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 이성산성

DH 교육용 위키
Aks김지선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6년 6월 14일 (화) 14:50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관

하남 이성산성남한산성이 있는 청량산에서 북쪽방향으로 내려오는 줄기와 만나 길게 맥을 형성하는 금암산의 줄기에 접해 있으며, 남쪽은 평야를 둘러싸고 있는 높은 산들이 있으나 북쪽은 작은 구릉만 있어 한강 주변지역을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남 이성산성은 배후의 평야지역을 방어하고 강북의 적으로부터 한강유역을 방어하기에 매우 유리한 입지조건을 갖춘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하남 이성산성에서는 삼국시대 건물지(8각, 9각, 장방형 등)와 부대시설(문지, 배수구 등), 목간, 철제마 등 총 3,352점의 유물이 출토되었고, 특히 발굴조사 결과 출토된 목간 전면의 명문기록「무진년정월십이일 붕남한성도사< 戊辰年正月十二日 朋南漢城道使...>」 중 "무진년"은 608년으로 추정되고 있다. 출토된 토기들은 황룡사, 안압지 출토 토기들과 유사하여 통일신라토기로 판명되며, 신라가 5세기 중엽 한강유역을 점령한 후 축조된 것으로 역사상·학술상으로 매우 귀중한 유적으로 평가된다.[2]

하남 이성산성아차산성

이성산성의 3차 발굴 결과 A지구 1차 저수지에서 출토된 목간에는 다음과 같은 명문이 적혀있다.

戊辰年正月十二日朋南漢城道使…결락 /(측면)須城道使村主前南漢城□□…결락 /(후면)□□蒲□□□□□□…결락.

목간에는 전면과 측면 2차례에 걸쳐 나오는' 南漢城'을 통해 이성산성이 남한성임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이성산성에서 출토된 다량의 목간과 벼루는 곧 이곳에서 정치・외교・군사에 관한 중요한 사실을 문서로 작성해 중앙에 보고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였음을 시사한다. 이성산성신라한강 유역을 차지한 후 군사・행정의 중심 거점이었을 것이다.

결국 7세기에 들어서서 아차산성이성산성은 한강을 사이에 두고 북한(산)성과 남한성으로서 각각 한강이북과 이남의 거점성 역할을 했을 법하다. 그 과정에서 아차산성은 북한산주의 중심치소로서 신라가 북방으로 본격적으로 진출하는 데 있어 거점 지역으로 부상했을 것이다.[3]

지도

클래스

  • 유적

관련 문서

이 문서 관계 관련 문서
하남 이성산성 A는 B로 추정된다 남한성
하남 이성산성 A는 B의 맞은편에 있다 아차산성
하남 이성산성 A는 B를 포함한다 하남 이성산성 건물지

갤러리

주석

  1. 아래 사진출처: 문화재청 문화재검색 하남 이성산성
  2. 문화재청 문화재검색 하남 이성산성
  3. 장창은, 「아차산성을 둘러싼 삼국의 영역 변천」, 『사총』, 제 81집, 2014, 131쪽.
  4. 사진출처: 하남 이성산성, 문화재청
  5. 사진출처: 하남 이성산성, 문화콘텐츠닷컴

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