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동가요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해동가요(海東歌謠)
최동원, "해동가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해동가요
한자표기 海東歌謠
유형 문헌
저자 김수장
편자 김수장
간행시기 영조 연간
시대 조선시대



정의

조선 영조 때 김수장(金壽長)이 편찬한 가집(歌集)이다.

내용

해동가요』의 판본에 대해서

청구영언』·『가곡원류』와 더불어 3대 시조집으로 일컬어진다. 이본으로 박씨본(朴氏本)·일석본(一石本)·주씨본(周氏本)·U.C본(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y에 소장됨.) 등 4종이 있다. 이 중 해동가요 일석본은 표지에 '해동풍아(海東風雅)'라 하고 본문의 서두에는 '『해동가요』'라 하였다. 해동가요 주씨본주시경(周時經)이 교열·교정한 것으로 최남선(崔南善)이 소장하여 육당본(六堂本)이라 일컫기도 한다. 해동가요 일석본해동가요 주씨본은 6·25 때 소실되었다. 해동가요 일석본의 전사본(轉寫本)으로 조윤제(趙潤濟)이재수(李在秀)의 두 전사완본(傳寫完本)이 있다. 정병욱(鄭炳昱), 김근수(金根洙)가 각각 무명씨를 전사한 것이 전한다.[1]

해동가요』 편찬과정

해동가요 박씨본에 의하면, 『『해동가요』』는 1754년에 편찬자가 가집 편찬을 거의 완료하고 자신의 서문을 썼고, 그 다음해 장복소(張福紹)와 자신의 발문을 첨가하여 편찬을 완결하였다. 이 초찬본을 을해본(乙亥本)이라 하나 전하지 않는다(해동가요 박씨본은 을해본을 전사한 것으로 추정됨.). 이 본을 수정, 보완하여 1763년에 제2차본이라 할 개찬본을 내었으니 이를 계미본(癸未本)이라고 한다(해동가요 일석본은 이것의 전사본으로 추정됨.). 이 후에도 수정과 보완을 계속하여 1767년 시조 「봉하친경친잠(奉賀親耕親蠶)」 2수를 지어 본편에 보충하고, '각조체격(各條體格)'과 '고금창가제씨(古今唱歌諸氏)'의 명단을 작성하여 책 끝에 붙이고, '청구가요(靑邱歌謠)'라는 부편(附篇)을 엮어 권말에 수록했다. 이것이 제3차본이라 할 정해본(丁亥本)이다(해동가요 주씨본과 U.C.본은 이것의 전사본으로 추정됨.). [2]

해동가요』의 중요성 과 현재 간행된 판본

해동가요』는 『청구영언』·『가곡원류』와 더불어 시조가 수록된 3대가집(三大歌集)에 속한다. 풍부한 작품 수록은 물론, 『청구영언』과 『가곡원류』의 교량적 위치에서 후대 가집의 편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특히 당시대까지 활동하던 가객의 명단을 작성한 것과 시조를 얹어 부르는 악곡의 풍격과 특징을 제시한 것은 시조 음악 연구에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 다만 세 차례에 걸쳐 편찬된 『해동가요』의 원전이 그대로 전하는 것은 없고 그 전사본만 남아 있는 실정이어서 아쉬움을 갖게 한다.[3]

지식 관계망

  • 청구영언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해동가요 해동가요 박씨본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해동가요 해동가요 일석본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해동가요 해동가요 주씨본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해동가요 해동가요 U.C본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해동가요 주씨본 해동가요 육당본 A는 B와 유사하다 A owl:sames B
해동가요 주씨본 최남선 A는 B에 의해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해동가요 조윤제본 조윤제 A는 B에 의해 필사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해동가요 이재수본 이재수 A는 B에 의해 필사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해동가요 조윤제본 해동가요 일석본 A의 출처는 B이다 A dcterms:provenance B
해동가요 이재수본 해동가요 일석본 A의 출처는 B이다 A dcterms:provenance B
해동가요 해동가요 유명씨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해동가요 해동가요 무명씨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해동가요 무명씨 정병욱 A는 B에 의해 필사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해동가요 무명씨 김근수 A는 B에 의해 필사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해동가요 을해본 해동가요 박씨본 A의 출처는 B이다 A dcterms:provenance B
해동가요 김수창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해동가요 장복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해동가요 계미본 해동가요 일석본 A의 출처는 B이다 A dcterms:provenance B
해동가요 정해본 봉하진경진참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해동가요 정해본 각조체격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해동가요 정해본 고금창가제씨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해동가요 정해본 청구가요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해동가요 정해본 해동가요 U.C본 A의 출처는 B이다 A dcterms:provenance B
해동가요 박씨본 규장문화사 A는 B에서 영인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고전문학선 해동가요 이재수본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고전문학선 동광문화사 A는 B에서 영인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해동가요 주씨본 경성대학 A는 B에서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해동가요 주씨본 아세아문화사 A는 B에서 영인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해동가요 해동가요 교주본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해동가요 교주본 김삼불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해동가요 교주본 해동가요 유명씨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해동가요 교주본 해동가요 주씨본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해동가요 교주본 정음사 A는 B에서 간행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해동가요 박씨본 해동가요 유명씨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해동가요 박씨본 해동가요 무명씨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해동가요 주씨본 해동가요 유명씨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해동가요 주씨본 해동가요 무명씨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해동가요 일석본 해동가요 유명씨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해동가요 일석본 해동가요 무명씨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해동가요 U.C본 해동가요 유명씨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청구영언 해동가요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755년 해동가요 을해본이 간행되었다
1763년 해동가요 계미본이 간행되었다
1767년 해동가요 정해본이 간행되었다
1930년 해동가요 주씨본이 간행되었다
1950년 해동가요 교주본이 간행되었다
1974년 해동가요 주씨본이 영인되었다
1979년 해동가요 박씨본이 영인되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최동원, "해동가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최동원, "해동가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최동원, "해동가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김영숙, 「李瀷 《海東樂府》의 古歌謠 歌話 수용과 再構 樣相」, 『大東漢文學』23, 대동한문학회, 2005, 301-333쪽.
    • 김태웅, 「18세기 후반∼19세기 초중반 가곡문화의 변모와 가집 편찬의 양상」, 『국제어문』72, 국제어문학회, 2017, 273-303쪽.
  • 웹자원
    • 최동원, "해동가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