 도망한 죄로 순위부에 갇혔다. 이듬해 전라도상원수 겸 도안무사(全羅道上元帥兼都安撫使)가 되었는데, 이때 부령현(지금의 전라북도 부안)에서 왜구를 크게 격파하였으며, 뒤이어 판개성부사(判開城府事)가 되었다.<br/>
+
원나라의 귀화인으로, 1363년([[고려 공민왕]] 12) [[홍건적의 난]]이 일어났을 때, [[홍건적]]을 격퇴하여 이등공신이 되었다. 1374년 동지밀직사사인 나세는 부원수에 임명되어, 말의 공출을 거부하고, 난을 일으킨 [[제주도]] 목호들을 토벌하였다.<br/>
그 뒤 강화 등지에서 왜구 격퇴에 공을 세워 연안군(延安君)에 봉해졌으며, 1380년 해도원수(海道元帥)가 되어 심덕부·[[최무선]] 등과 함께 전함 100척을 이끌고 [[진포]]에서 [[최무선]]이 만든 화약과 [[화포]]를 실전에 처음으로 사용하여 왜선 500척을 쳐부수는 전과를 거두었다.<br/>
+
그 뒤 강화 등지에서 왜구 격퇴에 공을 세워 연안군(延安君)에 봉해졌다.<ref>민병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1388 나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그는 이 공으로 문하평리에 올랐으며, 조선 개국 후 문하참찬(門下參贊)으로 물러난 뒤 1397년(태조 6) 경기풍해도서북면등처도추포사(京畿豊海道西北面等處都追捕使)가 되어 왜구를 방어하다가 병사하였다.
 
 
 
 
 
==활동과 업적==
 
조선의 개국공신으로, 다섯째 아들인 [[심온|심온(沈溫)]]은 [[조선 세종]]의 국구(國舅)였고, 여섯째 아들인 [[심종|심종(沈淙)]]은 [[조선 태조]]의 부마가 되었다.<br/>
 
[[고려 충숙왕]] 복위년 말에 음직으로 사온직장동정(司溫直長同正)에 출사하였고, [[고려 공민왕]] 말년에 판위위시사(判衛尉寺事), [[고려 우왕]] 즉위 후 우상시(右常侍)를 거쳐 [[고려 우왕]] 원년에 예의판서(禮儀判書)에 승직되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3763 심덕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진포대첩===
 
===진포대첩===
1378년([[고려 우왕]] 4) 지문하부사(知門下府事)로서 서해도원수를 겸하여 여러 차례 왜구 토벌에 공을 세웠다. 특히 1380년 도원수 [[나세|나세(羅世)]]함께 [[최무선|최무선(崔茂宣)]]이 제조한 [[화포]]를 처음 실전에 사용하여 큰 승리를 거두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3763 심덕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br/>
+
1380년 해도원수(海道元帥)가 되어 [[심덕부]]·[[최무선]] 등과 함께 전함 100척을 이끌고 [[진포]]에서 [[최무선]]이 만든 화약과 [[화포]]를 실전에 처음으로 사용하여 왜선 500척을 쳐부수는 전과를 거두었다.<ref>민병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1388 나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Blockquote| 왜적의 배 5백척이 [[진포|진포(鎭浦)]] 어귀에 들어와 큰 밧줄로 서로 잡아매고 군사를 나누어 지키다가, 드디어 해안으로 올라 각 주(州)ㆍ군(郡)으로 흩어져 들어가서 마음대로 불사르고 노략질하니, 시체가 산과 들에 덮이고, 곡식을 그 배에 운반하느라고 땅에 쏟아진 쌀이 한 자 부피나 되었다.<br/>
 
{{Blockquote| 왜적의 배 5백척이 [[진포|진포(鎭浦)]] 어귀에 들어와 큰 밧줄로 서로 잡아매고 군사를 나누어 지키다가, 드디어 해안으로 올라 각 주(州)ㆍ군(郡)으로 흩어져 들어가서 마음대로 불사르고 노략질하니, 시체가 산과 들에 덮이고, 곡식을 그 배에 운반하느라고 땅에 쏟아진 쌀이 한 자 부피나 되었다.<br/>
 
[[나세]]ㆍ[[심덕부]]ㆍ[[최무선]] 등이 [[진포]]에 이르러, 무선이 처음으로 만든 [[화포|화포(火砲)]]를 써서 그 배를 불태우니, 연기와 화염이 하늘에 넘쳤다. 왜적이 거의 다 타죽었고, 바다에 빠져 죽은 자도 또한 많았다. 왜적이 포로로 잡은 자녀를 모조리 죽여 시체가 산같이 쌓여서, 지나는 곳마다 피의 물결이었으며, 3백 30여 명만이 탈출하여 왔다. 죽음을 벗어난 적은 옥주(沃州)로 달아나서, 육지에 있던 적과 합세하여 이산(利山)ㆍ영동(永同)현을 불태웠다.
 
[[나세]]ㆍ[[심덕부]]ㆍ[[최무선]] 등이 [[진포]]에 이르러, 무선이 처음으로 만든 [[화포|화포(火砲)]]를 써서 그 배를 불태우니, 연기와 화염이 하늘에 넘쳤다. 왜적이 거의 다 타죽었고, 바다에 빠져 죽은 자도 또한 많았다. 왜적이 포로로 잡은 자녀를 모조리 죽여 시체가 산같이 쌓여서, 지나는 곳마다 피의 물결이었으며, 3백 30여 명만이 탈출하여 왔다. 죽음을 벗어난 적은 옥주(沃州)로 달아나서, 육지에 있던 적과 합세하여 이산(利山)ㆍ영동(永同)현을 불태웠다.
|출처=『고려사절요』 31권, 경신신우 6년(1380), 대명 홍무 13년. 온라인 참조: '[http://db.itkc.or.kr/dir/item?itemId=BT#/dir/node?dataId=ITKC_BT_1294A_0320_010_0020&solrQ=query%E2%80%A0%EC%8B%AC%EB%8D%95%EB%B6%80%20%EC%B5%9C%EB%AC%B4%EC%84%A0$solr_sortField%E2%80%A0%EA%B7%B8%EB%A3%B9%EC%A0%95%EB%A0%AC_s%20%EC%9E%90%EB%A3%8CID_s$solr_sortOrder%E2%80%A0$solr_secId%E2%80%A0BT_AA$solr_toalCount%E2%80%A08$solr_curPos%E2%80%A01$solr_solrId%E2%80%A0BD_ITKC_BT_1294A_0320_010_0020 고려사절요 제31권 / 신우 2(辛禑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고전종합DB』<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고전번역원.
+
|출처=『고려사절요』 31권, 경신신우 6년(1380), 대명 홍무 13년. 온라인 참조: '[http://db.itkc.or.kr/dir/item?itemId=BT#/dir/node?dataId=ITKC_BT_1294A_0320_010_0020&solrQ=query%E2%80%A0%EC%8B%AC%EB%8D%95%EB%B6%80%20%EC%B5%9C%EB%AC%B4%EC%84%A0$solr_sortField%E2%80%A0%EA%B7%B8%EB%A3%B9%EC%A0%95%EB%A0%AC_s%20%EC%9E%90%EB%A3%8CID_s$solr_sortOrder%E2%80%A0$solr_secId%E2%80%A0BT_AA$solr_toalCount%E2%80%A08$solr_curPos%E2%80%A01$solr_solrId%E2%80%A0BD_ITKC_BT_1294A_0320_010_0020 고려사절요 제31권 / 신우 2(辛禑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고전종합DB』<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고전번역원.<ref>『고려사절요』 31권, 경신신우 6년(1380), 대명 홍무 13년. 온라인 참조: '[http://db.itkc.or.kr/dir/item?itemId=BT#/dir/node?dataId=ITKC_BT_1294A_0320_010_0020&solrQ=query%E2%80%A0%EC%8B%AC%EB%8D%95%EB%B6%80%20%EC%B5%9C%EB%AC%B4%EC%84%A0$solr_sortField%E2%80%A0%EA%B7%B8%EB%A3%B9%EC%A0%95%EB%A0%AC_s%20%EC%9E%90%EB%A3%8CID_s$solr_sortOrder%E2%80%A0$solr_secId%E2%80%A0BT_AA$solr_toalCount%E2%80%A08$solr_curPos%E2%80%A01$solr_solrId%E2%80%A0BD_ITKC_BT_1294A_0320_010_0020 고려사절요 제31권 / 신우 2(辛禑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고전종합DB』<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고전번역원.</ref>  
}}
 
 
 
===이성계와의 활동=== 
 
1385년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로서 동북면상원수(東北面上元帥)를 겸하여 북청(北靑)에 침략한 왜구를 토벌하는 등 [[조선 태조|이성계(李成桂)]]와 함께 동북면에 침투한 왜구를 토벌하는 데 공을 세웠다.<br/>
 
1388년의 요동 출병 때는 서경도원수(西京都元帥)로서 [[조민수|조민수(曺敏修)]]와 함께 좌군에 속하여 [[조선 태조|이성계]]의 [[위화도회군|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을 도와주었다. 또한 [[고려 창왕]]을 폐하고 [[고려 공양왕]]을 세우는 [[폐가입진|폐가입진(廢假立眞)]]에는 [[조선 태조|이성계]]·[[정도전|정도전(鄭道傳)]]·[[정몽주|정몽주(鄭夢周)]]와 더불어 주도적인 구실을 하여 이른바 9공신 중의 한 사람이 되었다.<br/>
 
<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3763 심덕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조선 개국 후 활동===
 
조선의 개국을 맞아, 1393년([[조선 태조]] 2) 회군공신(回軍功臣) 1등에 추록되며, 청성백(靑城伯)에 봉해졌다. 조선 개국 후에는 신왕조 건설의 일익을 담당하였다. 1394년에는 신도궁궐조성도감(新都宮闕造成都監)의 판사가 되어, 한양의 궁실과 종묘를 영건(營建)하는 일을 총괄하여 신도 건설에 큰 구실을 하였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3763 심덕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br/>
 
1399년(정종 1) 좌정승이 되었다가 이듬해에 73세의 고령으로 벼슬을 사양하고 물러났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3746 심덕부]",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ref>
 
{{Blockquote| 좌정승 심덕부(沈德符)가 늙었다고 하여 전(箋)을 올려 사직하니, 그대로 따랐다.
 
|출처="[http://sillok.history.go.kr/popup/viewer.do?id=WBA_10203003_002 좌정승 심덕부가 늙었다고 하여 전을 올려 사직하니 그대로 따르다]", 『정종실록』 3권, 정종 2년 3월 3일 무진 2번째기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
 +
그는 이 공으로 문하평리에 올랐으며, 조선 개국 후 문하참찬(門下參贊)으로 물러난 뒤 1397년([[조선 태조]] 6) 경기풍해도서북면등처도추포사(京畿豊海道西北面等處都追捕使)가 되어 왜구를 방어하다가 그 해 9월 병사하였다.<ref>민병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1388 나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25/C025.htm '''"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최대섭)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25/C025.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심덕부]] ||[[진포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나세]] || [[홍건적의 난]]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최무선]] || [[진포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조선 태조]] || [[홍건적의 난]]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나세]] || [[진포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나세]] || [[진포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심덕부]] || [[위화도회군]]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조선 태조]] || [[위화도회군]]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심덕부]] || [[폐가입진]]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조선 태조]] || [[폐가입진]]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정도전]] || [[폐가입진]]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정몽주]] || [[폐가입진]]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심덕부]] || [[심온]]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심온]] || [[소헌왕후]] || A는 딸 B를 두었다  || A ekc:hasDaughter B
 
|-
 
| [[조선 세종]] ||  [[소헌왕후]] || A는 B의 남편이다 || A ekc:hasWife B
 
|-
 
| [[심덕부]] || [[심종]]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심종]] || [[경선공주]] ||  A는 B의 남편이다 || A ekc:hasWife B
 
|-
 
| [[조선 태조]] ||  [[경선공주]] || A는 딸 B를 두었다  || A ekc:hasDaughter B
 
 
|-
 
|-
 
|}
 
|}
 +
 
=='''시각자료'''==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현실===
 
===갤러리===
 
===갤러리===
 
===영상===
 
===영상===
*'''[강병규] 정신문화기획시리즈 오래된 약속6편 청송 심씨 두 형제의 다른 길(게시일: 2014년 11월 9일)'''
 
<html>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fgd3XAiprXw"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주석'''==
 
=='''주석'''==
114번째 줄: 76번째 줄:
 
#사료
 
#사료
 
#* 『고려사절요』 31권, 경신신우 6년(1380), 대명 홍무 13년. 온라인 참조: '[http://db.itkc.or.kr/dir/item?itemId=BT#/dir/node?dataId=ITKC_BT_1294A_0320_010_0020&solrQ=query%E2%80%A0%EC%8B%AC%EB%8D%95%EB%B6%80%20%EC%B5%9C%EB%AC%B4%EC%84%A0$solr_sortField%E2%80%A0%EA%B7%B8%EB%A3%B9%EC%A0%95%EB%A0%AC_s%20%EC%9E%90%EB%A3%8CID_s$solr_sortOrder%E2%80%A0$solr_secId%E2%80%A0BT_AA$solr_toalCount%E2%80%A08$solr_curPos%E2%80%A01$solr_solrId%E2%80%A0BD_ITKC_BT_1294A_0320_010_0020 고려사절요 제31권 / 신우 2(辛禑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고전종합DB』<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고전번역원.  
 
#* 『고려사절요』 31권, 경신신우 6년(1380), 대명 홍무 13년. 온라인 참조: '[http://db.itkc.or.kr/dir/item?itemId=BT#/dir/node?dataId=ITKC_BT_1294A_0320_010_0020&solrQ=query%E2%80%A0%EC%8B%AC%EB%8D%95%EB%B6%80%20%EC%B5%9C%EB%AC%B4%EC%84%A0$solr_sortField%E2%80%A0%EA%B7%B8%EB%A3%B9%EC%A0%95%EB%A0%AC_s%20%EC%9E%90%EB%A3%8CID_s$solr_sortOrder%E2%80%A0$solr_secId%E2%80%A0BT_AA$solr_toalCount%E2%80%A08$solr_curPos%E2%80%A01$solr_solrId%E2%80%A0BD_ITKC_BT_1294A_0320_010_0020 고려사절요 제31권 / 신우 2(辛禑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고전종합DB』<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고전번역원.  
#* "[http://sillok.history.go.kr/popup/viewer.do?id=WBA_10203003_002 좌정승 심덕부가 늙었다고 하여 전을 올려 사직하니 그대로 따르다]", 『정종실록』 3권, 정종 2년 3월 3일 무진 2번째기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웹 자원
 
# 웹 자원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3763 심덕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민병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1388 나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3746 심덕부]",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분류:민족기록화]][[분류:인물]]
 
[[분류:민족기록화]][[분류:인물]]
 
 
 
==민족기록화와의 연관성==
 
[[최대섭]]의 민족기록화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의 주요 인물 [[최무선]]과 함께 [[진포해전]]을 이끌었다.<br/>
 
[[최무선]]이 제조한 화약과 [[화포]]를 실전에서 처음으로 사용한 인물이기도 하다.
 
 
==노드 및 관계 테이블==
 
{| class="wikitable"
 
! 노드 || 관계 || 노드
 
|-
 
|[[최무선]]||~와 관련된다||[[나세]]
 
|-
 
|[[나세]]||~와 관련된다||[[심덕부]]
 
|-
 
|[[나세]]||~을 지휘했다||[[진포대첩]]
 
|-
 
|[[나세]]||~에 기록되어 있다||[[고려사]]
 
|-
 
|[[나세]]||~에 기록되어 있다||[[신증동국여지승람]]
 
|-
 
|}
 

2017년 11월 27일 (월) 03:59 기준 최신판

나세(羅世)
민족 일러 원무신.png
대표명칭 나세
한자표기 羅世
생몰년 1320년-1397년
이칭 연안군
시대 고려
국적 원나라~고려
대표직함 참찬문하, 연해등처병선조전절제사, 경기풍해도서북면등처도추포사
성격 무신
유형 장군


정의

고려 말 조선 초의 장군으로 원나라의 귀화인이다.

내용

활동과 업적

원나라의 귀화인으로, 1363년(고려 공민왕 12) 홍건적의 난이 일어났을 때, 홍건적을 격퇴하여 이등공신이 되었다. 1374년 동지밀직사사인 나세는 부원수에 임명되어, 말의 공출을 거부하고, 난을 일으킨 제주도 목호들을 토벌하였다.
그 뒤 강화 등지에서 왜구 격퇴에 공을 세워 연안군(延安君)에 봉해졌다.[1]

진포대첩

1380년 해도원수(海道元帥)가 되어 심덕부·최무선 등과 함께 전함 100척을 이끌고 진포에서 최무선이 만든 화약과 화포를 실전에 처음으로 사용하여 왜선 500척을 쳐부수는 전과를 거두었다.[2]

Quote-left.png 왜적의 배 5백척이 진포(鎭浦) 어귀에 들어와 큰 밧줄로 서로 잡아매고 군사를 나누어 지키다가, 드디어 해안으로 올라 각 주(州)ㆍ군(郡)으로 흩어져 들어가서 마음대로 불사르고 노략질하니, 시체가 산과 들에 덮이고, 곡식을 그 배에 운반하느라고 땅에 쏟아진 쌀이 한 자 부피나 되었다.

나세심덕부최무선 등이 진포에 이르러, 무선이 처음으로 만든 화포(火砲)를 써서 그 배를 불태우니, 연기와 화염이 하늘에 넘쳤다. 왜적이 거의 다 타죽었고, 바다에 빠져 죽은 자도 또한 많았다. 왜적이 포로로 잡은 자녀를 모조리 죽여 시체가 산같이 쌓여서, 지나는 곳마다 피의 물결이었으며, 3백 30여 명만이 탈출하여 왔다. 죽음을 벗어난 적은 옥주(沃州)로 달아나서, 육지에 있던 적과 합세하여 이산(利山)ㆍ영동(永同)현을 불태웠다.

Quote-right.png
출처: 『고려사절요』 31권, 경신신우 6년(1380), 대명 홍무 13년. 온라인 참조: '고려사절요 제31권 / 신우 2(辛禑二)', 『한국고전종합DB』online, 한국고전번역원.[3]


그는 이 공으로 문하평리에 올랐으며, 조선 개국 후 문하참찬(門下參贊)으로 물러난 뒤 1397년(조선 태조 6) 경기풍해도서북면등처도추포사(京畿豊海道西北面等處都追捕使)가 되어 왜구를 방어하다가 그 해 9월 병사하였다.[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나세 홍건적의 난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조선 태조 홍건적의 난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나세 진포대첩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1. 민병하, "나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민병하, "나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고려사절요』 31권, 경신신우 6년(1380), 대명 홍무 13년. 온라인 참조: '고려사절요 제31권 / 신우 2(辛禑二)', 『한국고전종합DB』online, 한국고전번역원.
  4. 민병하, "나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사료
  2. 웹 자원
    • 민병하, "나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