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인용 및 참조)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인물정보
 
{{인물정보
|대표명칭 = 나세
+
|사진= 민족_일러_원무신.png
|DB유형 = 민족기록화
+
|사진출처= 
|인물명 = 나세(羅世)
+
|대표명칭= 나세
|이칭/호 =  
+
|한자표기= 羅世
|시대/국적 = 고려/원나라~고려
+
|영문명칭=
|출생-사망 = 1320년∼1397년
+
|본관=
|성격 = 무신
+
|이칭= 연안군
|유형 = 장군
+
|시호= 
|대표직책/관직 = 경기풍해도서북면등처도추포사(京畿豊海道西北面等處都追捕使)
+
|
|image =  
+
|자= 
 +
|생년= 1320년
 +
|몰년= 1397년
 +
|출생지=
 +
|사망지=  
 +
|시대= 고려
 +
|국적= 원나라~고려
 +
|대표저서=
 +
|대표직함= 참찬문하, 연해등처병선조전절제사, 경기풍해도서북면등처도추포사
 +
|배우자=
 +
|부= 
 +
|모=
 +
|자녀=
 +
|전임자=
 +
|후임자=
 +
|상훈=
 +
|능묘=
 +
|성격= 무신
 +
|유형= 장군
 
}}
 
}}
 +
=='''정의'''==
 +
고려 말 조선 초의 장군으로 원나라의 귀화인이다.
  
==개요==
+
=='''내용'''==
원나라의 귀화인으로, 1363년(공민왕 12) 홍건적을 격퇴하여 이등공신이 되었다. 1374년 동지밀직사사 부원수로서 말의 공출을 거부하고, 난을 일으킨 제주도 목호들을 토벌하였다.<br/>
+
===활동과 업적===
그 뒤 교동만호(喬桐萬戶)가 되었으나 왜구가 침입하였을 때 도망한 죄로 순위부에 갇혔다. 이듬해 전라도상원수 겸 도안무사(全羅道上元帥兼都安撫使)가 되었는데, 이때 부령현(지금의 전라북도 부안)에서 왜구를 크게 격파하였으며, 뒤이어 판개성부사(判開城府事)가 되었다.<br/>
+
원나라의 귀화인으로, 1363년([[고려 공민왕]] 12) [[홍건적의 난]]이 일어났을 때, [[홍건적]]을 격퇴하여 이등공신이 되었다. 1374년 동지밀직사사인 나세는 부원수에 임명되어, 말의 공출을 거부하고, 난을 일으킨 [[제주도]] 목호들을 토벌하였다.<br/>
그 뒤 강화 등지에서 왜구 격퇴에 공을 세워 연안군(延安君)에 봉해졌으며, 1380년 해도원수(海道元帥)가 되어 심덕부·[[최무선]] 등과 함께 전함 100척을 이끌고 [[진포]]에서 [[최무선]]이 만든 화약과 [[화포]]를 실전에 처음으로 사용하여 왜선 500척을 쳐부수는 전과를 거두었다.<br/>
+
그 뒤 강화 등지에서 왜구 격퇴에 공을 세워 연안군(延安君)에 봉해졌다.<ref>민병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1388 나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그는 이 공으로 문하평리에 올랐으며, 조선 개국 후 문하참찬(門下參贊)으로 물러난 뒤 1397년(태조 6) 경기풍해도서북면등처도추포사(京畿豊海道西北面等處都追捕使)가 되어 왜구를 방어하다가 병사하였다.
 
  
==민족기록화와의 연관성==
+
===진포대첩===
[[최대섭]]의 민족기록화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의 주요 인물 [[최무선]]과 함께 [[진포해전]]을 이끌었다.<br/>
+
1380년 해도원수(海道元帥)가 되어 [[심덕부]]·[[최무선]] 등과 함께 전함 100척을 이끌고 [[진포]]에서 [[최무선]]이 만든 화약과 [[화포]]를 실전에 처음으로 사용하여 왜선 500척을 쳐부수는 전과를 거두었다.<ref>민병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1388 나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최무선]]이 제조한 화약과 [[화포]]를 실전에서 처음으로 사용한 인물이기도 하다.
+
{{Blockquote| 왜적의 배 5백척이 [[진포|진포(鎭浦)]] 어귀에 들어와 큰 밧줄로 서로 잡아매고 군사를 나누어 지키다가, 드디어 해안으로 올라 각 주(州)ㆍ군(郡)으로 흩어져 들어가서 마음대로 불사르고 노략질하니, 시체가 산과 들에 덮이고, 곡식을 그 배에 운반하느라고 땅에 쏟아진 쌀이 한 자 부피나 되었다.<br/>
 +
[[나세]]ㆍ[[심덕부]]ㆍ[[최무선]] 등이 [[진포]]에 이르러, 무선이 처음으로 만든 [[화포|화포(火砲)]]를 써서 그 배를 불태우니, 연기와 화염이 하늘에 넘쳤다. 왜적이 거의 다 타죽었고, 바다에 빠져 죽은 자도 또한 많았다. 왜적이 포로로 잡은 자녀를 모조리 죽여 시체가 산같이 쌓여서, 지나는 곳마다 피의 물결이었으며, 3백 30여 명만이 탈출하여 왔다. 죽음을 벗어난 적은 옥주(沃州)로 달아나서, 육지에 있던 적과 합세하여 이산(利山)ㆍ영동(永同)현을 불태웠다.
 +
|출처=『고려사절요』 31권, 경신신우 6년(1380), 대명 홍무 13년. 온라인 참조: '[http://db.itkc.or.kr/dir/item?itemId=BT#/dir/node?dataId=ITKC_BT_1294A_0320_010_0020&solrQ=query%E2%80%A0%EC%8B%AC%EB%8D%95%EB%B6%80%20%EC%B5%9C%EB%AC%B4%EC%84%A0$solr_sortField%E2%80%A0%EA%B7%B8%EB%A3%B9%EC%A0%95%EB%A0%AC_s%20%EC%9E%90%EB%A3%8CID_s$solr_sortOrder%E2%80%A0$solr_secId%E2%80%A0BT_AA$solr_toalCount%E2%80%A08$solr_curPos%E2%80%A01$solr_solrId%E2%80%A0BD_ITKC_BT_1294A_0320_010_0020 고려사절요 제31권 / 신우 2(辛禑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고전종합DB』<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고전번역원.<ref>『고려사절요』 31권, 경신신우 6년(1380), 대명 홍무 13년. 온라인 참조: '[http://db.itkc.or.kr/dir/item?itemId=BT#/dir/node?dataId=ITKC_BT_1294A_0320_010_0020&solrQ=query%E2%80%A0%EC%8B%AC%EB%8D%95%EB%B6%80%20%EC%B5%9C%EB%AC%B4%EC%84%A0$solr_sortField%E2%80%A0%EA%B7%B8%EB%A3%B9%EC%A0%95%EB%A0%AC_s%20%EC%9E%90%EB%A3%8CID_s$solr_sortOrder%E2%80%A0$solr_secId%E2%80%A0BT_AA$solr_toalCount%E2%80%A08$solr_curPos%E2%80%A01$solr_solrId%E2%80%A0BD_ITKC_BT_1294A_0320_010_0020 고려사절요 제31권 / 신우 2(辛禑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고전종합DB』<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고전번역원.</ref>
 +
}}
 +
그는 이 공으로 문하평리에 올랐으며, 조선 개국 후 문하참찬(門下參贊)으로 물러난 뒤 1397년([[조선 태조]] 6) 경기풍해도서북면등처도추포사(京畿豊海道西北面等處都追捕使)가 되어 왜구를 방어하다가 그 해 9월 병사하였다.<ref>민병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1388 나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노드 및 관계 테이블==
+
=='''지식 관계망'''==
{| class="wikitable"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25/C025.htm '''"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최대섭) 지식관계망''']
! 노드 || 관계 || 노드
+
<html>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최무선]]||~와 관련된다||[[나세]]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25/C025.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나세]]||~와 관련된다||[[심덕부]]
+
</html>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나세]]||~을 지휘했다||[[진포대첩]]
+
| [[나세]] || [[홍건적의 난]]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나세]]||~에 기록되어 있다||[[고려사]]
+
| [[조선 태조]] || [[홍건적의 난]]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나세]]||~에 기록되어 있다||[[신증동국여지승람]]
+
|[[나세]] || [[진포대첩]]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인물]][[분류:역사인물]][[분류:고려]][[분류:무신]]
+
=='''시각자료'''==
 +
===가상현실===
 +
===갤러리===
 +
===영상===
 +
 
 +
=='''주석'''==
 +
<references/>
 +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사료
 +
#* 『고려사절요』 31권, 경신신우 6년(1380), 대명 홍무 13년. 온라인 참조: '[http://db.itkc.or.kr/dir/item?itemId=BT#/dir/node?dataId=ITKC_BT_1294A_0320_010_0020&solrQ=query%E2%80%A0%EC%8B%AC%EB%8D%95%EB%B6%80%20%EC%B5%9C%EB%AC%B4%EC%84%A0$solr_sortField%E2%80%A0%EA%B7%B8%EB%A3%B9%EC%A0%95%EB%A0%AC_s%20%EC%9E%90%EB%A3%8CID_s$solr_sortOrder%E2%80%A0$solr_secId%E2%80%A0BT_AA$solr_toalCount%E2%80%A08$solr_curPos%E2%80%A01$solr_solrId%E2%80%A0BD_ITKC_BT_1294A_0320_010_0020 고려사절요 제31권 / 신우 2(辛禑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고전종합DB』<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고전번역원.
 +
# 웹 자원
 +
#* 민병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1388 나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인물]]

2017년 11월 27일 (월) 03:59 기준 최신판

나세(羅世)
민족 일러 원무신.png
대표명칭 나세
한자표기 羅世
생몰년 1320년-1397년
이칭 연안군
시대 고려
국적 원나라~고려
대표직함 참찬문하, 연해등처병선조전절제사, 경기풍해도서북면등처도추포사
성격 무신
유형 장군


정의

고려 말 조선 초의 장군으로 원나라의 귀화인이다.

내용

활동과 업적

원나라의 귀화인으로, 1363년(고려 공민왕 12) 홍건적의 난이 일어났을 때, 홍건적을 격퇴하여 이등공신이 되었다. 1374년 동지밀직사사인 나세는 부원수에 임명되어, 말의 공출을 거부하고, 난을 일으킨 제주도 목호들을 토벌하였다.
그 뒤 강화 등지에서 왜구 격퇴에 공을 세워 연안군(延安君)에 봉해졌다.[1]

진포대첩

1380년 해도원수(海道元帥)가 되어 심덕부·최무선 등과 함께 전함 100척을 이끌고 진포에서 최무선이 만든 화약과 화포를 실전에 처음으로 사용하여 왜선 500척을 쳐부수는 전과를 거두었다.[2]

Quote-left.png 왜적의 배 5백척이 진포(鎭浦) 어귀에 들어와 큰 밧줄로 서로 잡아매고 군사를 나누어 지키다가, 드디어 해안으로 올라 각 주(州)ㆍ군(郡)으로 흩어져 들어가서 마음대로 불사르고 노략질하니, 시체가 산과 들에 덮이고, 곡식을 그 배에 운반하느라고 땅에 쏟아진 쌀이 한 자 부피나 되었다.

나세심덕부최무선 등이 진포에 이르러, 무선이 처음으로 만든 화포(火砲)를 써서 그 배를 불태우니, 연기와 화염이 하늘에 넘쳤다. 왜적이 거의 다 타죽었고, 바다에 빠져 죽은 자도 또한 많았다. 왜적이 포로로 잡은 자녀를 모조리 죽여 시체가 산같이 쌓여서, 지나는 곳마다 피의 물결이었으며, 3백 30여 명만이 탈출하여 왔다. 죽음을 벗어난 적은 옥주(沃州)로 달아나서, 육지에 있던 적과 합세하여 이산(利山)ㆍ영동(永同)현을 불태웠다.

Quote-right.png
출처: 『고려사절요』 31권, 경신신우 6년(1380), 대명 홍무 13년. 온라인 참조: '고려사절요 제31권 / 신우 2(辛禑二)', 『한국고전종합DB』online, 한국고전번역원.[3]


그는 이 공으로 문하평리에 올랐으며, 조선 개국 후 문하참찬(門下參贊)으로 물러난 뒤 1397년(조선 태조 6) 경기풍해도서북면등처도추포사(京畿豊海道西北面等處都追捕使)가 되어 왜구를 방어하다가 그 해 9월 병사하였다.[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나세 홍건적의 난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조선 태조 홍건적의 난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나세 진포대첩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1. 민병하, "나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민병하, "나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고려사절요』 31권, 경신신우 6년(1380), 대명 홍무 13년. 온라인 참조: '고려사절요 제31권 / 신우 2(辛禑二)', 『한국고전종합DB』online, 한국고전번역원.
  4. 민병하, "나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사료
  2. 웹 자원
    • 민병하, "나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