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박세당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박세당(朴世堂)
역사인물초상화 초상 박세당 초상.jpg
대표명칭 박세당
한자표기 朴世堂
생몰년 1629년(인조 7)-1703년(숙종 29)
본관 반남(潘南)
시호 문절(文節)
잠수(潛叟)·서계초수(西溪樵叟)·서계(西溪)
계긍(季肯)
시대 조선
대표저서 『사변록(思辨錄)』, 『신주도덕경(新註道德經)』,『남화경주해산보(南華經註解刪補)』,『색경(穡經)』,『서계선생집(西溪先生集)』
대표직함 성균관전적, 예조좌랑, 홍문관부제학, 한성부판윤, 예조판서이조판서
박정(朴炡)
양주윤씨(楊州尹氏) 윤안국(尹安國)의 딸
성격 문신, 학자, 문인



정의

조선후기의 문신

내용

생애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계긍(季肯), 호는 잠수(潛叟)·서계초수(西溪樵叟)·서계(西溪). 박응천(朴應川)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좌참찬 박동선(朴東善)이고, 아버지는 이조참판 박정(朴炡)이며, 어머니는 양주윤씨(楊州尹氏)로 관찰사 윤안국(尹安國)의 딸이다.[1]

박세당은 1629년(인조7) 8월 19일 남원(南原)에서 태어났으나, 4세 때 부친이 7세 때에는 큰형이 사망하면서 어려움이 시작되었다.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조모와 모친을 모시고 피란길에 올라 원주ㆍ청풍ㆍ안동 등지를 전전했다. 17세에는 의령 남씨 남일성(南一星)의 딸과 혼인하여 관례대로 처가살이를 하였다.[2]

박세당의 집안은 서인에서 소론으로 이어지는 가문의 핵심이 되었고, 소론 인사들과의 혼맥도 두드러졌다. 박세채(朴世采)는 박세당의 8촌 아우였고, 박세당의 셋째 형인 박세후(朴世垕)윤증의 아버지인 윤선거(尹宣擧)의 사위가 되었다. 박태보(朴泰輔)윤증의 대표적인 제자가 되면서 윤선거 집안과의 두터운 교분을 이어갔다. 조선 후기 소론의 핵심인 박세당, 박세채, 윤증은 혈연관계와 사제관계가 중첩되면서 소론의 정치적ㆍ사상적 입지를 굳혀 갔다.[3]

1660년(현종 1)에 증광 문과에 장원해 성균관전적에 제수되었고, 그 뒤 예조좌랑·병조좌랑·정언·병조정랑·지평·홍문관교리 겸 경연시독관·함경북도 병마평사(兵馬評事) 등 내외직을 역임하였다. [4] 1666년(현종 7) 5월 부인 남씨가 사망하자, 박세당은 이듬해 광주 정씨와 재혼하였다. 1668년 박세당은 관직에서 물러난 후 양주 수락산 석천동(石泉洞)으로 들어갔다. 수락산 일대에는 부친 박정이 인조반정의 공을 인정받아 정사공신이 되면서 받은 사패지(賜牌地: 나라에 큰 공을 세운 벼슬아치에게 임금이 내려준 논밭)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박세당은 수락산 기슭 서계(西溪)의 아름다운 풍광을 사랑했다. 아예 호를 서계초수(西溪樵叟)라 하고, 서계의 골짜기 이름을 석천동(石泉洞)이라 하였다.[5] 집의·사간·홍문관부제학·이조참의·호조참판·공조판서·우참찬·대사헌·한성부판윤·예조판서·이조판서 등의 관직이 주어졌지만 모두 부임하지 않았다.[6]

사문난적

그가 생존했던 시기는 송시열(宋時烈)을 축으로 한 노론계(老論系)가 정국을 주도하였고 있었기 때문에 반주자학적(反朱子學的) 입장에 섰던 그로서는 정치적으로 많은 제약을 받았다. 예를 들면 병자호란 당시 송시열이 청태종공덕비문을 지은 이경석(李景奭)을 비판한 것에 대해 1702년 이경석의 신도비명(神道碑銘)을 찬술하면서 송시열이경석을 비판한 것은 잘못된 일이라고 하여 노론의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또한 조선의 성리학이 중국 중심적 학문 태도를 보이는 것에 회의적이었다. 1703년에는 《사변록(思辨錄)》을 저술하여 주자학을 비판하고 독자적 견해를 밝혀 노론에게서 사문난적(斯文亂賊)으로 몰렸다. 박세당은 관작을 삭탈당하고 옥과(玉果)로 유배형을 받았으나, 이인엽(李寅燁)의 상소로 유배형이 집행되지는 않았다.[7]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박세당 박정 A는 B의 아들이다 A ekc:hasFather B
박태유 박세당 A는 B의 아들이다 A ekc:hasFather B
박태보 박세당 A는 B의 아들이다 A ekc:hasFather B
정사무 박세당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박세당 송시열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박세당 사문난적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박세당 노장사상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박세당 백이정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박세당 필적 서계유묵 박세당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이경석 신도비 박세당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사변록 박세당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서계선생집 박세당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신주도덕경 박세당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남화경주해산보 박세당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색경 박세당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박세당 윤증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박세당 박세채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박세당 남이성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박세당 남구만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박세당 최석정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이덕수 박세당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이탄 박세당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조태억 박세당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김만규, "박세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신병주, "박세당", 인물한국사,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신병주, "박세당", 인물한국사,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4. 김만규, "박세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신병주, "박세당", 인물한국사,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6. 김만규, "박세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7. "박세당",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박세당",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김만규, "박세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신병주, "박세당", 인물한국사,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더 읽을 거리

  • 김동준, 「서계(西溪) 박세당(朴世堂)의 시문학(詩文學)」, 『한국한시작가연구』 12, 한국한시학회, 2008, 63-95쪽.
  • 김만규, 「西溪 朴世堂의 政治思想」, 『동방학지』 19,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78, 195-231쪽.
  • 김만규, "박세당"『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세정, 「명재 윤증과 서계 박세당의 격물 논변」, 『동양철학연구』 56, 동양철학연구회, 2008, 7-41쪽.
  • 김영주, 「서계 박세당의 문학론 연구」, 『동방한문학』 25, 동방한문학회, 2003, 213-237쪽.
  • 김종수, 『朴世堂의 『西溪燕錄』에 대한 思想文化的 讀解』, 성균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김학수, 「`서계유계(西溪遺戒)`를 통해 본 박세당의 상례(喪禮) 인식과 그 파문」, 『한국계보연구』 1, 한국계보연구회, 2010, 245-273쪽.
  • 송항룡, 「서계 박세당의 노,장연구와 도가철학사상」, 『대동문화연구』 16,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82, 45-56쪽.
  • 윤사순, 「박세당의 실학사상에 관한 연구」, 『아세아연구』15-2,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1972, 29-95쪽.
  • 윤사순, 정순우, 박병련, 권오영, 『서계 박세당 연구』, 집문당, 2006.
  • 이종성, 「서계(西溪) 박세당의 『신주도덕경(新註道德經)』 에 있어서의 노자관(老子觀)」, 『동양철학연구』 16, 동양철학연구회, 1996, 153-188쪽.
  • 이희재, 「17세기 조선 박세당의 철학에 관한 연구」, 『비교한국학』 12-2, 국제비교한국학회, 2004, 101-122쪽.
  • 이희재, 「간독(簡牘)을 통해 본 박세당의 삶」, 『동방학』26,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3. 7-31쪽.
  • 이희재, 「박세당의 『新註道德經』연구」, 『서지학연구』 23, 서지학회, 2002, 65-85쪽.
  • 이희재, 「朴世堂의 認識論」, 『논문집』 6, 광주대학교, 1989, 25-38쪽.
  • 이희재, 『박세당 탈주자학적 실학사상의 선구자』,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0.
  • 이희재, 『朴世堂 思想硏究 : 脫朱子學的 입장에서』, 원광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5.
  • 전현미, 『朴世堂의 莊子觀 硏究』, 성균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조한석, 『朴世堂의 『莊子』「齊物論」 思想 硏究』, 성균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 주영아, 「박세당의 北關宦遊記 北征錄 연구」, 『동방학』17,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09, 35-70쪽.
  • 주영아, 『朴世堂의 사유체계와 작품세계』, 한양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최윤정, 「書簡을 통해 본 박세당과 남구만의 교유 양상」, 『한국고전연구』 24, 한국고전연구학회, 2011, 227-258쪽.
  • 최윤정, 『西溪 朴世堂 문학의 연구 : 사상적 특징과 문학과의 관련 양상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