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수 복식2020단국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big>'''자수'''</big> =='''정의'''== =='''내용'''== =='''지식관계망'''== =='''주석'''== =='''참고문헌'''== 분류:복식콘텐츠 분류:복식2020단국...)
 
4번째 줄: 4번째 줄:
  
 
=='''내용'''==
 
=='''내용'''==
 +
 +
====자수 기법====
 +
 +
<table style="background-color: #FFFFFF; margin: 0; border: 1px solid #DEDED3; padding: 7px 7px 0px 7px; border-radius:5px">
 +
<tr valign="top">
 +
<td colspan="2">
 +
<table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
<tr style="background-color:#f5f5dc; text-align:center;">
 +
<td width="80px">전통 자수 기법 종류</td>
 +
<td width=260px>평수</td>
 +
<td width=260px>이음수</td>
 +
<td width=260px>가름수</td>
 +
<td width=260px>자련수</td>
 +
</tr>
 +
<tr style="text-align:center;">
 +
<td style="background-color:#fff0f5;">기법 형태</td>
 +
<td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180px>파일:평수.jpg|평수. <ref name="국립고궁박물관_228">국립고궁박물관, 『아름다운 궁중 자수』, 안그라픽스 미디어사업부, 2013, 228쪽.</ref></gallery ></td>
 +
<td><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180px>파일:이음수.jpg|이음수. <ref name="국립고궁박물관_228" /></gallery ></td>
 +
<td><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180px>파일:가름수.jpg|가름수. <ref name="국립고궁박물관_228" /></gallery ></td>
 +
<td><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180px>파일:자련수.jpg|자련수. <ref name="국립고궁박물관_228" /></gallery ></td>
 +
</tr>
 +
<tr >
 +
<td style="text-align:center;background-color:#fffaf0;">기법 설명</td>
 +
<td>&nbsp;&nbsp;사선, 수직, 수평방향으로 문양의 면을 실로 메우는 기법. 실과 실이 겹치거나 틈새가 없어야 하며, 넓은 면을 메울 떄는 수실이 뜨지 않도록 가는 실로 눌러준다.<ref name="국립고궁박물관_228"/></td>
 +
<td>&nbsp;&nbsp;일정 길이의 땀수를 연속적으로 이어 선을 표현하는 기법. 바늘땀을 일정하게 겹쳐서 선을 이어 직선 또는 곡선을 표현한다.<ref name="국립고궁박물관_228"/></td>
 +
<td>&nbsp;&nbsp;좌우 대칭으로 문양의 안쪽을 향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여 한 면씩 메워 완성하는 기법. 주로 나뭇잎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기법이다.<ref name="국립고궁박물관_228"/></td>
 +
<td>&nbsp;&nbsp;바늘땀을 불규칙적으로 길고 짧게 뜨면서 면을 메우는 기법. 색의 자연스러운 변화를 표현하기에 용이하기 때문에 주로 꽃잎이나 나뭇잎, 구름 등의 표현에 이용된다.<ref name="국립고궁박물관_228"/></td>
 +
</tr>
 +
</table>
 +
 +
<table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
<tr style="background-color:#f5f5dc; text-align:center;">
 +
<td width="80px">전통 자수 기법 종류</td>
 +
<td width=260px>자릿수</td>
 +
<td width=260px>매듭수</td>
 +
<td width=260px>징금수</td>
 +
<td width=260px>새털수</td>
 +
</tr>
 +
<tr style="text-align:center;">
 +
<td style="background-color:#fff0f5;">기법 형태</td>
 +
<td><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180px>파일:자릿수.jpg|자릿수. <ref name="국립고궁박물관_228" /></gallery ></td>
 +
<td><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180px>파일:매듭수.jpg|매듭수. <ref name="국립고궁박물관_228" /></gallery ></td>
 +
<td><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180px>파일:징금수.jpg|징금수. <ref name="국립고궁박물관_228" /></gallery ></td>
 +
<td><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180px>파일:새털수.jpg|새털수. <ref name="국립고궁박물관_229" /></gallery ></td>
 +
</tr>
 +
<tr >
 +
<td style="text-align:center;background-color:#fffaf0">기법 설명</td>
 +
<td>&nbsp;&nbsp;땀의 간격과 방향을 일정하게 반복해 돗자리의 결처럼 촘촘하게 표현하는 기법. 각각의 자수열이 서로 맞물려 연결된 형태로 수놓아지며, 넓은 면을 메울 때 주로 사용된다.<ref name="국립고궁박물관_228"/></td>
 +
<td>&nbsp;&nbsp;바늘에 실을 감아서 놓는 기법. 감는 실의 횟수나 굵기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낼 수 있다. 작은 점을 입체감 있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주로 꽃의 씨앗, 동물의 눈동자 등에 사용된다.<ref name="국립고궁박물관_228"/></td>
 +
<td>&nbsp;&nbsp;금사와 은사 등 금속성의 실이나 굵은 실과 면적이 있는 띠를 천 위에 고정시켜주는 기법. 실을 천 위에 놓고 문양을 만든 후 고른 간격의 땀으로 징그거나 고정한다.<ref name="국립고궁박물관_228"/></td>
 +
<td>&nbsp;&nbsp;동물이나 새의 부드러운 털을 표현하는 기법. 평수나 자련수로 표현된 새의 몸 안에 깃털 방향으로 결이 '팔八'자형이 되도록 수를 놓는다.<ref name="국립고궁박물관_229"/></td>
 +
</tr>
 +
</table>
 +
 +
<table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
 +
  <tr style="background-color:#f5f5dc; text-align:center;">
 +
<td width=80px>전통 자수 기법 종류</td>
 +
<td width=260px> 솔잎수</td>
 +
<td width=260px>선수</td>
 +
<td width=260px>속수</td>
 +
<td width=260px>납사수</td>
 +
  </tr>
 +
  <tr style="text-align:center;">
 +
<td style="background-color:#fff0f5">기법 형태</td>
 +
<td><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180px>파일:솔잎수.jpg|솔잎수. <ref name="국립고궁박물관_229">국립고궁박물관, 『아름다운 궁중 자수』, 안그라픽스 미디어사업부, 2013, 229쪽.</ref></gallery ></td>
 +
<td><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180px>파일:선수.jpg|선수. <ref name="국립고궁박물관_229" /></gallery ></td>
 +
<td><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180px>파일:속수.jpg|속수. <ref name="국립고궁박물관_229" /></gallery ></td>
 +
<td><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180px>파일:납사수.jpg|납사수. <ref name="국립고궁박물관_229" /></gallery ></td>
 +
</tr>
 +
<tr >
 +
<td style="text-align:center;background-color:#fffaf0">기법 설명</td>
 +
<td>&nbsp;&nbsp;선수의 변현된 형태로 소나무 잎을 수놓을 때 쓰이는 기법. 솔잎의 사실적인 효과를 내고자 할 때 사용한다.<ref name="국립고궁박물관_229"/></td>
 +
<td>&nbsp;&nbsp;겹치는 부분 없이 실을 잇지 않고 한 번에 선으로 문양을 표현하는 기법. 수를 놓는 각도나 길이를 달리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응용된다.<ref name="국립고궁박물관_229"/></td>
 +
<td>&nbsp;&nbsp;입체감을 나타내기 위해 겉수의 밑에 수를 놓거나 심을 넣어 양감을 나타내는 기법. 속수의 방향은 겉수의 반대 방향으로 놓는다. 심의 재료는 솜, 실, 종이, 창호지 등을 사용한다.<ref name="국립고궁박물관_229"/></td>
 +
<td>&nbsp;&nbsp;올이 성긴 직물 전면에 짧은 땀의 수를 놓아 마름모꼴의 연속된 문양을 만드는 기법. 직조와 같은 느낌이 나며, 땀의 길이와 수놓는 방법에 따라 문양이 결정된다. 중국 명·청대에 유행한 기법으로 조선시대 흉배 바탕에도 보인다.<ref name="국립고궁박물관_229"/></td>
 +
</tr>
 +
</table>
 +
</table>
 +
 +
====자수 문양 의미====
 +
<table style="background-color: #FFFFFF; margin: 0; border: 1px solid #DEDED3; padding: 7px 7px 0px 7px; border-radius:5px">
 +
<tr valign="top">
 +
<td colspan="2">
 +
        <table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
<tr style="background-color:#f5f5dc; text-align:center;">
 +
<td width="80px">자수<br>종류</td>
 +
<td width=260px>용</td>
 +
<td width=260px>거북</td>
 +
<td width=260px>기린</td>
 +
<td width=260px>해태</td>
 +
<td width=260px>봉황</td>
 +
<td width=260px>불노초</td>
 +
                </tr>
 +
                <tr style="text-align:center;">
 +
<td width="80px" style="background-color:#fff0f5;">문양<br>형태</td>
 +
<td width=260px>zzz</td>
 +
<td width=260px>zzz</td>
 +
<td width=260px>zzz</td>
 +
<td width=260px>zzz</td>
 +
<td width=260px>zzz</td>
 +
<td width=260px>zzz</td>
 +
                </tr>
 +
                <tr style="text-align:center;">
 +
<td width="80px" style="background-color:#fffaf0;">의미</td>
 +
<td width=260px>zzz</td>
 +
<td width=260px>zzz</td>
 +
<td width=260px>zzz</td>
 +
<td width=260px>zzz</td>
 +
<td width=260px>zzz</td>
 +
<td width=260px>zzz</td>
 +
                </tr>
 +
        </table>
 +
        <table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
<tr style="background-color:#f5f5dc; text-align:center;">
 +
<td width="80px">자수<br>종류</td>
 +
<td width=260px>조문</td>
 +
<td width=260px>분미문</td>
 +
<td width=260px>보문</td>
 +
<td width=260px>불문</td>
 +
<td width=260px>적문</td>
 +
<td width=260px>이화문</td>
 +
<td width=260px>원앙</td>
 +
                </tr>
 +
                <tr style="text-align:center;">
 +
<td width="80px" style="background-color:#fff0f5;">문양<br>형태</td>
 +
<td width=260px>zzz</td>
 +
<td width=260px>zzz</td>
 +
<td width=260px>zzz</td>
 +
<td width=260px>zzz</td>
 +
<td width=260px>zzz</td>
 +
<td width=260px>zzz</td>
 +
<td width=260px>zzz</td>
 +
                </tr>
 +
                <tr style="text-align:center;">
 +
<td width="80px" style="background-color:#fffaf0;">의미</td>
 +
<td width=260px>zzz</td>
 +
<td width=260px>zzz</td>
 +
<td width=260px>zzz</td>
 +
<td width=260px>zzz</td>
 +
<td width=260px>zzz</td>
 +
<td width=260px>zzz</td>
 +
<td width=260px>zzz</td>
 +
                </tr>
 +
        </table>
 +
        <table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
<tr style="background-color:#f5f5dc; text-align:center;">
 +
<td width="80px">자수<br>종류</td>
 +
<td width=260px>구름</td>
 +
<td width=260px>학</td>
 +
<td width=260px>연꽃</td>
 +
<td width=260px>목련</td>
 +
<td width=260px>모란</td>
 +
<td width=260px>석류</td>
 +
<td width=260px>화초문</td>
 +
                </tr>
 +
                <tr style="text-align:center;">
 +
<td width="80px" style="background-color:#fff0f5;">문양<br>형태</td>
 +
<td width=260px>zzz</td>
 +
<td width=260px>zzz</td>
 +
<td width=260px>zzz</td>
 +
<td width=260px>zzz</td>
 +
<td width=260px>zzz</td>
 +
<td width=260px>zzz</td>
 +
<td width=260px>zzz</td>
 +
                </tr>
 +
                <tr style="text-align:center;">
 +
<td width="80px" style="background-color:#fffaf0;">의미</td>
 +
<td width=260px>zzz</td>
 +
<td width=260px>zzz</td>
 +
<td width=260px>zzz</td>
 +
<td width=260px>zzz</td>
 +
<td width=260px>zzz</td>
 +
<td width=260px>zzz</td>
 +
<td width=260px>zzz</td>
 +
                </tr>
 +
        </table>
 +
</table>
 +
 +
====복식 속 자수====
 +
<table style="background-color: #FFFFFF; margin: 0; border: 1px solid #DEDED3; padding: 7px 7px 0px 7px; border-radius:5px">
 +
<tr valign="top">
 +
<td colspan="2">
 +
        <table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
<tr style="background-color:#f5f5dc; text-align:center;">
 +
<td width="80px">자수 형태</td>
 +
<td width=260px>종류</td>
 +
                </tr>
 +
                <tr style="text-align:center;">
 +
<td width="80px" style="background-color:#fff0f5;">[[흉배]]</td>
 +
<td width=1000px>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150px>
 +
파일:기린 흉배.jpg|기린 흉배. <ref name=국립고궁박물관, 『아름다운 궁중 자수』, 안그라픽스 미디어사업부, 2013, 58쪽.>국립고궁박물관, 『아름다운 궁중 자수』, 안그라픽스 미디어사업부, 2013, 58쪽.</ref>
 +
파일:쌍호흉배.jpg|쌍호흉배. <ref name=국립고궁박물관, 『아름다운 궁중 자수』, 안그라픽스 미디어사업부, 2013, 64쪽.>국립고궁박물관, 『아름다운 궁중 자수』, 안그라픽스 미디어사업부, 2013, 64쪽.</ref>
 +
파일:쌍학 흉배.jpg|쌍학 흉배. <ref name="국립고궁박물관_63"> 국립고궁박물관, 『아름다운 궁중 자수』, 안그라픽스 미디어사업부, 2013, 63쪽.</ref>
 +
파일:단학흉배.jpg|단학흉배. <ref name="국립고궁박물관_63"/>
 +
파일:운안흉배.jpg|운안흉배. <ref name=국립고궁박물관, 『아름다운 궁중 자수』, 안그라픽스 미디어사업부, 2013, 60쪽.>국립고궁박물관, 『아름다운 궁중 자수』, 안그라픽스 미디어사업부, 2013, 60쪽.</ref>
 +
파일:숙선옹주 봉황흉배.jpg|숙선옹주 봉황흉배. <ref name=국립고궁박물관, 『아름다운 궁중 자수』, 안그라픽스 미디어사업부, 2013, 44쪽.>국립고궁박물관, 『아름다운 궁중 자수』, 안그라픽스 미디어사업부, 2013, 44쪽.</ref>
 +
</gallery ></td>
 +
                </tr>
 +
                <tr style="text-align:center;">
 +
<td width="80px" style="background-color:#fffaf0;">[[보]]</td>
 +
<td width=260px><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180px>파일:영친왕비 적의 오조룡보.jpg|영친왕비 적의 오조룡보. <ref name=국립고궁박물관, 『아름다운 궁중 자수』, 안그라픽스 미디어사업부, 2013, 31쪽.>국립고궁박물관, 『아름다운 궁중 자수』, 안그라픽스 미디어사업부, 2013, 31쪽.</ref></gallery ></td>
 +
                </tr>
 +
                <tr style="text-align:center;">
 +
<td width="80px" style="background-color:#e6e6fa;">[[폐슬]]</td>
 +
<td width=260px><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180px>파일:영친왕비 폐슬.jpg|영친왕비 폐슬. <ref name="국립고궁박물관_페이지">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소장.</ref></gallery >
 +
 +
</td>
 +
                </tr>
 +
                <tr style="text-align:center;">
 +
<td width="80px" style="background-color:#f5deb3;">[[후수]]</td>
 +
<td width=260px>xxx</td>
 +
                </tr>
 +
                <tr style="text-align:center;">
 +
<td width="80px" style="background-color:#f5deb3;">[[aaa]]</td>
 +
<td width=260px>xxx</td>
 +
                </tr>
 +
        </table>
 +
</table>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주석'''==
 
=='''주석'''==
 +
<references/>
  
 
=='''참고문헌'''==
 
=='''참고문헌'''==

2020년 11월 21일 (토) 21:18 판

자수

정의

내용

자수 기법

전통 자수 기법 종류 평수 이음수 가름수 자련수
기법 형태
기법 설명   사선, 수직, 수평방향으로 문양의 면을 실로 메우는 기법. 실과 실이 겹치거나 틈새가 없어야 하며, 넓은 면을 메울 떄는 수실이 뜨지 않도록 가는 실로 눌러준다.[1]   일정 길이의 땀수를 연속적으로 이어 선을 표현하는 기법. 바늘땀을 일정하게 겹쳐서 선을 이어 직선 또는 곡선을 표현한다.[1]   좌우 대칭으로 문양의 안쪽을 향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여 한 면씩 메워 완성하는 기법. 주로 나뭇잎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기법이다.[1]   바늘땀을 불규칙적으로 길고 짧게 뜨면서 면을 메우는 기법. 색의 자연스러운 변화를 표현하기에 용이하기 때문에 주로 꽃잎이나 나뭇잎, 구름 등의 표현에 이용된다.[1]
전통 자수 기법 종류 자릿수 매듭수 징금수 새털수
기법 형태
기법 설명   땀의 간격과 방향을 일정하게 반복해 돗자리의 결처럼 촘촘하게 표현하는 기법. 각각의 자수열이 서로 맞물려 연결된 형태로 수놓아지며, 넓은 면을 메울 때 주로 사용된다.[1]   바늘에 실을 감아서 놓는 기법. 감는 실의 횟수나 굵기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낼 수 있다. 작은 점을 입체감 있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주로 꽃의 씨앗, 동물의 눈동자 등에 사용된다.[1]   금사와 은사 등 금속성의 실이나 굵은 실과 면적이 있는 띠를 천 위에 고정시켜주는 기법. 실을 천 위에 놓고 문양을 만든 후 고른 간격의 땀으로 징그거나 고정한다.[1]   동물이나 새의 부드러운 털을 표현하는 기법. 평수나 자련수로 표현된 새의 몸 안에 깃털 방향으로 결이 '팔八'자형이 되도록 수를 놓는다.[2]
전통 자수 기법 종류 솔잎수 선수 속수 납사수
기법 형태
기법 설명   선수의 변현된 형태로 소나무 잎을 수놓을 때 쓰이는 기법. 솔잎의 사실적인 효과를 내고자 할 때 사용한다.[2]   겹치는 부분 없이 실을 잇지 않고 한 번에 선으로 문양을 표현하는 기법. 수를 놓는 각도나 길이를 달리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응용된다.[2]   입체감을 나타내기 위해 겉수의 밑에 수를 놓거나 심을 넣어 양감을 나타내는 기법. 속수의 방향은 겉수의 반대 방향으로 놓는다. 심의 재료는 솜, 실, 종이, 창호지 등을 사용한다.[2]   올이 성긴 직물 전면에 짧은 땀의 수를 놓아 마름모꼴의 연속된 문양을 만드는 기법. 직조와 같은 느낌이 나며, 땀의 길이와 수놓는 방법에 따라 문양이 결정된다. 중국 명·청대에 유행한 기법으로 조선시대 흉배 바탕에도 보인다.[2]

자수 문양 의미

자수
종류
거북 기린 해태 봉황 불노초
문양
형태
zzz zzz zzz zzz zzz zzz
의미 zzz zzz zzz zzz zzz zzz
자수
종류
조문 분미문 보문 불문 적문 이화문 원앙
문양
형태
zzz zzz zzz zzz zzz zzz zzz
의미 zzz zzz zzz zzz zzz zzz zzz
자수
종류
구름 연꽃 목련 모란 석류 화초문
문양
형태
zzz zzz zzz zzz zzz zzz zzz
의미 zzz zzz zzz zzz zzz zzz zzz

복식 속 자수

자수 형태 종류
흉배
폐슬
후수 xxx
aaa xxx

지식관계망

주석

  1.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국립고궁박물관, 『아름다운 궁중 자수』, 안그라픽스 미디어사업부, 2013, 228쪽.
  2.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국립고궁박물관, 『아름다운 궁중 자수』, 안그라픽스 미디어사업부, 2013, 229쪽.
  3. 국립고궁박물관, 『아름다운 궁중 자수』, 안그라픽스 미디어사업부, 2013, 58쪽.
  4. 국립고궁박물관, 『아름다운 궁중 자수』, 안그라픽스 미디어사업부, 2013, 64쪽.
  5. 5.0 5.1 국립고궁박물관, 『아름다운 궁중 자수』, 안그라픽스 미디어사업부, 2013, 63쪽.
  6. 국립고궁박물관, 『아름다운 궁중 자수』, 안그라픽스 미디어사업부, 2013, 60쪽.
  7. 국립고궁박물관, 『아름다운 궁중 자수』, 안그라픽스 미디어사업부, 2013, 44쪽.
  8. 국립고궁박물관, 『아름다운 궁중 자수』, 안그라픽스 미디어사업부, 2013, 31쪽.
  9. 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소장.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