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이종상-김대성과 석굴암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김대성과 석굴암
이종상-석굴암(김대성)-1979s.jpg
작가 이종상
제작연도 1979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종교
분류 한국화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신라 경덕왕 대에 김대성이 조영한 석굴암의 건축 장면을 묘사한 이종상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민족기록화 인덱스맵 이종상-석굴암(김대성)-1979s.jpg

『삼국유사』권5 「효선(孝善)」 편에 "대성이 현생의 부모를 위해 불국사(佛國寺)를 창건하고 전세의 부모를 위해 석불사(石佛寺 : 석굴암)를 조영하여 신림(神琳) 표훈(表訓) 두 스님을 청해 각각 머물게 했다"고 적혀 있다.[1]

작품 구도

석굴암(石窟庵)은 네모난 공간의 전실(前室)과 본존불(本尊佛)을 모신 원형 공간의 ⑤주실(主室), 그리고 전실과 주실로 통하는 ④비도(扉道)로 구성되어 있다.
이 그림은 주실에 본존불을 안치하고 본존불 주위로 10대 제자 입상을 설치하는 순간을 나타내고 있다. 화면 왼편 하단에는 석재 위에 ⑧기하학적 구도가 그려진 석굴암 설계도면과 그림쇠(컴파스), 곱자(직각자)가 보이고 ④⑦김대성으로 보이는 인물이 두 승려(신림과 표훈)와 이야기하고 있다. 그 옆으로 본존불의 뒤편 감실에 안치할 보살상을 조각하고 있는 ⑥⑧⑨석공들이 보인다.
오른쪽 끝에는 연꽃대좌 위에 오른쪽 무릎을 꾾고 앉아 왼손으로 턱을 괴고 사색에 잠겨 있는 자유로운 ⑨유희좌(遊戱坐)를 한 미륵보살(彌勒菩薩)의 뒷부분 마무리를 석공이 하고 있다. 미륵보살상 뒤에는 석공 두 사람이 나무 지지대에 석재를 세워 놓고 본존불의 ⑥후면 광배를 조각하고 있으며, 본존불 앞에 ⑤가림막을 드리우고 ②③이동식 도르래를 이용하여 완성된 제자상을 세우고 있다.
이 장면은 시대를 훌쩍 건너서 조선 후기 화성 건설에 사용되었던 거중기를 연상케 한다.

그림 읽기

경주 석굴암 본존불김대성이종상 「김대성과 석굴암」 1979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종상-김대성과 석굴암 이종상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대한민국예술원 이종상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이종상-김대성과 석굴암 한국학중앙연구원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이종상-김대성과 석굴암 경주 석굴암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A ekc:depicts B
이종상-김대성과 석굴암 김대성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이종상-김대성과 석굴암 경주 석굴암 본존불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경주 석굴암 토함산 A는 B에 위치한다 A edm:currentLocation B
신라오악 토함산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세계문화유산 경주 석굴암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경주 석굴암 김대성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A ekc:founder B
삼국유사 경주 석굴암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삼국유사 일연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불국사고금창기 경주 석굴암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교남명승첩 경주 석굴암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교남명승첩 정선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경주 석굴암 본존불 아미타불 A는 B와 관계가 있다 A edm:isRelatedTo B
아미타불 정토신앙 A는 B와 관계가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9년 이종상이종상-김대성과 석굴암을 제작하였다
1998년-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이종상-김대성과 석굴암을 소장하고 있다
751년 김대성경주 석굴암을 창건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3915557 127.0547403 한국학중앙연구원이종상-김대성과 석굴암을 소장하고 있다
35.795303 129.349698 경주 석굴암이종상-김대성과 석굴암의 배경이다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영상

주석

  1. "孝善第九 大城孝二世父母 神文代" , 삼국유사, 『한국사데이타베이스』online, 국사편찬위원회.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

더 읽을 거리

  1. 단행본
    • 성낙주, 『석굴암 그 이념과 미학』, 개마고원, 1999.
    • 자현, 『사찰의 상징세계 하』, 불광출판사,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