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차산성 대형초석건물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 문서)
 
(같은 사용자에 의한 9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7번째 줄: 7번째 줄:
 
}}
 
}}
 
==개관==
 
==개관==
[[아차산성]] 내부 시설물([[아차산성 장대지]], [[아차산성 대형초석건물지]], [[아차산성 원형수혈유구]], [[아차산성 우물지]] 등) 중 하나로, 대형초석 건물지는 성 내부 중앙의 우물 동편 평탄면에 위치해 있다. 건물지의 장축 방향은 등고선을 따르고 있는데 대체로 동서방향과 일치한다. 길이 약 24.2m, 남북 단축 방향 길이 9.3미터인 건물지 외곽으로는 석축 기단을 돌렸다. 건물에 사용된 초석의 크기는 일정하지 않은데, 큰 것은 120×80cm이고, 작은 것은 70×60cm이다. 건물 단축방향으로는 초석이 모두 7개가 열을 지어있으며, 장축방향으로는 14개 이상의 초석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초석 아래에는 작은 할석을 이용한 적심시설이 확인된다. 초석 간의 간격은 약 1.21~1.74m 내외이나 전면 발굴이 이루어지지 않아 정확하지는 않다.<ref>출처: 최종택, 「아차산성에 대한 고고학적 조사 성과와 과제」, 『사총』, 제 81집, 2014, 80-81쪽.</ref>
+
[[아차산성]] 내부 시설물([[아차산성 남문지 배수시설]], [[아차산성 연지]],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 [[아차산성 원형수혈유구]], [[아차산성 장대지]], [[아차산성 우물지]] 등) 중 하나로, 대형초석 건물지는 성 내부 중앙의 우물 동편 평탄면에 위치해 있다. 건물지의 장축 방향은 등고선을 따르고 있는데 대체로 동서방향과 일치한다. 길이 약 24.2m, 남북 단축 방향 길이 9.3미터인 건물지 외곽으로는 석축 기단을 돌렸다. 건물에 사용된 초석의 크기는 일정하지 않은데, 큰 것은 120×80cm이고, 작은 것은 70×60cm이다. 건물 단축방향으로는 초석이 모두 7개가 열을 지어있으며, 장축방향으로는 14개 이상의 초석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초석 아래에는 작은 할석을 이용한 적심시설이 확인된다. 초석 간의 간격은 약 1.21~1.74m 내외이나 전면 발굴이 이루어지지 않아 정확하지는 않다.<ref>출처: 최종택, 「아차산성에 대한 고고학적 조사 성과와 과제」, 『사총』, 제 81집, 2014, 80-81쪽.</ref>
  
  
'''아차산성 대형초석건물지'''는 외곽에 2열 석축이 돌아가는 장방형 건물지인데, 장방형 건물지는 아차산성과 인접한 [[하남 이성산성]]에서 이미 조사되었다. [[하남 이성산성]]에서 조사된 E지구 건물지는 초석 간격이 너무 촘초하여 이곳에 기둥을 세울 경우 남아 있는 공간이 너무 조밀하여 공간이용에 문제가 있다고 보고 누각형(樓閣形) 건물일 가능성이 크다고 보았다. 이번에 조사된 초석 건물지의 간격은 비슷한 시기 [[하남 이성산성]]에서 조사된 건물지들에 비해 훨씬 좁은데, 여기서도 [[하남 이성산성]]에서 추정한 바와 같이 누각의 형태를 했을 가능성이 크다.<ref>출처: 임효재 외, 『아차산성 시굴조사보고서』, 서울대학교박물관・광진구, 2000, 81-82쪽.</ref>
+
==='''아차산성 대형초석건물지'''와 [[하남 이성산성]]===
 +
'''아차산성 대형초석건물지'''는 외곽에 2열 석축이 돌아가는 장방형 건물지인데, 장방형 건물지는 아차산성과 인접한 [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B%82%A8_%EC%9D%B4%EC%84%B1%EC%82%B0%EC%84%B1 하남 이성산성]에서 이미 조사되었다. [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B%82%A8_%EC%9D%B4%EC%84%B1%EC%82%B0%EC%84%B1 하남 이성산성]에서 조사된 E지구 건물지는 초석 간격이 너무 촘초하여 이곳에 기둥을 세울 경우 남아 있는 공간이 너무 조밀하여 공간이용에 문제가 있다고 보고 누각형(樓閣形) 건물일 가능성이 크다고 보았다. 이번에 조사된 초석 건물지의 간격은 비슷한 시기 [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B%82%A8_%EC%9D%B4%EC%84%B1%EC%82%B0%EC%84%B1 하남 이성산성]에서 조사된 건물지들에 비해 훨씬 좁은데, 여기서도 [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B%82%A8_%EC%9D%B4%EC%84%B1%EC%82%B0%EC%84%B1 하남 이성산성]에서 추정한 바와 같이 누각의 형태를 했을 가능성이 크다.<ref>출처: 임효재 외, 『아차산성 시굴조사보고서』, 서울대학교박물관・광진구, 2000, 81-82쪽.</ref>
  
 
==지도==
 
==지도==
27번째 줄: 28번째 줄:
 
rect 108 194 138 221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
 
rect 108 194 138 221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
 
</imagemap>
 
</imagemap>
 +
  
  
58번째 줄: 60번째 줄:
 
=='''클래스'''==
 
=='''클래스'''==
 
* 유적
 
* 유적
 +
 +
=='''가상현실'''==
 +
아차산성 대형초석건물지 가상현실입니다.
 +
<html>
 +
<iframe width="90%" height="600" src="http://digerati.aks.ac.kr/acha/tour2016-04b/site_05_inside/site_05_inside.xml" frameborder="0" scrolling="no"></iframe>
 +
</html>
  
 
=='''관련 문서'''==
 
=='''관련 문서'''==
67번째 줄: 75번째 줄:
 
|[[아차산성 대형초석건물지]]|| A는 B에 속한다||[[아차산성]]
 
|[[아차산성 대형초석건물지]]|| A는 B에 속한다||[[아차산성]]
 
|-
 
|-
|[[아차산성 대형초석건물지]]|| A는 B에 만들어졌다 ||[[신라]]시대
+
|[[아차산성 대형초석건물지]]|| A는 B시대에 만들어졌다 ||[[신라]]
 
|-
 
|-
 
|[[아차산성 대형초석건물지]]|| A는 B의 근처에 있다 ||[[아차산성 우물지]]
 
|[[아차산성 대형초석건물지]]|| A는 B의 근처에 있다 ||[[아차산성 우물지]]
78번째 줄: 86번째 줄:
 
|-
 
|-
 
|[[아차산성 대형초석건물지]]|| A에서 B가 행해지다||[[아차산성 시발굴조사]]
 
|[[아차산성 대형초석건물지]]|| A에서 B가 행해지다||[[아차산성 시발굴조사]]
 +
|-
 +
|[[아차산성 대형초석건물지]]|| A는 B와 같은 형태이다||[[하남 이성산성 건물지]]
 
|}
 
|}
  
94번째 줄: 104번째 줄:
  
  
 +
[[분류:아차산성]]
 
[[분류:김지선]]
 
[[분류:김지선]]
 
[[분류: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 개발]]
 
[[분류: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 개발]]
 
[[분류:유적]]
 
[[분류:유적]]
 
[[분류:아차산성 C지구]]
 
[[분류:아차산성 C지구]]

2016년 6월 16일 (목) 13:38 기준 최신판

개관

아차산성 내부 시설물(아차산성 남문지 배수시설, 아차산성 연지,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 아차산성 원형수혈유구, 아차산성 장대지, 아차산성 우물지 등) 중 하나로, 대형초석 건물지는 성 내부 중앙의 우물 동편 평탄면에 위치해 있다. 건물지의 장축 방향은 등고선을 따르고 있는데 대체로 동서방향과 일치한다. 길이 약 24.2m, 남북 단축 방향 길이 9.3미터인 건물지 외곽으로는 석축 기단을 돌렸다. 건물에 사용된 초석의 크기는 일정하지 않은데, 큰 것은 120×80cm이고, 작은 것은 70×60cm이다. 건물 단축방향으로는 초석이 모두 7개가 열을 지어있으며, 장축방향으로는 14개 이상의 초석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초석 아래에는 작은 할석을 이용한 적심시설이 확인된다. 초석 간의 간격은 약 1.21~1.74m 내외이나 전면 발굴이 이루어지지 않아 정확하지는 않다.[2]


아차산성 대형초석건물지하남 이성산성

아차산성 대형초석건물지는 외곽에 2열 석축이 돌아가는 장방형 건물지인데, 장방형 건물지는 아차산성과 인접한 하남 이성산성에서 이미 조사되었다. 하남 이성산성에서 조사된 E지구 건물지는 초석 간격이 너무 촘초하여 이곳에 기둥을 세울 경우 남아 있는 공간이 너무 조밀하여 공간이용에 문제가 있다고 보고 누각형(樓閣形) 건물일 가능성이 크다고 보았다. 이번에 조사된 초석 건물지의 간격은 비슷한 시기 하남 이성산성에서 조사된 건물지들에 비해 훨씬 좁은데, 여기서도 하남 이성산성에서 추정한 바와 같이 누각의 형태를 했을 가능성이 크다.[3]

지도

아차산성 연지아차산성 우물지아차산성 동문지아차산성 장대지아차산성 남문지 배수시설아차산성 대형초석건물지아차산성 원형수혈유구아차산성 온돌 건물지
*빨간색 동그라미를 누르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4]
















클래스

  • 유적

가상현실

아차산성 대형초석건물지 가상현실입니다.

관련 문서

이 문서 관계 관련 문서
아차산성 대형초석건물지 A는 B에 있다 아차산
아차산성 대형초석건물지 A는 B에 속한다 아차산성
아차산성 대형초석건물지 A는 B시대에 만들어졌다 신라
아차산성 대형초석건물지 A는 B의 근처에 있다 아차산성 우물지
아차산성 대형초석건물지 A는 B에서 조사되었다 서울대학교 박물관
아차산성 대형초석건물지 A는 B에서 조사되었다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아차산성 대형초석건물지 A는 B에서 조사되었다 명지대학교 부설 한국건축문화연구소
아차산성 대형초석건물지 A에서 B가 행해지다 아차산성 시발굴조사
아차산성 대형초석건물지 A는 B와 같은 형태이다 하남 이성산성 건물지

갤러리

주석

  1. 아래 사진출처: 김지선
  2. 출처: 최종택, 「아차산성에 대한 고고학적 조사 성과와 과제」, 『사총』, 제 81집, 2014, 80-81쪽.
  3. 출처: 임효재 외, 『아차산성 시굴조사보고서』, 서울대학교박물관・광진구, 2000, 81-82쪽.
  4. 그림출처: 최종택, 앞의 책, 2014a, 15쪽.
  5. 그림출처: 최종택, 앞의 책, 2014a, 22쪽.
  6. 사진출처: 김지선
  7. 사진출처: 김지선

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