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관음전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음전
(觀音殿)
대표명칭 관음전
한자표기 觀音殿
이칭 원통전(圓通殿)
관련개념 관음보살



정의

관음보살을 주불로 모신 사찰 당우.

내용

관음전이 그 사찰의 주불전일 경우에는 원통전(圓通殿), 또는 원통보전(圓通寶殿)이라고 한다. 관음보살이 '주원융통(周圓融通)하게 중생의 고뇌를 씻어주시는 분'이라고 하기 때문이다.[1]

우리나라에서 보살을 모신 당우로 관음전이 많이 세워진 까닭은, 관음보살이 모든 환란을 구제하는 보살일 뿐 아니라 그의 서원이 철두철미하게 중생의 안락과 이익에 있고, 불가사의한 인연과 신력(神力)으로 중생을 돕기 때문이다.[2]

관음보살은 대개 왼손에는 봉오리 상태의 연꽃을, 오른손에는 감로병을 들고 연화좌에 앉아 있다. 왼손에 든 연꽃은 중생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불성을 의미하며, 봉오리 상태로 표현한 것은 불성이 번뇌에 물들지 않고 장차 활짝 피어나리라는 것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그 꽃이 활짝 피면 성불하였음을 뜻한다. 그리고 감로병은 불사를 뜻한다. 관음보살의 보관을 자세히 보면 부처의 모습이 새겨져 있는데 이는 아미타불이다. 아미타불관음보살의 스승으로 알려져 있다.[3]

관음보살의 협시(脇侍)가 되고 있는 남순동자(南詢童子)와 해상용왕(海上龍王)은 조각상으로 봉안하기가 어려우므로 거의 후불탱화에만 나타나고 있다.[4]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관음전 관음보살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관음전 아미타불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주석

  1. 무구 김정희, "관음전", 사찰의 이해, 『조계사 청년회』online, 조계사.
  2. "관음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한국박물관연구회, 『한국의 박물관:불교』, 문예마당, 2000. 온라인참조:"관음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4. "관음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무구 김정희, "관음전", 사찰의 이해, 『조계사 청년회』online, 조계사.
  • "관음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박물관연구회, 『한국의 박물관:불교』, 문예마당, 2000. 온라인참조:"관음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