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오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46번째 줄: 46번째 줄:
 
==='''일화'''===
 
==='''일화'''===
 
{{글상자
 
{{글상자
|color=#f7de79
+
|color=#e3f7c5
 
|text=  
 
|text=  
 
*교육자, 아동문학가, 문학 비평가이자 우리말 살리기 운동가인 이오덕 선생.
 
*교육자, 아동문학가, 문학 비평가이자 우리말 살리기 운동가인 이오덕 선생.
54번째 줄: 54번째 줄:
  
 
{{글상자
 
{{글상자
|color=#f7de79
+
|color=#e3f7c5
 
|text=  
 
|text=  
 
이오덕 선생님이 생각한 올바른 삶의 방향
 
이오덕 선생님이 생각한 올바른 삶의 방향
72번째 줄: 72번째 줄:
  
 
- <font color=#f43889>'''깨끗한 우리말을 쓴다.'''</font> <ref>[https://blog.naver.com/doremi0825/221032126585 네이버블로그]</ref>}}
 
- <font color=#f43889>'''깨끗한 우리말을 쓴다.'''</font> <ref>[https://blog.naver.com/doremi0825/221032126585 네이버블로그]</ref>}}
 
 
  
 
==='''어록'''===
 
==='''어록'''===

2019년 6월 17일 (월) 22:43 판

정의

한국의 교육자, 아동문학가, 우리말 연구가[2]

내용

인물정보

[3]

  • 경상북도 영천에서 농사꾼의 아들로 출생하여 경상북도 청송에서 성장함.
  • 교직 생활을 하던 중 1954년 <소년세계>라는 잡지에 <<진달래>>라는 동시가 당선되어 첫 등단. 이후 동화작가로 전향.
  • 언어민중주의자, 언어민족주의자로 어린이시집이나 비평집 등 생전에 50권이 넘는 책을 펴냈다.
  • 1986년에 아이들 편에서 교육행정에 대해 비판하는 글을 쓴 이유로, “대한민국 전두환 군부정권이 하도 발악을 하고 거기에 시달리다 보니까 그만 몸서리가 나서”스스로 학교를 떠났다. 1986년 마지막 근무지는 경북 성주군 대서초등학교였다. 이후 사회의 교사로서 “지식인들의 유식병”을 고치기 위해 대학교에서 글쓰기 강의를 하기도 했으며,“우리말 연구소”를 세워 한국 말과 글을 바로 쓰는 운동을 펼치기도 했다.


업적

[4]

  • 이오덕의 가장 큰 업적 중 하나는 일본어 잔재를 문학에서 몰아내고 아름다운 우리말 쓰기 운동을 한 것이다. 1983년 교사들을 모아 한국글쓰기 교육연구회를 만들었고 퇴임 후인 1988년 우리말연구소를 만들어 우리말 연구에 힘썼다.
  • 글쓰기 교육에 남다른 관심을 가지고 후학들이 글쓰기에 참고할 만한 다수의 저서를 발간했으며, 아동문학이 민족의 운명이라는 생각으로 교육현장에서 발굴한 어린이 글을 모아 글모음집을 내기도 하였다. 더불어 동시와 동화, 아동문학 비평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아동문학 발전에 기여하였다.

저술

[5]

  • 『우리 문장 바로쓰기』[1992년], 『우리글 바로쓰기』[1995년]는 일본어의 잔재를 걸러내기 위해 집필된 저서이며, 글쓰기 교육을 위해 『글짓기 교육의 이론과 실제』[1965년], 『삶을 가꾸는 글쓰기 교육』[1984년], 『글쓰기 어떻게 가르칠까』[1993년] 등을 발간하기도 하였다.
  • 초등학교 교사와 교감, 교장을 역임하면서 교육현장에서 발굴한 글모음집인 『우리도 크면 농부가 되겠지』[1979년]나 『우리 반 순덕이』[1984년], 『봉지 낳는 아이들』, 『산으로 가는 고양이』[1986년], 『허수아비도 깍굴로 덕새를 넘고』[1998년] 등을 편찬하기도 하였다.

일화

*교육자, 아동문학가, 문학 비평가이자 우리말 살리기 운동가인 이오덕 선생.

초등학교 선생님이었던 그는 글쓰기를 유난히 힘들어하는 아이들에게 '거짓말 써오기'를 시켰던 적이 있었다. 지금으로 생각하면 일종의 픽션인데, 아이들은 그제야 마음 편하게 글을 쓰기 시작했다. '서울에 가고 싶어요', '비행기를 타고 하늘을 날아보고 싶어요'. 그렇게 또 다른 형태로 아이들은 자신의 진심을 말하고 있었다. 하늘을 날고 싶고, 비행기를 타고 싶고, 대도시에 가고 싶은 마음의 발화.

이오덕 선생님은 '글짓기'가 아니라, '글쓰기'라고 부르는 연습이 필요하다고 했다. 글을 쓰는 것은 인간이 발전시킬 능력의 대상이 아니라, 인간으로서 응당 누릴 수 있는 권리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가장 깊은 근본에는 아이들이 있어야 한다. 인간다운 삶을 키워나가는 데에는 글쓰기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다.[6]



이오덕 선생님이 생각한 올바른 삶의 방향

- 어린이 마음을 지켜준다.

- 일하기를 즐긴다.

- 살아가는 사람으로서 마땅히 가져야할 생각을 키운다.

- 민주주의를 시민이 된다.

- 진실을 찾는다.

- 생명의 존엄성을 깨닫는다.

- 하고 싶은 말을 마음껏 쓴다.

- 깨끗한 우리말을 쓴다. [7]


어록

멀티미디어

이미지

동영상

참고문헌


기여

주석

  1. 네이버인물검색
  2. 네이버지식백과-두산백과
  3. 위키백과 이오덕
  4. 네이버지식백과-향토문화전자대전
  5. 네이버지식백과-향토문화전자대전
  6. 네이버블로그
  7. 네이버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