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오화변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임오화변(壬午禍變)
대표명칭 임오화변
한자표기 壬午禍變
이칭 사도세자 사건
유형 사건
시대 조선시대
날짜 1762년 윤5월 13일-윤5월 21일
관련인물 조선 영조, 사도세자
관련유물유적 혜경궁 읍혈록


정의

1762년 조선 영조가 대리청정(代理聽政) 중인 왕세자를 폐위하고 뒤주에 가두어 죽인 사건이다.

내용

임오화변의 배경

경종 대 이후 당쟁은 군주 혹은 예비 군주를 선택하는 상황과 결부되어 한층 파급력도 크고 복잡한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영조는 이러한 국면을 타개하기 위하여 탕평책을 실시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세자와 갈등을 일으켜 임오화변이 발생하였다. 임오화변영조장헌세자의 성격적 갈등, 신임의리(辛壬義理)를 둘러싼 노·소론 당론의 대결 구도, 세자를 둘러싸고 궁중 세력과 연계된 당파 간 갈등 등 다양한 원인을 배경으로 한다.[1]

임오화변의 배경

세자가 대리청정을 맡은 이후 영조의 기대에 충실하게 부응하지 못하는 틈을 타서, 문녀(文女, 숙의 문씨)와 그 오빠 문성국(文聖國) 등 궁중 세력과 김상로(金尙魯)·홍계희(洪啓禧) 등 일부 노론 세력이 연합하여 세자의 지위를 흔들고자 각종 무함(誣陷)을 주도하였다.[2]

1757년 세자를 매우 아꼈던 조모 인원왕후(仁元王后)와 법모(法母) 정성왕후(貞聖王后)가 연이어 사망하자, 세자는 이들의 상을 치르느라 건강이 손상되었을 뿐 아니라 왕실의 보호막이 사라짐에 따라 정치적으로도 매우 곤란한 처지에 빠졌다. 이 무렵 우물에 투신자살을 시도한다든가 정신병 증세에 따라 심각한 과실을 저지르는 등 자질 면에서 심각한 결격 사유를 노출하기 시작하였다. 궁중 내 무함 세력의 술책으로 세자영조를 알현하기도 어려워지는 등 부자간은 더욱 소원해졌고, 사태는 점점 악화되었다. [3]

1761년 이천보(李天輔)·민백상(閔百祥)·이후장헌세자을 옹호하던 주요 대신마저 연이어 사망하였다. 그 와중에 세자는 평양까지 미행(微行)을 떠났다가 돌아오는 등 파행을 일삼았고, 사태는 총체적 난국으로 치달았다. 홍계희의 겸종(傔從) 출신인 나경언(羅景彦)세자의 비행을 고발한 일을 계기로 결국에는 세자의 생모인 영빈 이씨세자의 심각한 병증과 예측 불가능한 변란 위험을 실토하게 되었다. 그러자 영조는 결국 윤5월에 세자를 뒤주에 가두어 죽이고 폐위하였다. 그 후에 영조세자에게 사도(思悼)라는 시호를 내리고, 그 아들인 세손에게 동궁(東宮)의 지위를 계승하도록 하였다.[4]

지식 관계망

  • 혜경궁 읍혈록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임오화변 사도세자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임오화변 조선 영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임오화변 노론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임오화변 서론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임오화변 문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임오화변 문성국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임오화변 김상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임오화변 홍계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임오화변 나경언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사도세자 이천보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사도세자 민백상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사도세자 이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조선 영조 영빈 이씨 A는 B의 남편이다 A ekc:hasWife B
조선 영조 사도세자 A는 B의 아버지이다 A ekc:hasSon B
영빈 이씨 사도세자 A는 B의 어머니이다 A ekc:hasSon B
사도세자 혜경궁 홍씨 A는 B의 남편이다 A ekc:hasWife B
사도세자 조선 정조 A는 B의 아버지이다 A ekc:hasSon B
혜경궁 홍씨 조선 정조 A는 B의 어머니이다 A ekc:hasSon B
지문 조선 정조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한중록 혜경궁 홍씨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지문 임오화변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한중록 임오화변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혜경궁 읍혈록 임오화변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762년 윤5월 13일-윤5월 21일 임오화변이 일어났다

주석

  1. 최성환, "임오화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11월 7일.
  2. 최성환, "임오화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11월 7일.
  3. 최성환, "임오화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11월 7일.
  4. 최성환, "임오화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11월 7일.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김문식, 「사도세자의 대리청정」, 『문헌과 해석』, Vol.45, No.-, 태학사, 2008, 49-63쪽.
    • 김영민, 「정조대 "임오화변" 논의의 전개와 사회적 반향」, 『朝鮮時代史學報』, Vol.40, No.-, 조선시대사학회, 2007, 281-319쪽.
    • 김성윤, 「영조대 중반의 정국과 '임오화변' (임오화변(사도세자 폐사사건)의 발생원인에 대한 재검토를 중심으로)」, 『역사와 경계』, Vol.43, No.-, 부산경남사학회, 2002, 57-94쪽.
  • 웹자원
    • 최성환, "임오화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