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광찬과 김주국의 편지 (해독)
Encyves Wiki
본 기사의 해독문은 "의성김씨학봉김성일종가언간(김광찬이 진성이씨에게 쓴 탁서)"(조선시대한글편지, 원문 중 옛 한글의 경우 웹브라우저 및 시스템의 문자세트(character set) 표현상 한계로 인해 표시가 불완전할 수 있으며, 각 내용상의 사소한 교정은 별도의 언급 없이 적용하였습니다. |
원문과 해석문
원문 | 해석문 |
---|---|
긔셔(寄內書) 안흘 주 글 | 기내서(寄內書). 아내에게 주는 글. |
병(病)이 랄 거시 업서 일만(一萬) 가지 일이 모도 마니 녕위(營爲)야 셩닙(成立)려던 계(計巧ㅣ) 구롬치 헷거로 도라가니 가(可)히 탄식(歎息)물 이긔랴 | 한 병이 바랄 것이 없어 일만 가지 일이 모두 많이 영위하여 성립하려던 계교가 구름같이 헛것으로 돌아가니 가히 탄식함을 이기랴. |
내 죽으무로 (恨) 말고 능(能)히 내 을 니어 일(一) 괴(塊) 육(肉)[1]귀륭(龜隆)[2]이 보젼(保全)야 내 슈쇄(收刷)[3] 못 나문 업(業)을 니으면 내 죽어도 눈을 무리라 | 내가 죽는 것을 가지고 한하지 말고 능히 내 뜻을 이어 한 덩어리 살붙이 귀륭이를 보전하여서 내가 수쇄하지 못한 남은 업을 이으면 내가 죽어도 눈을 감으리라. |
부로골[4] 논은 곳 내 긔(自己) 득(買得) 거시라 토품(土品)이 됴코 소츌(所出)이 우리 집 두어 냥식(糧食)니나 될 거신즉 이 논이 실(實)노 우리 집 모 막을 거시라 (代代) 종종손(宗子宗孫)이 젼(傳)야 (百代)라도 가히 여 내지 못 거시오 | 부로골 논은 곧 내 스스로 매득한 것이라 토품이 좋고 소출이 우리 집 두어 달 양식이나 될 것인즉, 이 논이 실로 우리 집 한 귀퉁이를 감당할 것이라, 대대로 종자종손이 전하여 백대라도 가히 떼어내지 못할 것이요, |
궁골[5] 논도 비록 내 삿다 지라도 가(可)히 여 내지 못 거니니 논곳 면 그나마 다 박전박퇴(薄田薄土ㅣ) 다 미들 거시 업쓰미오 그나마 놋졈[6] 논 오삼개[7] 자리와 장(台庄)[8]남돌고개[9] 밧츤 유뮈(有無ㅣ) 됵(足)히 거론(擧論) 배 아니오 | 궁골 논도 비록 내가 샀다 할지라도 또한 가히 떼어내지 못할 것이니, 논을 떼어내면 그나마 다른 거친 밭과 땅이 다 맡을 것이 없고, 그나마 놋점 논 오삼개 자리와 태장 납돌고개 밭은 유무를 족히 거론할 바가 아니요, |
봄파일[10] 새 밧츤 쳐가(妻家) 깃득[11]으로 산 거시니 자[12] 젼(生前)은 가(可)히 스로 고 휜즉[13]종믈(宗物)[14]노 들 거시니 거나 거나 거 아니라 내 을 톄렴(體念)[15]면 현뷔(賢婦ㅣ)라[16] 이 거시오 갓 죽은 날만 부지져 가(家事) 도라보지 아닌즉 내의 라미 아니로라 | 봄파일 새 밭은 처가 유산으로 산 것이니, 자네 생전은 가히 스스로 하고 죽은 뒤에는 종물로 들어갈 것이니, 팔거나 떼어내거나 할 것은 아니라, 내 뜻을 깊이 이해하면 현부라 이를 것이요, 한갓 죽은 나만 (애타게) 부르짖어 집안일을 돌보지 아니하면, 나의 바람이 아니로다. |
을유년(乙酉年) 월(月) 일(日) 김(金) 탹셔(托書) | 을유년, 월 일 김(金). 글로 씀. |
주석
- ↑ 육(肉)혈육. 살붙이.
- ↑ 귀륭(龜隆)인명. 김광찬(金光燦, 1736~1765)의 외아들 김종수(金宗壽, 1761~1813)아명.
- ↑ 슈쇄(收刷)수습(收拾). 흩어진 재산이나 물건을 거두어 정돈함.
- ↑ 부로골지명. 부로곡(扶老谷).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에 있는 동네 이름.
- ↑ 궁골지명.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태장리 궁골. 웃태장 서쪽에 있는 동네 이름.
- ↑ 놋졈지명. 녹전(祿田).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녹전면 녹래리 녹전.
- ↑ 오삼개지명. 놋점에 있는 논 중 일부를 가리키는 명칭으로 사용되었다. 이 편지 뒤에서 ‘오삼 논’이라고도 하였다.
- ↑ 장(台庄)지명. 태장.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태장리(台庄里). 고려 시대에, 왕의 태(胎)를 묻어 태장(胎藏), 태장촌(胎藏村)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상태장리, 하태장리 및 와원동을 병합하여 태장리라 하였다.
- ↑ 남돌고개지명. 납돌고개. 이 편지 뒤에서 ‘납돌고개’라고 표기되었다.
- ↑ 봄파일지명. 춘파(春坡).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성곡리에 있는 마을. 현재 면 소재지이다.
- ↑ 깃득깃득[衿得]. 부모로부터 몫으로 나누어 받은 바의 유산이나 재산. “分財所得, 謂之衿得.”(行用吏文.) ‘깃’(衿)의 소급 형태는 ‘깆’으로서 무엇을 여럿으로 나눌 때에 ‘저마다 돌아오는 한 몫’을 뜻하며, 이것을 표기하는 이두(吏讀) 문자 ‘衿’은 한자에서 그 훈(訓)의 음(音)을 빌려온 것이다.
- ↑ 자자네. 2인칭대명사. 여기서는 김광찬이 아내 진성이씨를 지칭하는 표현이다.
- ↑ 휜즉휜즉(死後즉). 사후인즉. ‘후(死後)+ㅣ(서술격조사)+-ㄴ즉’으로 분석된다.
- ↑ 종믈(宗物)종가(宗家)의 소유물.
- ↑ 톄렴(體念)깊이 생각함.
- ↑ 현뷔(賢婦ㅣ)라현부이라. 어진 며느리라. ‘현부+ㅣ(서술격조사)+-라’로 분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