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나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판 1개)
(Created page with " == Meta Data == 타입 : 개념 한글항목명 : 원 한자항목명 : 元 편자 : 자운서원팀 김소희 ---- == 내...")
(한 명의 사용자에 의한 6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원나라==
+
== Meta Data ==
'''대원 몽골제국'''는 13세기 [[몽골 제국]]이 세운 대제국이다. 일반적으로 13세기 중반부터 14세기 중반까지 [[몽골 제국]]이 중원을 지배하고 통치한 시기를 말한다. [[몽골족]]의 정복 황조 원나라는 중국 대륙과 몽골 고원을 중심으로한 영역을 지배하다가 [[명나라]]를 건국하는 [[홍무제|주원장]](朱元璋)에게 쫓겨 북쪽으로 이전한 뒤("[[북원]]"), 유목민 국가로 [[1635년]]까지 존속한 국가다.
+
타입 : 개념
 +
한글항목명 : 원
 +
한자항목명 : 元
 +
편자 : [[자운서원팀 KU|자운서원팀]] [[201410297김소희|김소희]]
  
원은 [[송나라]]를 멸망시킨 이민족의 정복 국가이며, 중국 대륙을 자체 병탄하였다. 이후 [[주원장]]의 [[명나라]]에 의해 북쪽으로 쫓겨나 쇠퇴하게 된다.
+
----
원은 당조의 제도를 계승하여 중국 대륙을 지배했으되, 몽골족이 [[한족]]에 동화되지는 않았다.
+
  
한족에게 이 시기는 몽골족에게 지배를 당한 치욕의 시대라고도 할 수 있다. 이 시기 한족의 인구가 급감하였으며, 관리 등용과 형법의 적용에 있어서 다수의 한족은 민족적 차별을 행했다.
+
== 내용 ==
한족이 반란을 일으키지 못하도록 여러 사람이 모이는 것도 금지시키고 [[야간 통금 제도]]를 시행하여 해가 지면 돌아다닐 수 없게 하였다.
+
  
=== 역사 ===
+
* 요약 : 13세기 중반부터 14세기 중반에 이르는 약 1세기 사이, 중국 본토를 중심으로 거의 동()아시아 전역을 지배한 몽골족의 왕국(1271∼1368).
원나라는 [[1260년]] [[칭기즈 칸]]의 손자이며 몽골 제국의 제5대 대칸으로 즉위한 [[쿠빌라이 칸]]이 [[1271년]] 몽골 제국의 국호를 '대원'으로 고침으로써 성립되었으며, 몽골어로는 '''다이 온 이케 몽골 울루스'''(Dai-ön Yeke Mongγol Ulus), 즉 '대원대몽골국'(大元大蒙古國)이다. 원나라는 유목 국가인 [[몽골 제국]]의 직계 국가다. 그러면서도 중국화된 명칭과 제도를 사용하였다.
+
  
그러나 쿠빌라이가 대칸의 지위에 오르는 과정에서 쿠빌라이의 몽골 제국 전체에 대한 통솔력은 쇠퇴한다. 원나라가 성립된 전후에 [[중앙아시아]]에서는 [[오고타이]]의 후손인 [[하이두]]가 쿠빌라이에 대항하여 자립하는 등 칸의 권위가 크게 변화하면서 몽골 제국은 재편의 과정에 들어선다. 이러한 과정 끝에 원나라는 몽골 제국 중 쿠빌라이의 후계자로 이어지는 대칸의 직접 지배가 미치는 영역으로 사실상 한정된 지배력을 행사하는 쿠빌라이 가문의 세습령(울루스)이 되었다.
+
13세기 초, 칭기즈칸에 의해 구축된 몽골제국(蒙古帝國)은 유러시아 대륙의 북방초원에 정치적 기지를 두고, 대륙남방의 농경지대를 그 속령(屬領)으로 삼아 지배한 유목국가(遊牧國家)로, 속령으로부터의 가혹한 수탈과 부정기적인 약탈로써 경제적 욕구를 충족하였다. 그러나 유목제왕(遊牧帝王)과 그를 둘러싼 유목봉건영주층(遊牧封建領主層), 또는 유목민 지배층과 농경민 피지배층 사이에 정치적 ·경제적 모순이 발생하여 제국은 끊임없이 동요되었다.  
  
=== 몽골 제국의 재편 ===
+
이와 같이 유목제국에 잠재된 근본적인 결함을 극복하려고 유목과 농경이 공존할 수 있는 중간의 아건조지대(亞乾燥地帶)새로운 정치적 기지를 찾아서 강대하고 집권적인 제국(帝國)영위하려 한 것이 칭기즈칸의 손자인 쿠빌라이칸[世祖]이었다. 그는 형 몽케칸[憲宗]를 계승하려 하였던 막내동생 아리크부카를 제거하고 북방의 초원에 웅거한 유목봉건세력의 진출을 막아, 수도를 몽골 고원의 카라코룸에서 화북(華北)에 가까운 상도(上都)와 화북 안에 있는 대도(大都:北京)로 옮겨 화북의 건조농경지대를 중심으로 한 중국식 집권적(集權的) 관료국가의 확립을 꾀하였다.  
[[1259년]] 제4대 대칸인 [[몽케]]가 [[남송]] 원정 중에 병사하고, [[몽골 고원]]있던 수도 [[카라코룸]]수비하던 막내 동생 [[아리크 부케]]는 몽케파의 왕족을 모아 [[쿠릴타이]]를 열어 서부의 [[차가타이]] 가문 등 여러 왕가의 지지를 얻어 대칸의 지위를 얻었다. 이에 몽케와 함께 남송 원정 중이던 둘째동생 쿠빌라이는 11월에 군대를 되돌려 [[내몽골]]에 들어서 동쪽 3왕가(칭기즈칸의 동생 가계)등의 지지를 얻은 다음, 이듬해 3월에 자신의 본거지였던 [[내몽골]]의 [[개평부]](開平府; 훗날의 상도(上都)에서 쿠릴타이를 열어 대칸의 지위에 앉았다. 이로써 몽골 제국은 사상 처음으로 몽골고원 남북에 두 명의 대칸이 들어서게 된다. 몽케의 장례를 치르고, 제도(帝都) 카라코람에서 즉위한 아리크 부케가 대칸으로서의 정통성은 확보한 셈이었으나, 군사력을 장악한 쿠빌라이 역시 아리크 부케를 배신자로 여기고 자신이야말로 정당한 대칸이라고 주장했다.
+
  
쿠빌라이와 아리크 부케의 양군은 여러 차례 격돌하였으나 승패가 나지 않았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군사력과 화북의 물자를 장악한 쿠빌라이에게 전세가 유리해지기 시작했다. 서전인 [[1261년]] 시무토노르 전투에서는 쿠빌라이가 승리했으나, 아리크 부케는 북서쪽 몽골의 [[오이라트]]의 지원을 얻어 저항을 계속했다. 그러나 아리크 부케 산하의 제후들이 하나 둘씩 떨어져 나가고, 차가타이 가문마저 아리크 부케에 대한 지원을 끊자, 1264년 아리크 부케는 결국 쿠빌라이에게 항복했다. 이 일련의 전란을 승리자 쿠빌라이를 정통으로 보는 입장에서는 '''아리크 부케의 난'''이라고 불렀다.
+
그가 시도한 정치적 사업이 거의 완성단계에 이른 1271년 《역경(易經)》의 ‘大哉乾元’을 따서 국호를 대원(大元)이라 하고 중국 역대왕조의 계보를 잇는 정통왕조임을 내외에 선언하였다. 이어 74년에서 79년에 걸쳐 화이허강[淮河] 이남 지역에 있던 남송(南宋)을 평정해서 명실공히 중국전토를 영유하게 되었는데, 이에 멈추지 않고 일본 ·베트남 ·미얀마 ·자바 등지에도 침략군을 보냈다.  
  
아리크 부케의 항복으로 인해 대칸의 지위는 다시 통합되었으나, 중국 서쪽의 중앙아시아의 여러 칸국에서의 대칸의 위신은 큰 타격을 입었다. [[1269년]] 중앙아시아를 지배하던 차가타이 가문의 [[바라크]]와 오고타이 가문의 [[하이두]], 그리고 [[주치 (몽골)|주치]] 가문([[킵차크 칸국]] 혹은 [[금장한국]](Golden Horde))의 여러 왕이 탈라스 하반에서 모여 중앙아시아의 대칸령을 분할해 쿠빌라이에 대항해 자립의 태도를 명확히 했다. 이윽고 오고타이 가문의 하이두가 중앙아시아 여러 왕 사이에서 맹주의 지위를 확립하고, 하이두의 반항은 몽골 제국을 동서로 나뉘게 된 항쟁으로 발전하게 된다.([[하이두의 난]])
+
원나라는 쿠빌라이칸이 다스리는 동안에 동아시아 전역의 대제국이 되었다. 그러나 동시에 쿠빌라이칸은 몽골제국의 종주권(宗主權)도 계승한 것이라며 서방의 한국(汗國)들(킵차크 ·차가타이 ·오고타이 ·일 한국 등) 위에도 군림하려 해서, 유목적 전통을 고집하는 한국들은 그를 마땅치 않게 여겨 원나라의 종주권을 부인하고 대항하였다.  
  
그 사이 쿠빌라이는 중국식 정치기관인 중서성(中書省)을 설치하고, 수도를 몽골 고원의 카라코람에서 중국 북부의 [[대도]](大都; 현재의 [[베이징]])로 옮겼다. 지방에는 몽골 제국의 [[금나라]] 공략의 과정에서 자립해 몽골에 귀의하여 화북 각지에서 호족 노릇을 하던 한족 현지군벌(한인제후)과 몽골인 귀족, 중앙정부와의 지배관계를 정리하고, 각 교통로에 총관부([[고려]]의 [[쌍성총관부]] 등)를 설치하는 등 중국지배에 적합한 갖가지 제도를 도입하였다. 그리고 마침내 [[1271년]], 국호를 대원(大元)<ref>{{당(唐)은 탕(蕩)자의 뜻으로 [[요 (군주)|요]](堯) 임금은 그것으로써 현저하게 일컬어졌고, 우(虞)는 낙(樂)자의 뜻으로 [[순 (군주)|순]](舜) 임금은 그것으로써 국호를 지었으며, [[우 (하나라)|우]](禹) 임금이 일어나고 [[탕 (상나라)|탕]](湯)임금이 뒤를 이어 [[하나라|하]](夏)는 대(大)자의 뜻을, [[은나라|은]](殷)은 중(中)자의 뜻을 취하여 국호를 지었다. 그 뒤 세대가 내려옴에 따라 일이 달라지고 예와 같지 않아서 [[진나라|진]](秦)이라 하고 [[한나라|한]](漢)이라 한 것들은 대체로 처음 일어난 지명에 따른 것이고, [[수나라|수]](隋)라 하고 [[당나라|당]](唐)이라 한 것들 역시 바로 처음에 수봉(受封)된 곳을 이름이다. 이는 모두 백성의 견문이 익숙하여진 데 따른 것이니, 요컨대 한때 국가의 제도상 방편인 것이다. '''그러므로 이제 국호를 대원(大元) 이라 제정한 것이니, 이는 『[[역경]](易經)』의 건원(乾元)의 뜻을 취함이다.''' 태시(太始)에 모든 물건이 가지각색으로 생겨나게 된 그 공능을 어느 누가 명명하겠는가?
+
특히 오고타이한국의 왕 카이두는 이웃 차가타이 ·킵차크 한국의 왕들을 설득해서 반()쿠빌라이 동맹을 결성하여 원나라 북서변의 요지를 공략하여 쿠빌라이 정권을 위협하였다. 항쟁은 쿠빌라이칸이 죽은 뒤에도 계속되었는데, 1301년 카이두가 사망함으로써 전운(戰雲)이 가셨다. 이로부터 원나라는 한국들과 친교를 맺고 제국(帝國)의 종주권을 회복하였다. 아시아 전역에는 이른바 ‘몽골족 지배하의 평화’가 찾아와 동 ·서의 문물이 자유롭게 교류하게 되어 국제무역이 번창하였다.  
唐之爲言蕩也, 堯以之而著稱. 虞之爲言樂也, 舜因之而作號. 馴至禹興而湯造, 互名夏大而殷中. 世降以還, 事殊非古, 爲秦爲漢者, 盖從初起之地名. 曰隋曰唐者, 又卽始封之爵邑. 是皆徇百姓見聞之狃習, 要一時經制之權宜. 可建國號曰大元, 蓋取易經乾元之義. 玆太始流形於庶品, 孰名資始之功?
+
|쿠빌라이 칸| 「건국호조(建國號詔)」}}</ref> 이라고 하고 기존의 중원을 통일한 왕조의 맥을 잇게 된다. 이로써 칭기즈 칸이 세운 거대한 몽골 제국은, 서부의 여러 칸국들과 중국의 대칸령 사이의 느슨한 연합으로 재편되었다.
+
  
=== 중국 지배 ===
+
그러나 원나라 내부의 국정이 해이해지기 시작하여 사회적 여러 모순들이 심화되어 갔다. 이에 편승해서 여러 지방에서 크고 작은 폭동이 일어났는데도 중앙에서는 권신(權臣)들이 정쟁(政爭)에 여념이 없었다. 폭동은 확대되어 한족(漢族)에 의한 민족적 반란으로까지 발전하여 주원장(朱元璋:洪武帝)에 의한 명조(明朝)정권이 출현하였다.  
원나라 건국 당시 쿠빌라이의 세력은 몽골 고원과 기존 [[금나라]]가 점유하던 화북 지역에 불과했다. [[장강]] 이남에 버티고 있던 [[남송]]은 뛰어난 경제력을 갖춘 것은 물론, 금나라 멸망 과정에서도 볼 수 있듯, 충분히 원나라를 위협할 만한 군사력도 갖춘 터라, 그대로 유지시켰을 경우 원나라의 지배가 불안해지는 것은 당연했다. 이미 몽케 칸의 대에, 남송의 재상인 [[가사도]](賈似道)에게 실패한 경험도 있었다. 그래서 쿠빌라이는 즉위 직후 남송공략을 최우선 정책으로 삼았으며, [[1268년]] 한수의 요충 [[양양 (후베이 성)|양양]]의 포위전을 개시했다.
+
  
쿠빌라이는 황후 [[차브이]]를 섬기는 인물로서 중앙아시아 출신의 상인 [[아흐마드]]를 재무장관에 발탁하여 증세를 꾀해 남송 공략의 준비를 진행시키는 한편, 이어서 복속한 [[고려]]를 통해 남송과 통상관계를 맺고 있었던 일본에도 몽골에 대한 복속을 요구했다. 그러나 일본의 [[가마쿠라 막부]]는 이를 거부했고, 쿠빌라이는 남송과 일본이 연합하여 원나라에 대항하는 것을 막기 위해 [[1274년]] 원나라와 고려의 연합군을 편성하여 일본으로 보냈으나, [[쓰시마 섬]], [[이키노시마]], 규슈의 [[다자이후]] 주변을 석권하는 것만으로 끝났다. 일본원정은 실패로 끝났으나, 그 준비를 통해 원정 준비를 위해 설치한 출선기관인 [[정동행성]]과 고려 정부가 일체화되어, 새로 보호국이 된 고려는 원나라 조정과 긴밀한 관계를 맺게 되었다.
+
68년 원나라는 수도 대도를 [[명나라]]의 군대에 빼앗겨 순제(順帝:토곤 테무르)가 몽골 본토에 쫓김으로써 원나라의 중국지배는 끝이 났다. 그뒤 몽골본토에 터를 잡은 원군은 얼마 동안 명군과 항쟁을 계속하였으나 쇠퇴하여 내분(內紛)으로 소멸되었다. 이를 북원(北元)이라 한다.
  
[[1273년]]에 이르러 양양이 마침내 함락되고, 남송의 방위력은 붕괴되었다. 원나라는 병사가 각 성과 도시에서 약탈, 방화를 저지르는 것을 엄중히 금지시키는 것과 더불어 항복한 적의 장군을 좋은 대우를 해주는 등 남송의 투항군을 아군으로 받아들였기 때문에 각지의 도시는 차례로 원나라에게 항복했다. [[1274년]] 옛 남송의 투항군을 합친 대병력으로 공세에 나서자 방위 시스템의 붕괴된 남송은 이렇다 할 저항다운 저항도 하지 못하고, [[1276년]] 수도 임안(臨安;[[항주]])이 무혈 함락되었다.
+
[[Digerati Wiki]]
 
+
[[송 공제|공제]]를 비롯한 남송의 황족은 북쪽으로 연행되었으나, 정중한 대우를 받았다. 그 후 해상으로 도망친 남송의 유민을 [[1279년]] [[애산 전투]]에서 전멸시켜 [[북송]] 이후 150년 만에 중국을 통일하였다. 쿠빌라이는 풍부한 옛 남송 지역의 부(富)를 대도로 모이게 하여 그 이윤을 국가에 흡수하였고, 각종 경제제도 정비를 통해, 화북을 중심으로 했던 정권으로서는 유례없는 번영을 맞이했다.
+
 
+
그러나 그 후 이루어진 군사원정은 특별한 성과 없이 끝났다. [[1281년]] 다시 일본에 군대를 보냈으나 이번에도 실패로 끝났고(일명 [[가미카제]]의 도움), [[1285년]]과 [[1288년]]에는 [[베트남의 역사|베트남]]에 침공한 군이 [[쩐 왕조]]에게 차례로 패배했다. 그 이전에는 [[1276년]] 중앙아시아에서 [[하이두]]와 대치하던 원나라 군대에서 몽케의 아들 [[:zh:昔里吉|시리기]]가 반란을 일으켜 하이두의 세력 확대를 허용시켰다.
+
 
+
그런데도 쿠빌라이는 3번째 일본원정을 계획하는 등 적극적인 대외원정을 추진했으나, [[1287년]] 즉위 때 지지모체였던 동쪽 3왕가가 나얀을 지도자로 삼아 반기를 들었고, 또한 중국 내에서도 반란이 빈발했기 때문에 만년의 쿠빌라이는 이에 대응하는데 시간을 보내 일본원정도 포기했다. 또 [[1292년]] [[참파]]원정을 시도했으나 이것도 실패로 끝났다. 무엇보다도 동남아시아에 대한 원정은 상업로의 개척에 뜻을 둔 경우가 강해, 최종적으로는 해상루트의 안전이 확보되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성공이라 말할 수 있었다.
+
 
+
쿠빌라이의 사후, [[1294년]] 손자 [[테무르]]가 뒤를 이었고, 그의 치세 때인 [[1301년]] 하이두가 죽자, [[1304년]] 긴 시간 동안 원나라와 항쟁을 벌였던 서쪽 여러 칸과의 화의가 성립되었다. 이 동서 울루스의 융화로 인해 몽골 제국은 대칸을 정점으로 한 느슨한 연합으로 다시 묶어지는 동시에, [[실크로드]] 교역의 호황이 찾아왔다. 이 상황을 가리켜 팍스 몽골리카(Pax Mongolica: 몽골의 평화)라고 불리었다.
+
 
+
원나라의 수도 대도는 전 몽골 제국의 정치 경제의 센터가 되어, [[마르코 폴로]] 등 수많은 서방의 여행자가 방문하고, 그 번영은 유럽에까지 전해지게 되었다. 강남의 항만도시에서는 해상무역이 융성하였고, 일본 원정을 통해 국교가 단절되었던 일본에서도 사적인 무역선 및 유학승의 방문이 끊이지 않아 어느 정도 교류가 지속되었다.
+
 
+
=== 쇠퇴기 ===
+
 
+
[[1307년]] 테무르가 후계자를 남기지 않고 죽자, 몽골 제국에서 되풀이 되던 후계자 쟁탈전이 다시 재연되어 황제의 자리를 둘러싸고 모후, 외척, 권신 등 몽골 귀족끼리의 격렬한 권력 다툼이 되풀이 되었다.
+
 
+
또 권력 다툼의 중심이 된 이들은 [[칭기즈 칸]]의 황후 [[보르테]], [[쿠빌라이]]의 황후 [[차브이]], [[원 성종|테무르]]의 모친 [[코코진]] 등의 출신부족에서 [[쿠빌라이]], [[원 성종|테무르]]의 2대에 걸쳐 외척으로 권세를 누렸던 [[옹기라트]]부를 중심으로 결속된 원나라의 궁정귀족들이었다. 테무르의 황후 [[브르간]]은 [[곤기라트]]부의 출신이 아니었기 때문에 귀족의 힘을 억누르기 위해 테무르의 종제였던 안서왕 아난다를 황제로 맞이했으나, 방계 즉위에 의해 기득권을 위협받는 것을 두려워한 중신들은 쿠데타를 일으켜 브르간과 아난다를 살해하고, 몽골고원의 방위를 담당하던 테무르의 조카 [[카이산]]을 황제로 맞이했다.
+
 
+
카이산의 사후는 동생 [[아유르바르와다]]가 제위를 이었으나, 그의 치세는 대대로 [[옹기라트]]씨 출신의 황후에게 상속된 막대한 재산의 상속자였던 곤기라트부 출신의 아유르바르와다의 어머니 [[다기 카톤]]이 궁정내의 권력을 장악하여 칸의 명령보다도 모후의 명령이 더 권위를 가질 정도라고 이야기 되었다. 그 때문에 비교적 안정된 아유르바르와다의 치세가 [[1320년]]에 끝나고, [[1322년]]에 다기가 죽자 다시 정쟁이 재연되었다. 다음해 [[1323년]] 아유르바르와다의 뒤를 계승한 [[시데바라]]가 살해당한 것을 계기로 아유르바르와다가 죽은 뒤부터 [[1333년]] [[토곤 테무르]]가 즉위할 때까지 13년간 7명의 황제가 차례로 교대하는 이상사태가 발생했다.
+
 
+
겨우 제위가 안정된 것은 다수의 황족이 황위를 둘러싼 항쟁에 의해 쓰러진 끝에, 광서에서 추방생활을 보내던 토곤 테무르의 즉위에 의해서였다. 그러나 토곤 테무르는 이 시기 권력을 장악하던 킵차크 친위대 사령관 [[엘 테무르]]에게 묶여있어, 엘 테무르가 병사할 때까지 정식으로 즉위할 수 없었다. 거기에 에르 테무르의 사후에는 아스트 친위군 사령관인 바얀이 엘 테무르의 유아를 살해하고 황제를 능가하는 권력을 장악했고, [[1340년]]에는 바얀의 조카 [[토구다]]가 백부를 쿠데타로 살해하고 그 권력을 빼앗는 등, 원나라의 궁정은 거의 군벌의 내부항쟁에 의해 움직이고 있었다. 거기에 성인이 된 칸도 권력을 둘러싼 대립이 더해져 [[1347년]]부터 [[1349년]]까지 토구다가 추방당하는 등 중앙정국의 혼란은 계속되었다.
+
 
+
이 정치혼란 속에서 어느덧 유럽에 유행하던 [[흑사병]]과 비슷한 것으로 보이던 [[전염병]]이 중국에 유행하였고, 차례로 천재지변이 농촌을 황폐화 시켰다. 그러나 중앙 정부의 권력 다툼에 마음을 빼앗긴 권력자들은 이에 대한 유효한 대책을 충분히 실행하지 못했기 때문에 국내는 급속히 황폐화되고, 원나라의 차별정책 아래 놓였던 옛 남송인의 불만과 상업중시의 원나라의 정책이 만들어낸 경제착취에 괴로워하던 농민의 궁핍 등이 원인이 되어 지방에서는 급속히 불온한 움직임이 높아져만 갔다.
+
 
+
=== 신분 제도와 민족 차별 ===
+
원나라는 자국인 제일주의라는 이념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몽골인]](국족)→[[색목인]]→화북인(한인)→남송인(남인)의 계급순으로 구성된 신분 제도를 실시했는데, 이때 한족은 3~4등급의 피지배층으로 분류되어 중앙의 장관이 되어서는 안 된다.<ref>『[[원사 (역사서)|원사]](元史)』 85권: "벼슬자리 따라 일상 업무가 있었고 직위 따라 정원(定員)이 있었다. 그 수장(首長)은 몽골인이 맡았으며 한인과 남인은 그를 보좌하였다(官有常職,位有常員,其長則蒙古人為之,而漢人 南人貳焉)."단, 우승상(右丞相)을 지냈던 [[사천택]](史天澤)은  예외였다.</ref> 10 가구의 한인당 한 명의 몽골 병사의 시중을 들어야 했으며, 몽골족은 이들의 반란이 두려워서, 여러 사람이 만나거나 모이는 것을 금지시키고 10 가구에 오직 하나의 부엌칼만 가질 수 있게 하는 등 민족 차별 정책이 극심했다.
+
<ref>{{
+
* "ten Han families forced to host a Tartar at home,”
+
* “ten families sharing a single kitchen chopper,”
+
* “Mongol headman claiming the first night of a virgin set to marry,”
+
* “twenty Han families grouped into a household headed by a Northern official,”
+
|Hok-lan Chan|Liu Bowen and the Folk Stories “Killing the Tartars on Mid-Autumn Day”[http://www.mh.sinica.edu.tw/e/index-E2-a2-46-1a.htm]}}</ref>
+
 
+
=== 명나라의 건국 ===
+
[[1348년]] 절강의 방국진(方國珍)이 해상에서 반란을 일으킨 것을 시작으로 전국에서 차례로 반란이 일어나, [[1351년]]에는 가노에 의해 황하의 개수공사를 시키던 [[백련교도]]인 [[홍건당]]이 봉기했다. [[1354년]] 대규모 토벌군을 이끈 [[토크토]]가 그가 강대한 군사력을 가지는 것을 두려워한 [[토곤 테무르]]에 의해 경질되어 살해당하자, 이것을 칸의 권력회복과 맞바꾸어 군벌에게 의지하던 원나라의 군사력을 크게 약화시키게 되었다. 이때 홍건당에서 두각을 나타낸 [[홍무제|주원장]]이 기타 반란자들을 차례로 쓰러뜨리고 화남을 통일해 [[1368년]] 난징에서 황제로 즉위하여 [[명나라]]를 건국하였다.
+
 
+
주원장은 즉위하는 동시에 대규모의 북벌을 개시하여 원나라의 수도 대도에 육박했다. 여기까지 이르자 몽골인들은 도저히 중국을 지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간파하고, [[1368년]] [[토곤 테무르]]는 대도를 버리고 북쪽의 몽골고원으로 물러났다. 일반적인 중국사의 서술에서는 토곤 테무르의 북쪽으로의 이동에 의해 원 황조는 끝난 것으로 보았으나, 토곤 테무르의 대칸정권은 이후에도 몽골고원에서 존속하였다. 거기에 왕조의 연속성을 보더라도 원 황조는 1368년을 기점으로 멸망이라고 말할 수 없었고, 이 이후의 원 황조는 [[북원]]이라 부르면서 이때까지의 원나라와 구별하는 것이 보통이었다. 그러나 토곤 테무르의 두 아들이었던 [[아유르시리다라]]와 [[토구스 테무르]]가 차례로 황제의 지위를 이었고, 명나라는 당연히 이 즉위를 인정하지 않고, 별칭을 이용하였다. 1388년 [[토구스 테무르]]가 살해당하자 쿠빌라이 이래의 직계왕통은 단절되었다.
+
 
+
다만 이 과정을 단순히 한족의 승리, 몽골민족의 패주라는 관점으로 볼 것인가는 문제가 있다. 즉 화북에서는 먼저 황하의 개수 등에 의해 재해를 방지하기 위한 일로 인해 원나라의 구심력이 일시적으로 높아졌던 시기가 있었다. 주원장이 아직 화남평정에 힘을 기울이고 있었던 것도 배경이 되었다. 또한 한족의 관리 중에는 앞에서 나온 가노를 시작으로 원 왕조에 충성을 다하여 명나라군과 반란세력과 싸우다 전사한 이들도 많았고, 1367년 명나라군에게 붙잡힌 호부상서 장욱은 주원장의 항복권고에 대해 “몸은 강남에 있어도, 마음은 삭북을 생각하고 있다”라는 유서를 남기고 처형장으로 향했다고 한다. [[청나라]]의 역사학자 조익은 원나라에 순사한 한족의 관리의 숫자는 격렬한 저항이 있었던 남송 다음으로 많았다고 지적하였다.
+
 
+
== 문화 ==
+
==== 음악 ====
+
원나라 시대의 음악을 호악(胡樂)이라고 하였는데 원 간섭기 시절 [[고려]]의 음악에 영향을 주었다. 이 시기에 도입된 원나라 악기가 [[해금]]과 [[태평소]]다.
+
 
+
==== 미술 ====
+
원대의 화가는 화원계(畵院系), 문인계(文人系), 거기에 산수화의 이곽파(李郭派) 등 셋으로 대별된다. 원대에는 화원(畵院)의 제도는 없었고, 남송의 멸망과 더불어 화공(畵工)은 후원자를 상실하여, 대부분 [[저장 성|저장지방]](浙江地方)의 한 양식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정착하였다. 그러나 중국내에서의 평판은 그리 좋은 편은 못 되었다. 화원계의 화인에 비하여 문인화가의 활약은 눈부신 바 있어 [[동원]](董源)·[[미불]] 미우인(米友仁) 등과, 또 한편으로는 이곽파의 화가들도 [[이성 (당나라)|이성]](李成), [[곽희]](郭熙) 등을 스승으로 받들고, [[북송]](北宋)으로의 복귀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북송의 여러 선학들의 예술의 본질은 상실되어 자연을 관찰하는 의욕도 희박해지고 기법상으로도 조잡하여, 산수화로서는 구도에 있어 통일성이 결여되고 화면의 원근 표현도 성공을 보지 못하였다. [[조맹부]]에서 비롯된 복고운동은 원말 [[황공망]](黃公望), [[왕몽]](王蒙), [[오진 (원나라)|오진]](吳鎭), [[예찬]](倪瓚)의 4대가에 이르러 남종(南宗) 산수화풍의 전형이 완성케 되었다. 명말의 [[동기창]](董其昌)은 4대가 이후에 규범이 될 수 있는 강렬한 개성적인 작가는 없다고 주장하고, 그 결과 ‘방 아무개’라고 낙관한 산수화가 이의적(二義的)인 모사(模寫)는 아니고 독립된 작품으로서 성행하게 되었다.
+
 
+
== 각주 ==
+
<references/>
+
 
+
==참고문헌==
+
*[http://donation.enc.daum.net/wikidonation/ency.do?vol=021&code=003001001000016000 글로벌세계대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C%9B%90%EB%82%98%EB%9D%BC 위키피디아-원나라]
+

2014년 6월 16일 (월) 00:46 판

Meta Data

타입 : 개념
한글항목명 : 원
한자항목명 : 元
편자 : 자운서원팀 김소희

내용

  • 요약 : 13세기 중반부터 14세기 중반에 이르는 약 1세기 사이, 중국 본토를 중심으로 거의 동(東)아시아 전역을 지배한 몽골족의 왕국(1271∼1368).

13세기 초, 칭기즈칸에 의해 구축된 몽골제국(蒙古帝國)은 유러시아 대륙의 북방초원에 정치적 기지를 두고, 대륙남방의 농경지대를 그 속령(屬領)으로 삼아 지배한 유목국가(遊牧國家)로, 속령으로부터의 가혹한 수탈과 부정기적인 약탈로써 경제적 욕구를 충족하였다. 그러나 유목제왕(遊牧帝王)과 그를 둘러싼 유목봉건영주층(遊牧封建領主層), 또는 유목민 지배층과 농경민 피지배층 사이에 정치적 ·경제적 모순이 발생하여 제국은 끊임없이 동요되었다.

이와 같이 유목제국에 잠재된 근본적인 결함을 극복하려고 유목과 농경이 공존할 수 있는 중간의 아건조지대(亞乾燥地帶)에 새로운 정치적 기지를 찾아서 강대하고 집권적인 제국(帝國)을 영위하려 한 것이 칭기즈칸의 손자인 쿠빌라이칸[世祖]이었다. 그는 형 몽케칸[憲宗]를 계승하려 하였던 막내동생 아리크부카를 제거하고 북방의 초원에 웅거한 유목봉건세력의 진출을 막아, 수도를 몽골 고원의 카라코룸에서 화북(華北)에 가까운 상도(上都)와 화북 안에 있는 대도(大都:北京)로 옮겨 화북의 건조농경지대를 중심으로 한 중국식 집권적(集權的) 관료국가의 확립을 꾀하였다.

그가 시도한 정치적 사업이 거의 완성단계에 이른 1271년 《역경(易經)》의 ‘大哉乾元’을 따서 국호를 대원(大元)이라 하고 중국 역대왕조의 계보를 잇는 정통왕조임을 내외에 선언하였다. 이어 74년에서 79년에 걸쳐 화이허강[淮河] 이남 지역에 있던 남송(南宋)을 평정해서 명실공히 중국전토를 영유하게 되었는데, 이에 멈추지 않고 일본 ·베트남 ·미얀마 ·자바 등지에도 침략군을 보냈다.

원나라는 쿠빌라이칸이 다스리는 동안에 동아시아 전역의 대제국이 되었다. 그러나 동시에 쿠빌라이칸은 몽골제국의 종주권(宗主權)도 계승한 것이라며 서방의 한국(汗國)들(킵차크 ·차가타이 ·오고타이 ·일 한국 등) 위에도 군림하려 해서, 유목적 전통을 고집하는 한국들은 그를 마땅치 않게 여겨 원나라의 종주권을 부인하고 대항하였다.

특히 오고타이한국의 왕 카이두는 이웃 차가타이 ·킵차크 한국의 왕들을 설득해서 반(反)쿠빌라이 동맹을 결성하여 원나라 북서변의 요지를 공략하여 쿠빌라이 정권을 위협하였다. 항쟁은 쿠빌라이칸이 죽은 뒤에도 계속되었는데, 1301년 카이두가 사망함으로써 전운(戰雲)이 가셨다. 이로부터 원나라는 한국들과 친교를 맺고 제국(帝國)의 종주권을 회복하였다. 아시아 전역에는 이른바 ‘몽골족 지배하의 평화’가 찾아와 동 ·서의 문물이 자유롭게 교류하게 되어 국제무역이 번창하였다.

그러나 원나라 내부의 국정이 해이해지기 시작하여 사회적 여러 모순들이 심화되어 갔다. 이에 편승해서 여러 지방에서 크고 작은 폭동이 일어났는데도 중앙에서는 권신(權臣)들이 정쟁(政爭)에 여념이 없었다. 폭동은 확대되어 한족(漢族)에 의한 민족적 반란으로까지 발전하여 주원장(朱元璋:洪武帝)에 의한 명조(明朝)정권이 출현하였다.

68년 원나라는 수도 대도를 명나라의 군대에 빼앗겨 순제(順帝:토곤 테무르)가 몽골 본토에 쫓김으로써 원나라의 중국지배는 끝이 났다. 그뒤 몽골본토에 터를 잡은 원군은 얼마 동안 명군과 항쟁을 계속하였으나 쇠퇴하여 내분(內紛)으로 소멸되었다. 이를 북원(北元)이라 한다.

Digerati Wi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