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석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이경석(李景奭)
대표명칭 이경석
한자표기 李景奭
생몰년 1595(선조 28)-1671(현종 12)
본관 전주(全州)
시호 문충(文忠)
백헌(白軒)
상보(尙輔)
시대 조선
이유간(李惟侃)
대호군(大護軍) 한량(漢良)의 딸 개성고씨(開城高氏)



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

내용

가계

이경석은 정종의 열번째 아들 덕천군(德泉君) 이후생(李厚生)의 6대손이며, 함풍수(咸豊守) 이계수(李繼壽)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이수광(李秀光)이고, 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 이유간(李惟侃)이며, 어머니는 개성고씨(開城高氏)로 대호군(大護軍) 고한량(高漢良)의 딸이다. 석문(石門) 이경직(李景稷)은 그의 형이다. 부인은 전주류씨(全州柳氏) 류색(柳穡)의 딸이다.[1]

삼전도비문

이경석은 1636년 일어난 병자호란 때 대사헌·부제학으로서 남한산성으로 인조를 호종하였으며, 이듬해 청나라의 승전을 기념하는 삼전도비의 비문을 지었다. 비문을 완성한 후, 그는 형(이경직)에게 문자를 배운 것을 한탄하였다고 한다. 삼전도비문에 대해 당시 송시열을 중심으로 한 노론에서는 청나라에 아첨한 행동이라고 비난하는 등 특히 사후에 심한 논란거리가 되었다.[2]

이경석 궤장 및 사궤장 연회도 화첩

이경석과 관련된 문화유산으로 경기도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이경석 궤장 및 사궤장 연회도 화첩(李景奭 几杖 및 賜几杖 宴會圖 畵帖, 보물 제930호)이 있다. 조선시대에는 70세가 넘는 신하에게 공경의 뜻으로 나라에서 장(杖, 지팡이)과 궤(几, 의자)와 가마 등을 주는 풍습이 있었다. 이경석 궤장 및 사궤장 연회도 화첩은 1668년(현종 9) 11월 왕이 당시 원로대신이었던 이경석에게 공경의 뜻으로 내린 궤 1점과 장 4점 그리고 이를 받는 장면을 그린 그림 1점 등 총 6점의 유물이다.[3]

승탑비문의 찬자

이경석은 다수의 승려의 탑비의 비문을 찬술하였다. 이경석이 지은 탑비의 비문으로는,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1653년), 구례 화엄사 벽암대선사비(1663년), 김제 금산사 소요당대사비(1651년), 금강 표훈사 허백당대사비(1662년) 등이 있다. 이 가운데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구례 화엄사 벽암대선사비, 금강 표훈사 허백당대사비서울 삼전도비의 비문을 썼던 오준(吳竣)이 비문의 서자(書者)로 참여하였다.


지식 관계망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이경석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A ekc:writer B
구례 화엄사 벽암대선사비 이경석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A ekc:writer B
김제 금산사 소요당대사비 이경석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A ekc:writer B
금강 표훈사 허백당대사비 이경석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A ekc:writer B
서울 삼전도비 이경석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A ekc:writer B
인평대군묘및신도비 이경석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A ekc:writer B
이경석 이경석 궤장 및 사궤장 연회도 화첩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주석

  1. 김성준, "이경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이원명, "이경석", 『디지털용인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이경석 궤장 및 사궤장 연회도 화첩",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참고문헌

  • 김성준, "이경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원명, "이경석", 『디지털용인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연복, "이경석", 『디지털성남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경석",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