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하회마을
Encyves Wiki
안동 하회마을 (安東河回里) |
|
대표명칭 | 안동 하회마을 |
---|---|
한자표기 | 安東河回里 |
영문명칭 | Historic Villages of Korea(Hahoe and Yangdong) |
유형 | 유적 |
시대 | 조선시대 |
지정번호 | 유네스코 세계유산 문화유산 1324호 |
지정일 | 2010년 |
소장처 | 경상북도 안동시 종가길 풍천면 하회 안동 하회마을 |
관련인물 | 류성룡 |
관련단체 | 풍산 류씨 |
관련물품 | 하회탈 |
관련유물유적 | 징비록 |
|
목차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에 있는 민속마을이다.
내용
안동 하회마을 역사와 특징
낙동강 물이 S자로 마을을 휘감아 돌아서 물도리(河回)동이라 불렸다. 풍산 류씨 집안의 발상지이며 그들의 자손들이 여기에 머물러 있다. 조선 중기의 문신 서애 류성룡(柳成龍, 1542-1607)과 겸암 류운룡(柳雲龍, 1539-1601)이 이곳에서 태어났다. 이중환은 택리지에서 '강거(江居)의 제일은 평양이요, 계승(溪勝)의 제일은 하회'라고 극찬하였다. 풍산 류씨는 이곳에 600년이라는 시간 동안 터줏대감으로 자리를 잡고 있으며, 이 마을 주민의 70%가 풍산 류씨이다. 류씨가 터를 잡기 전에는 허씨와 안씨가 먼저 살고 있었는데, 하회탈의 제작자가 허도령이라는 말이 구전되고 있으며, 강 건너 광덕동의 건짓골에는 허정승의 묘가 있어 지금도 해마다 류씨들이 벌초를 하고 있다고 한다. 1642년(인조 20)의 동원록(洞員錄)에는 류씨 이외에도 가구 수는 극히 적지만 허씨와 안씨가 함께 기재되어 있다.[1]
안동 하회마을의 무형문화재
안동 하회마을은 하회탈춤으로도 유명하다. 또한 선유 줄불놀이와 하회별신굿탈놀이가 있다. 선유 줄불놀이는 선비들의 놀이이고, 하회별신굿탈놀이는 서민들의 놀이이다. [2]
안동 하회마을의 유형문화재
- 정사(精舍)는 원지정사(遠志精舍)가 있다. 그리고 류성룡의 형인 류운룡이 서재로 사용했던 빈연정사(賓淵精舍)와 류성룡이 1586년에 건설한 옥연정사가 있다. 류성룡은 여기에서 『징비록』을 저술하였다. 그 외에 겸암정사가 있는데 류운룡이 학문 연구와 후진양성을 위해 건립한 곳이다. 이곳의 현판은 스승인 이황의 글씨이다. 마지막으로 상봉정이 있다. [6]
- 주변 경관으론 마을 중앙에 수령 600년 이상이 되는 느티나무가 있는데 이 나무는 풍산 류씨 입향 시조인 전서공이 심었다고 한다. 연좌루 서쪽 건너편에 수백년 된 노송이 있다. 그리고 류운룡이 직접 심었다는 소나무 숲인 만송정과 하회마을을 한눈에 볼 수 있는 80미터 높이 절벽인 부용대가 있다. 전세계 및 한국의 탈을 모아놓은 탈박물관이 있으며 인근에는 국보 제15호로 지정된 봉정사가 있다. [7]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풍산 류씨 | 안동 하회마을 | A는 B에 위치한다 | A edm:currentLocation B |
풍산 류씨 | 류성룡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풍산 류씨 | 류운룡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풍산 류씨 | 풍산류씨 세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dcterms:hasPart B |
징비록 | 류성룡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edm:isRelatedTo B |
병산서원 | 류성룡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옥연정사 | 류성룡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572년 | 류성룡이 병산서원을 건립하였다 |
1583년 | 류운룡 이 빈연정사를 건립하였다 |
1586년 | 류성룡이 옥연정사를 세웠다 |
1647년 | 류성룡이 지은 징비록을 류성룡 손자가 조정에 청을 넣어 간행하였다 |
1797년 | 북촌댁이 건립되었다 |
1797년 | 남촌댁이 건립되었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하회마을",
『위키백과』online , Wikimedia Foundation, Inc. - ↑ "하회마을",
『위키백과』online , Wikimedia Foundation, Inc. - ↑ "하회마을",
『위키백과』online , Wikimedia Foundation, Inc. - ↑ "하회마을",
『위키백과』online , Wikimedia Foundation, Inc. - ↑ "하회마을",
『위키백과』online , Wikimedia Foundation, Inc. - ↑ "하회마을",
『위키백과』online , Wikimedia Foundation, Inc. - ↑ "하회마을",
『위키백과』online , Wikimedia Foundation, Inc.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 김환대, 『경주 양동 안동 하회마을(한옥과 자연이 숨 쉬는 500년 전통 마을 이야기)』, 지식파수꾼(경향미디어), 2010.
- 논문
- 임재해, 「세계문화유산으로서 하회마을 민속의 문화적 가치」, 『국학연구』13, 한국국학진흥원, 2008, 273-311쪽.
- 조정현, 「마을공동체신앙과 생태민속(하회별신굿의 생태민속학적 해석)」, 『비교민속학』41, 비교민속학회, 2010, 168-187쪽.
유용한 정보
- "하회마을",
『위키백과』online , Wikimedia Foundation,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