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판 1개)
(Created page with " == Meta Data == *타입 : 인물 *한글항목명 : 안회 *한자항목명 : 顔回 *편자 : 자운서원팀 [http://digerati.aks.ac.kr:82/index.php?...")
4번째 줄: 4번째 줄:
 
*한글항목명 : 안회
 
*한글항목명 : 안회
 
*한자항목명 : 顔回
 
*한자항목명 : 顔回
*편자 : [[자운서원팀 KU |자운서원팀]] [http://kadhlab102.com/wiki/index.php/User:201410297 김소희]
+
*편자 : [[자운서원팀 KU|자운서원팀]] [http://digerati.aks.ac.kr:82/index.php?title=User:201410297 김소희]
  
 
----
 
----
25번째 줄: 25번째 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22668&cid=40942&categoryId=33403 네이버 지식백과 : 안회]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22668&cid=40942&categoryId=33403 네이버 지식백과 : 안회]
  
[[분류:서원 KU]]
+
[[Digerati Wiki]]

2014년 6월 1일 (일) 22:49 판

Meta Data


내용

  • 요약 : 중국 춘추시대(春秋時代) 노(魯)나라의 현인. 공자가 가장 신임하였던 제자였다. 은군자적인 성격으로 “자기를 누르고 예(禮)로 돌아가는 것이 곧 인(仁)이다”, “예가 아니면 보지도 말고, 듣지도 말고, 말하지도 말고, 행동하지도 말아야 한다”는 공자의 가르침을 지켰다.
  • 출생-사망 : BC 521~?
  • 자 : 연(淵)
  • 국적 : 중국 노(魯)
  • 활동분야 : 철학

자 연(淵). 공자가 가장 신임하였던 제자이며, 공자보다 30세 연소(年少)이나 공자보다 먼저 죽었다. 학문과 덕이 특히 높아서, 공자도 그를 가리켜 학문을 좋아하는 사람이라고 칭송하였고, 또 가난한 생활을 이겨내고 도(道)를 즐긴 것을 칭찬하였다. 은군자적(隱君子的)인 성격 때문인지 그는 “자기를 누르고 예(禮)로 돌아가는 것이 곧 인(仁)이다”라든가, “예가 아니면 보지도 말고, 듣지도 말고, 말하지도 말고, 행동하지도 말아야 한다”는 공자의 가르침을 지킨 사람임에도 불구하고, 장자(莊子)와 같은 도가(道家)에게서도 높이 평가되었다. 젊어서 죽었기 때문에 저술(著述)이나 업적은 남기지 못했으나 《논어(論語)》에 <안연편(顔淵篇)>이 있고, 그 외에 몇몇 서적에도 그를 현자(賢者)와 호학자(好學者)로서 덕행(德行)이 뛰어난 사람이라고 전하는 구절이 보인다.


웹 자원

네이버 지식백과 : 안회

Digerati Wi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