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산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북한산성과 아차산성)
(북한산성과 아차산성)
26번째 줄: 26번째 줄:
 
그런데 고구려본기에는 [[북한산성]]의 지리적 조건에 대한 정보가 담겨 있다. 곧 성이 [[한강]] 이북에 있었고, 그 위치도 성안에서 [[한강]]을 건너오는 장면을 볼 수 있을 정도의 조망권이 담보되어 있다. 이는 현재 [[아차산성]]의 지리적 조건과 부합한다. 더구나 [[아차산성 시발굴조사]] 결과 ‘北’・‘北漢’・‘漢山□’의 글자가 새겨진 [[아차산성 명문기와]]가 출토되었다. 발굴 보고서에서는 기와편을 같은 문장의 다른 부분으로 생각해 ‘北漢山□’으로 해석하였고, 이것을 [[삼국사기]]의 [[신라]] [[북한산성]]으로 비정하였다.<ref>아차산성-시굴조사보고서, 2000, 205~207쪽, 212쪽.</ref> 7세기대 [[신라]] [[북한산성]]이 [[아차산성]]임이 유력해진 셈이다.
 
그런데 고구려본기에는 [[북한산성]]의 지리적 조건에 대한 정보가 담겨 있다. 곧 성이 [[한강]] 이북에 있었고, 그 위치도 성안에서 [[한강]]을 건너오는 장면을 볼 수 있을 정도의 조망권이 담보되어 있다. 이는 현재 [[아차산성]]의 지리적 조건과 부합한다. 더구나 [[아차산성 시발굴조사]] 결과 ‘北’・‘北漢’・‘漢山□’의 글자가 새겨진 [[아차산성 명문기와]]가 출토되었다. 발굴 보고서에서는 기와편을 같은 문장의 다른 부분으로 생각해 ‘北漢山□’으로 해석하였고, 이것을 [[삼국사기]]의 [[신라]] [[북한산성]]으로 비정하였다.<ref>아차산성-시굴조사보고서, 2000, 205~207쪽, 212쪽.</ref> 7세기대 [[신라]] [[북한산성]]이 [[아차산성]]임이 유력해진 셈이다.
  
또한 [[이성산성]]에서는 608년에 제작된 목간에서 '南漢城'이 나오는데, 목간의 제작연대와 이성산성에서 출토된 유물들을 통해 남한성은 이성산성을 지칭한 것임을 밝혀냈다. 결국 7세기에 들어서서 [[아차산성]]과 [[이성산성]]은 한강을 사이에 두고 [[북한산성|북한성]]과 [[이성산성|남한성]]으로서 각각 한강 이북과 이남의 거점성 역할을 했던 것이다.
+
또한 [[이성산성]]에서는 608년에 제작된 목간에서 '南漢城'이 나오는데, 목간의 제작연대와 이성산성에서 출토된 유물들을 통해 남한성은 이성산성을 지칭한 것임을 밝혀냈다.  
 +
 
 +
결국 7세기에 들어서서 [[아차산성]]과 [[이성산성]]은 한강을 사이에 두고 [[북한산성|북한성]]과 [[이성산성|남한성]]으로서 각각 한강 이북과 이남의 거점성 역할을 했던 것이다.
  
 
==지도==
 
==지도==

2016년 6월 14일 (화) 13:27 판

북한산성아차산성

가을 8월에 고구려북한산성을 쳐들어왔다.왕이 몸소 군사 1만을 이끌고 [가서] 그들을 막았다.
왕이 장군 고승을 보내 신라의 북한산성을 공격하였다. 신라왕이 군사를 이끌고 한강을 건너오니,성안에서는 북치고 소리 지르며 서로 호응하였다. 고승은 저들이 많고 우리가 적다고 여겨 이기지 못할 것을 두려워하여 물러갔다.

두 사료는 고구려가 7세기 들어 신라를 공략하는 첫 기록이다. 고구려 영양왕(590~618)이 장군 고승을 보내 신라북한산성을 기습했고, 신라 진평왕(579~632)이 구원군 1만을 이끌고 전투에 참여하여 고구려군을 물리쳤다는 내용이다.

그런데 고구려본기에는 북한산성의 지리적 조건에 대한 정보가 담겨 있다. 곧 성이 한강 이북에 있었고, 그 위치도 성안에서 한강을 건너오는 장면을 볼 수 있을 정도의 조망권이 담보되어 있다. 이는 현재 아차산성의 지리적 조건과 부합한다. 더구나 아차산성 시발굴조사 결과 ‘北’・‘北漢’・‘漢山□’의 글자가 새겨진 아차산성 명문기와가 출토되었다. 발굴 보고서에서는 기와편을 같은 문장의 다른 부분으로 생각해 ‘北漢山□’으로 해석하였고, 이것을 삼국사기신라 북한산성으로 비정하였다.[2] 7세기대 신라 북한산성아차산성임이 유력해진 셈이다.

또한 이성산성에서는 608년에 제작된 목간에서 '南漢城'이 나오는데, 목간의 제작연대와 이성산성에서 출토된 유물들을 통해 남한성은 이성산성을 지칭한 것임을 밝혀냈다.

결국 7세기에 들어서서 아차산성이성산성은 한강을 사이에 두고 북한성남한성으로서 각각 한강 이북과 이남의 거점성 역할을 했던 것이다.

지도

아차산성 연지아차산성 우물지아차산성 동문지아차산성 장대지아차산성 남문지 배수시설아차산성 대형초석건물지아차산성 원형수혈유구아차산성 온돌 건물지
*빨간색 동그라미를 누르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3]















클래스

  • 유적

관련 문서

이 문서 관계 관련 문서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 A는 B에 있다 아차산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 A는 B에 속한다 아차산성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 A는 B의 근처에 있다 아차산성 장대지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 A는 B의 발견지이다 아차산성 철제 초두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 A는 B에서 조사되었다 서울대학교 박물관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 A는 B에서 조사되었다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 A는 B에서 조사되었다 명지대학교 부설 한국건축문화연구소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 A에서 B가 행해지다 아차산성 시발굴조사

갤러리

주석

  1. 문화재청 문화재검색 아차산성
  2. 아차산성-시굴조사보고서, 2000, 205~207쪽, 212쪽.
  3. 그림출처: 최종택, 「아차산성에 대한 고고학적 조사 성과와 과제」, 『사총』, 제 81집, 2014, 15쪽.
  4. 그림출처: 최종택, 앞의 책, 2014a, 23쪽.
  5. 그림출처: 임효재 외, 앞의 책, 2000a, 283쪽.
  6. 그림출처: 임효재 외, 앞의 책, 2000a, 283쪽.
  7. 그림출처: 임효재 외, 앞의 책, 2000a, 283쪽.
  8. 그림출처: 임효재 외, 앞의 책, 2000a, 284쪽.
  9. 그림출처: 임효재 외, 앞의 책, 2000a, 284쪽.
  10. 그림출처: 임효재 외, 앞의 책, 2000a, 284쪽.
  11. 그림출처: 임효재 외, 앞의 책, 2000a, 296쪽.
  12. 그림출처: 임효재 외, 앞의 책, 2000a, 297쪽.

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