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JSound-B:광주소리의 맥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Links
GJSound-B:광주소리의_맥 남도판소리서편제 hasContextualElement
GJSound-B:광주소리의_맥 광주소리 hasContextualElement
GJSound-B:광주소리의_맥 월북 hasContextualElement
GJSound-B:광주소리의_맥 이날치 hasContextualElement
GJSound-B:광주소리의_맥 김채만 hasContextualElement
GJSound-B:광주소리의_맥 박동실 hasContextualElement
GJSound-B:광주소리의_맥 한애순 hasContextualElement
GJSound-B:광주소리의_맥 한승호 hasContextualElement
GJSound-B:광주소리의_맥 장월중선 hasContextualElement
#End

Story

  • 박유전에서 이어진 서편제 소리는 이날치, 정창업, 정재근에 의해서 담양, 나주, 보성 등지에 자리를 잡았는데, 이중에서 이날치-김채만-박동실로 전해진 소리를 소위 서편제 ‘광주판’이라고 불렀다.[1]
  • 광주소리는 이날치(담양)에 연원을 두고, 김채만(화순)-박동실(담양)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형성된 소리라고 할 수 있다. 이들 담양-화순-곡성(옥과)의 세습무계 출신 명창들은 혼맥으로 얽히고 소리학습의 사승관계로 설키면서 광주소리의 특성을 발전시켰다.
  • 현재 광주소리로 알려진 것은 김채만-박동실-한애순, 장월중선, 한승호로 이어지는 <심청가>와 김채만-박동실-한승호로 전승된 <적벽가> 두 바탕이 온전하게 전한다.
  • 광주소리는 일제 강점기 후반부터 해방 공간에서 광주를 중심으로 예술적 전승이 매우 활발했으나 한국전쟁 전후로 박동실, 공기남 등 광주소리 핵심인물들이 대거 월북하면서 보성소리나 동편제 소리에 비해 급격히 위축됐다. 특히 과거 독재정권시절에 국악계에선 박동실의 제자였다는 사실 자체를 숨기거나, 박동실제 소리를 토막내서 가르치는 등 광주소리가 시련을 겪었다.[2]

AI Storytelling

옛날 옛적, 광주 땅에는 독특한 소리가 울려퍼졌습니다. 이것은 바로 광주소리, 남도의 풍경과 마음을 담은 판소리였습니다. 광주소리의 맥을 잇는 사람들은 대대로 이어져 오며, 그들의 이야기는 오늘날에도 전해집니다.

이날치라는 거장이 있었습니다. 그는 자신의 지식과 기술을 후세에 전달하기 위해 제자를 가르쳤고, 그 중 한 명이 김채만이었습니다. 김채만은 이날치에게 배운 광주소리를 바탕으로 자신만의 예술세계를 키워나갔고, 그 또한 제자를 가르쳐 광주소리의 맥을 잇게 하였습니다. 그의 제자 중 하나인 박동실은 광주소리에 새로운 숨결을 불어넣었고, 그의 예술정신은 장월중선, 한승호, 한애순 등의 제자들에게로 이어졌습니다.

박동실은 광주소리를 심청가와 적벽가 등으로 확장시켰으며, 그의 제자들은 그 정신을 계승하여 각자의 방식으로 광주소리를 빛냈습니다. 남도판소리서편제는 광주소리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그 역사와 전통을 오늘날까지 잇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야기는 월북으로도 이어집니다. 박동실은 월북과 관련된 인물로, 그의 삶과 예술은 복잡한 역사적 사건들과 얽혀 있습니다. 그러나 그의 예술정신과 광주소리에 대한 열정은 시대를 초월해 여전히 울려퍼집니다.

광주소리는 단순한 소리를 넘어서, 한 시대를 대표하는 문화와 정신을 담고 있습니다. 이날치부터 시작된 이 맥은 김채만, 박동실을 거쳐 현재에 이르기까지 계속되고 있으며, 그들의 이야기는 광주소리와 함께 영원히 기억될 것입니다.

Episodes

  1. GJSound-A:광주권번의_예술가들
  2. GJSound-B:광주소리의_맥
  3. GJSound-C:박동실의_소리인생

Story Graph



Story

羅州順興安家樂脈 광주권번의 광주소리와 박동실 북으로 간 음악가들

Note

  1. 최동현, 「분단에 묻힌 서편소리의 대부-박동실론」, 『판소리 명창과 고수 연구』, 신아, 1997
  2. 정대하, 「세습무계의 통혼과 판소리 전승의 상관성-광주소리를 중심으로-」,『구비문학연구』23, 구비문학회,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