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강화화문석자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20번째 줄: 20번째 줄:
 
『임원십육지』에서는 「금화경독기」를 인용하여 예안 사람들이 오채용문석(五彩龍文席)을 잘 만들어 공물로 바쳤다고 한다. 그 밖에 『규합총서』에서는 강화의 교동을 화문석의 산지로 꼽고 있다. 화문석은 원래 부드럽고 잘 꺾이지 않는 용수초로 경상도지역에서 많이 제작했다고 하지만 현재는 보성 용문석만이 그 명맥을 잇고 있으며, 화문석으로 유명한 강화에서는 재료를 왕골을 사용하고 있다.
 
『임원십육지』에서는 「금화경독기」를 인용하여 예안 사람들이 오채용문석(五彩龍文席)을 잘 만들어 공물로 바쳤다고 한다. 그 밖에 『규합총서』에서는 강화의 교동을 화문석의 산지로 꼽고 있다. 화문석은 원래 부드럽고 잘 꺾이지 않는 용수초로 경상도지역에서 많이 제작했다고 하지만 현재는 보성 용문석만이 그 명맥을 잇고 있으며, 화문석으로 유명한 강화에서는 재료를 왕골을 사용하고 있다.
 
<ref> 진도문화원 http://www.jindoculture.or.kr/sub.html?table_id=data_folklore&pid=20&target=&keyword=&formtype=view&page=1&code=174
 
<ref> 진도문화원 http://www.jindoculture.or.kr/sub.html?table_id=data_folklore&pid=20&target=&keyword=&formtype=view&page=1&code=174
 +
 +
임원경제지 제3권 섬용지(贍用志) 용수석(龍鬚席)
 +
경기 교동은 오색으로 새를 새기거나 단지 검정색으로 수, 복, 만자를 새긴 왕골 자리를 공물로 바친다. 청색과 흑갈색의 천으로 둘레를 싸서 장식하였다. 이를 등매석(登每席)이라고 한다.
 +
<ref> 강화화문석문화관 http://www.ghss.or.kr/src/article.php?menu_cd=0804010100</ref>
 +
 +
  
  

2019년 6월 25일 (화) 03:41 판

개요

해설

세종실록

<세종실록> 12년(1430) 2월 정유를 보면 명나라에 대한 세공품목이 적혀 있다. 다음과 같다.

“석류로는 만화석, 만화방석, 염석, 황화석, 해화석이 있으며 해동역사 교빙31에는 중종 26년 (1531년)에 공물 중 석류로 황제에게 용문염석 20매, 황화석20매, 만화방석20매, 잡채화석 20매, 이며 황후에게 황화석10매, 만화방석10매, 잡채화석 10매라 하였다.” [1]

세종실록 제29권 7년 8월 22일 각 도에서 장흥고로 납부하는 돗자리가 5,148장인데 현재 634장이 있다. 1년 동안 필요한 돗자리가 2,215에 불과하니 경기도에서 바치는 480장은 없애기를 청한다.

임원경제지

<임원> 십육31 섬용31 권3 가거31구에 용수석 항에서 또 <금화경득기>의 글을 인용하여 용수석에 대한 기록이 있으며 일본 에도시대에도 우리나라 통신사가 가지고 간 대화석이 있었음을 기록으로 알 수 있다. 『임원십육지』에서는 「금화경독기」를 인용하여 예안 사람들이 오채용문석(五彩龍文席)을 잘 만들어 공물로 바쳤다고 한다. 그 밖에 『규합총서』에서는 강화의 교동을 화문석의 산지로 꼽고 있다. 화문석은 원래 부드럽고 잘 꺾이지 않는 용수초로 경상도지역에서 많이 제작했다고 하지만 현재는 보성 용문석만이 그 명맥을 잇고 있으며, 화문석으로 유명한 강화에서는 재료를 왕골을 사용하고 있다. 인용 오류: <ref> 태그를 닫는 </ref> 태그가 없습니다



시각자료

사진

영상

  • 채널A 오늘의 영상_스마트리포터 동영상, 왕골 돗자리, 게시일: 2013년 3월 4일.

가상현실[2]

-추후 드론과 파노라마사진을 넣을 곳입니다.

출처

  1. 한국의유산 이소정 기자 http://iyoc.kr/portal/interview.asp?idx=144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강화 광성보' 사진

기여

일자 역할 이름 전공
2019년 6월 정리 및 편집 손형남 인문정보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