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최치원 초상(학남서원)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최치원 초상(학남서원)
臥草-조성재, "고운영정", 『다음 블로그 - 강산애드』online, 작성일: 2016년 03월 23일.
한자명칭 崔致遠 肖像
작가 미상
제작시기 1793년
소장처 청도 학남서원
유형 초상
크기(세로×가로) 105×74㎝


정의

통일신라시대의 문신, 학자였던 최치원(857~919)의 모습을 그린 초상.

내용

초상의 제작 및 보관

최치원의 초상화는 현재 여러 곳에 봉안되어 있는데 모두 조선조 후기 이후 근,현대에 걸쳐 제작된 이모본이다. <최치원 초상>은 원래 쌍계사본해인사본이 있었는데 무성서원본이나 청성사본, 운암영당 소장본쌍계사본을 범본으로 하여 그리고 학남서원본은 해인사본을 범본으로 하여 이모된 것이다.[1]
학남서원의 <최치원 초상>은 1900년에 해인사 서장각에서 발견되어 경주 최씨 문중에 의해 학남서원계동사에 봉안되어 제향하고 있다. 화면의 왼쪽 상단에 세로로 ‘신라최선생고운지진영(新羅崔先生孤雲之眞影)’이라고 제기가 쓰여 최치원초상임을 알 수 있다.
선명한 극채색을 사용하고 진홍색 배경에 최치원의 좌우에 동자들을 둔 구성 등 무속화적인 분위기를 풍기는 작품으로 최치원 초상의 다양한 형식 중 하나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초상에 묘사된 모습

학남서원의 <최치원 초상> 속 고운은 검은 사방모에 녹색 도포를 입고 오른손에 깃털 부채를 쥐고 편안한 자세로 등받이가 없는 의자에 앉아 있는 모습으로 표현되어 있다. 최치원의 왼쪽에는 파초선을 든 시녀가 있으며 오른쪽에는 청자 그릇에 담은 석류를 공양하는 동자가 있다.
이 작품은 초상화의 주인공이 문인의 옷을 입고 있을 뿐 전체적인 구성은 산신도와 유사하며 민화처럼 짙은 채색으로 처리되어, 최치원을 마치 신선처럼 생각했던 민간신앙적 요소가 반영된 작품으로 추정된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최치원 초상(학남서원) 초상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최치원 초상(학남서원) 최치원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최치원 초상(학남서원) 청도 학남서원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최치원 초상(학남서원) 최치원 초상(해인사) A는 B의 이모본이다 A ekc:isCopyOf B
최치원 초상(학남서원) 합천 해인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사방모 최치원 초상(운암영당)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도포 최치원 초상(운암영당)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5.639404 128.679428 최치원 초상(학남서원)청도 학남서원에 소장되어 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113쪽.
  2. 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117쪽.
  3. 臥草-조성재, "고운영정", 『다음 블로그 - 강산애드』online, 작성일: 2016년 03월 23일.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1. 김용만, "고운 영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더 읽을거리

  1. 논문
    • 장일규, 「최치원 관련 유적의 분포와 숭모」, 『韓國史學報』 제63호, 2016.
  2. 단행본
    • 손상국, 『최치원을 추억하다』, 신아출판사, 2016.
  3. 전시도록
    • 국립진주박물관, 『지리산 : 한국 박물관 개관 100주년』, 국립진주박물관, 2009.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 국립경주박물관, 『고운최치원』, 국립경주박물관,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