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악 3호분 벽화"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안악3호분(安岳3號墳)은 황해남도 안악군에 위치한 고구려 고분으로, 제작년도는 357년으로 추정된다. 1949년에 처음으로 발견되었는데,...)
 
 
1번째 줄: 1번째 줄:
안악3호분(安岳3號墳)은 황해남도 안악군에 위치한 [[고구려]] 고분으로, 제작년도는 357년으로 추정된다. 1949년에 처음으로 발견되었는데, 이미 가치가 높은 보물들이 도굴된 뒤였다. 벽화는 좋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벽화 속의 남자와 여자는 고풍스러운 옷을 입은 채로 그려져 있었다. 고분의 입구에는 7행 68자로 동수라는 장군에 대한 글이 써져있으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33350&cid=50360&categoryId=50360 말각조정]이라는 [[고구려]] 특유의 고분방식을 사용하였다.
+
{{유적 정보
 +
|대표명칭 = 안악 3호분 벽화
 +
|시대 = [[고구려]]
 +
|위치 = 안악 3호분
 +
|주소 = 황해남도 안악군 오국리
 +
|사진 = 안악3호분주인도.jpg
 +
}}
 +
==개관==
 +
[[안악 3호분]]은 황해남도 안악군에 위치한 [[고구려]] 고분으로, 제작년도는 357년으로 추정된다. 1949년에 처음으로 발견되었는데, 이미 가치가 높은 보물들이 도굴된 뒤였다. 벽화는 좋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벽화 속의 남자와 여자는 고풍스러운 옷을 입은 채로 그려져 있었다. 고분의 입구에는 7행 68자로 동수라는 장군에 대한 글이 써져있으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33350&cid=50360&categoryId=50360 말각조정]이라는 [[고구려]] 특유의 고분방식을 사용하였다.
  
 
벽화는 널길벽에 위병, 앞방의 동쪽 옆방에 부엌·도살실·우사·차고 등, 서쪽 옆방에 주인공 내외의 좌상, 앞방 남벽에 무악의장도와 묵서묘지, 뒷방 동벽·서벽에 각각 무악도, 회랑벽에 대행렬도가 그려져 있다. 결국 벽화내용은 무악대와 장송대에 둘러싸인 주실 앞에 주인 내외의 초상도를 모신 혼전과 하인들이 있는 부엌·우사·마구고 등을 두고 맨 앞은 위병이 지키는 설계로, 이것은 왕·귀족·대관들의 생전주택을 재현시키고 있는 것이나 다름없다. 벽화는 벽의 면적 81㎡, 천장의 면적 58㎡나 되는 넓은 널방에 가득 차게 그려져 있다.
 
벽화는 널길벽에 위병, 앞방의 동쪽 옆방에 부엌·도살실·우사·차고 등, 서쪽 옆방에 주인공 내외의 좌상, 앞방 남벽에 무악의장도와 묵서묘지, 뒷방 동벽·서벽에 각각 무악도, 회랑벽에 대행렬도가 그려져 있다. 결국 벽화내용은 무악대와 장송대에 둘러싸인 주실 앞에 주인 내외의 초상도를 모신 혼전과 하인들이 있는 부엌·우사·마구고 등을 두고 맨 앞은 위병이 지키는 설계로, 이것은 왕·귀족·대관들의 생전주택을 재현시키고 있는 것이나 다름없다. 벽화는 벽의 면적 81㎡, 천장의 면적 58㎡나 되는 넓은 널방에 가득 차게 그려져 있다.
 +
 +
==지도==
 +
<googlemap width="600" height="300" lat="38.4492523" lon="125.5064671" type="hybrid" zoom="13"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38.4492523,125.5064671, 안악 3호분
 +
</googlemap>
 +
 +
=='''클래스'''==
 +
* 사물
 +
 +
=='''관련 문서'''==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style="width:250px"|이 문서||style="width:200px"|관계||style="width:250px"|관련 문서
 +
|-
 +
|[[안악 3호분 벽화]]|| A는 B시대에 그려졌다||[[고구려]]
 +
|-
 +
|[[안악 3호분 벽화]]|| A는 B에 위치한다||[[안악 3호분]]
 +
|}
 +
 +
=='''갤러리'''==
 +
<gallery>
 +
파일:안악3호분주인도.jpg|안악 3호분 주인도<ref>사진출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4868 안악3호분, 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
파일:안악3호분부인도.jpg|안악 3호분 부인도<ref>사진출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4868 안악3호분, 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
파일:안악3호분행렬도.jpg|안악 3호분 행렬도<ref>사진출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4868 안악3호분, 민족문화대백과사전]
 +
</gallery>
 +
 +
=='''주석'''==
 +
<references/>
 +
 +
=='''참고'''==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6&cp_code=cp0426&index_id=cp04260069&content_id=cp042600690001&search_left_menu=4 안악 3호분, 문화콘텐츠닷컴]
 +
 +
=='''기여'''==
 +
*[[김지선]]: 처음 작성
 +
 +
 +
[[분류:아차산성]]
 +
[[분류:김지선]]
 +
[[분류: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 개발]]
 +
[[분류:사물]]

2016년 6월 24일 (금) 00:16 기준 최신판

개관

안악 3호분은 황해남도 안악군에 위치한 고구려 고분으로, 제작년도는 357년으로 추정된다. 1949년에 처음으로 발견되었는데, 이미 가치가 높은 보물들이 도굴된 뒤였다. 벽화는 좋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벽화 속의 남자와 여자는 고풍스러운 옷을 입은 채로 그려져 있었다. 고분의 입구에는 7행 68자로 동수라는 장군에 대한 글이 써져있으며, 말각조정이라는 고구려 특유의 고분방식을 사용하였다.

벽화는 널길벽에 위병, 앞방의 동쪽 옆방에 부엌·도살실·우사·차고 등, 서쪽 옆방에 주인공 내외의 좌상, 앞방 남벽에 무악의장도와 묵서묘지, 뒷방 동벽·서벽에 각각 무악도, 회랑벽에 대행렬도가 그려져 있다. 결국 벽화내용은 무악대와 장송대에 둘러싸인 주실 앞에 주인 내외의 초상도를 모신 혼전과 하인들이 있는 부엌·우사·마구고 등을 두고 맨 앞은 위병이 지키는 설계로, 이것은 왕·귀족·대관들의 생전주택을 재현시키고 있는 것이나 다름없다. 벽화는 벽의 면적 81㎡, 천장의 면적 58㎡나 되는 넓은 널방에 가득 차게 그려져 있다.

지도

클래스

  • 사물

관련 문서

이 문서 관계 관련 문서
안악 3호분 벽화 A는 B시대에 그려졌다 고구려
안악 3호분 벽화 A는 B에 위치한다 안악 3호분

갤러리

주석

  1. 사진출처: 안악3호분, 민족문화대백과사전
  2. 사진출처: 안악3호분, 민족문화대백과사전
  3. 사진출처: 안악3호분, 민족문화대백과사전

참고

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