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메

DH 교육용 위키
Sharondesig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9년 8월 19일 (월) 15:43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강화도_화문석


개요

바닥에 까는 자리는 참골, 왕골, 대, 볏짚, 갈대, 칡 따위를 재료로 하여 만드는데 그 가짓수가 아주 많다. 여러 가지 풀이나 볏짚 따위로 짜여진 자리 가운데서 가장 긴하게 쓰였고 많이 만들어진 것은 왕골로 짠 자리이며, 또 가장 귀하게 여겨졌던 것은 참골로 짠 등메이다. [1]
진상석이었던 등메는 대략 일제강점기부터 쇠퇴의 길을 걷다가 해방과 6.25를 거치면서 명맥이 끊어지고 더 이상 찾는 사람이 없어 60년대를 끝으로 역사 속에 자취를 감춘 것으로 보여진다.

해설

등메는 참골이라는 가늘고 긴 초경식물로 한올씩 가마니를 만드는 것처럼 바디로 다져서 짜며 무늬도 물들인 골로 수놓듯 짜는 것으로 유연하면서도 부러지지않아 여름철 요나 보료 위 또는 궁중과 사대부가의 깔자리와 방석으로 쓰였다.

등메의 의미

등메의 어원과 의미는 기록되어 있지 않으며, 순우리말로 보여지고 한자로 등매(登每, 등메자리[藤莓席. http://db.itkc.or.kr/dir/item?itemId=BT#/dir/node?dataId=ITKC_BT_1403A_0010_010_0060&solrQ=query%E2%80%A0%EB%93%B1%EB%A9%94$solr_sortField%E2%80%A0%EA%B7%B8%EB%A3%B9%EC%A0%95%EB%A0%AC_s%20%EC%9E%90%EB%A3%8CID_s$solr_sortOrder%E2%80%A0$solr_secId%E2%80%A0BT_AA$solr_toalCount%E2%80%A011$solr_curPos%E2%80%A01$solr_solrId%E2%80%A0BD_ITKC_BT_1403A_0010_010_0060 )로 쓰여지는데, 오를 등, 매양 매로 한자의 의미보다는 한글을 차용한 단어로 보여진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어원과 의미는 추후에 자세히 보강되길 바란다.
또한 등메는 헝겊으로 가장자리 선을 두르고 뒤에 부들자리를 대서 꾸민 돗자리, 즉 수를 놓은 자리와 초석(草席)을 합쳐 만든 겹자리로 ‘등메’의 의미로 ‘등매’를 쓰는 경우가 있으나 ‘등메’만 표준어로 삼고 ‘등매’는 버린다. [2] [3][정약용, 목민심서 봉공육조 수법] 무릇 일용의 물건에는 마땅히 식은 있으되 기는 없어야 할 것이다.<하기가 없다는 말이다.>. 시험삼아 포진<골자리 등속을 포진이라 한다.> 한가지로 말해보자. 기록하기를 전 3전 <엽전 30잎이 3전이다.>은 백석 1장 값, 1전은 용수초 염색값<청•적•황•흑색을 다 물들인다.>, 1전은 기화<5색초로 수놓는 것을 기화라 한다.> 때의 공가, 2전은 겹과 초석 값<수석과 초석을 합쳐서 겹자리를 만드는데 이름하여 등매라 한다.> ; 凡日用之物宜 有式而無記<無下記> 試論舖陳一事<莞席之屬 謂之舖陳> 記之曰錢三戔<三十曰三戔> 白席一張價 錢一戔 龍鬚草染色價<靑赤黃黑皆染之> 錢一戔起花時嵀¥價<繡之以五色草曰起花> 錢二戔袷裏草席價<繡席草席合之袷席 名曰登每> [4]


18세기 후반에 이덕무(李德懋, 1741∼1793)가 지은 『김신부부전(金申夫 婦傳)』과 『동상기(同廂記)』에는 혼례에 들어가는 온갖 물품이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다. 이 책은 정조의 명으로 가난한 양반 서손(庶孫)을 위해 서울 관아에서 치른 혼례를 기록한 글로, 정조는 특별히 혼수를 1등급으로 마련하도록 지시하였다. 관에서 마련한 물품은 납폐에 쓸 비단, 관(冠)과 신발, 비녀·가락지, 치마·저고리, 이불·요, 쟁반·바리 등 그릇붙이, 소반·대야, 청주와 탁주, 떡, 장막·병풍, 화문석, 그림, 초와 향(香), 경대·연지·분 등 온갖 화장품, 안장 갖춘 말 등이며 호위할 하인도 갖추었다. 또 신방에는 병풍·화문석·등매(登每),160) 이불과 요, 남녀 베개와 요강·비누통·나무 양치통·경대·놋대야·놋반상·혼서함(婚書函)과 보자기 등을 마련하였다. 신랑·신부의 의복 또한 하나하나 열거할 수 없을 만큼 화려하게 갖추었다.


혼례에 필요한 물품은 1893년에 나온 『광례람(廣禮覽)』에도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저자는 누군지 알 수 없으나 ‘수산(綏山)’이란 호를 사용하였다. 저자는 혼례 때 필요한 온갖 물품을 세밀하게 정리하면서 전용속례(全用俗禮), 즉 전적으로 당대(當代) 풍속을 따른다고 밝혔다.161) 여기서 당대 풍속이란 반친영례를 말한다. 여기에 등장하는 물품의 가짓수를 보면 혼례 때 이렇게 많은 물품이 쓰일까 싶을 만큼 물품의 규모가 놀랍다.

신례 때는 지의(地衣),165) 등매, 꽃무늬 방석, 햇빛 가리개가 필요하였다. 동원되는 사람은 가마꾼 열 명, 등롱꾼 네 명, 안보(按步)166) 네 명, 우산 담당, 배종 하인, 폐백 들고 가는 여종 두 명, 몸종 두 명, 경대·함 들고 가는 여종 각 두 명, 아이 여종 두 명, 방지기 여종, 문안 여종, 수모(手母)와 수모 여종 두 명, 유모와 유모 여종 한 명, 수모가 탄 가마꾼 두 명, 유모 마부 등이 있어야 했다.


http://contents.history.go.kr/front/km/print.do?levelId=km_001_0050_0020_0020_0010&whereStr=

등메 첫 등장

세종 12년 경술(1430)8월 3일(신미) 허성에게 명하여 두 사신을 문안케 하다 지신사 허성(許誠)에게 명하여 두 사신에게 문안하니, 창성(昌盛)이 진헌해야 할 물건의 숫자를 써서 보였는데, 해청(海靑) 등매[等鷹] 50연, 표범[豹子] 30마리, 선구(騸狗) 60마리, 어하(魚蝦) 등 해미(海味)ㆍ젓[鮓] 60항아리, 여석(礪石) 30덩이였다. 命知申事許誠, 問安于兩使臣, 昌盛書示進獻物數, 海靑等鷹五十連、豹子三十兒、騸狗六十隻、魚蝦海味鮓六十壜、礪石三十塊。

【원전】 3 집 249 면

【분류】 외교-명(明) / 무역(貿易)


승정원 일기 . 인조 5년 정묘(1627)10월 28일(신유) 맑음 거둥할 때 방석 등을 배설하지 않은 해당 관원을 추고하라는 전교

윤지경에게 전교하기를,

“오늘 거둥할 때에 백관들이 반열(班列)한 곳으로 각사(各司)의 하인들이 방석(方席)이나 혹 등메〔登每〕를 가지고 분주히 왕래하여 보기에 매우 놀라웠다. 폐조(廢朝) 때에도 이 같은 일은 없었는데 배설을 담당한 각사가 배설하지 않아서 이러한 것인가? 추고해야 마땅할 듯하다.”


일성록 정조 20년 병진(1796)2월 11일(정해) 정리소(整理所)가 절목(節目)을 올렸다.


[4년에 한 차례 개비할 부류] 별문석(別紋席) 232장 4문(紋), - 1장당 별무 공가는 1냥 6전씩 모두 372냥이고, 시가는 8전씩 모두 186냥이다. - 남목(藍木 남색 무명) 8필 13자, - 1필당 별무 공가는 2냥 8전씩 모두 23냥 4전 4푼이고, 시가는 2냥 5전씩 모두 20냥 9전 3푼이다. - 백문석(白紋席) 205장과 반의반 장, - 1장당 별무 공가는 8전씩 모두 164냥 2전이고, 시가는 6전씩 모두 123냥 1전 5푼이다. - 청목 7필 9자 3치(寸), - 1필당 별무 공가는 2냥 7전씩 모두 19냥 6전이고, 시가는 2냥 3전씩 모두 16냥 2전이다. - 세승 7근 14냥 4돈 1푼, - 1근당 별무 공가는 1냥씩 모두 7냥 9전이고, 시가는 8전씩 모두 6냥 3전 2푼이다. - 채화등매(彩花登每) 1좌(坐), - 별무 공가는 6냥이고, 시가는 4냥이다. - 채화석(彩花席) 2장 반, - 1장당 별무 공가는 7냥씩 모두 17냥 5전이고, 시가는 1냥 8전씩 모두 4냥 5전이다. - 용문석(龍紋席) 2장, - 1장당 별무 공가는 20냥씩 모두 40냥이고, 시가는 10냥씩 모두 20냥이다. - 연화방석(蓮花方席) 2차(次), - 1차당 별무 공가 6냥 6전 6푼씩 모두 13냥 3전 2푼이고, 시가는 5냥 5전씩 모두 11냥이다. - 만화방석(滿花方席) 1좌, - 별무 공가는 2냥 5전이고, 시가도 같다. - 자적정주(紫的鼎紬) 12자 6치, - 1필당 별무 공가는 14냥 6전씩 모두 5냥 2전 5푼이고, 시가는 10냥씩 모두 3냥 6전이다. - 자적토주(紫的吐紬) 39자 5치, - 1필당 별무 공가는 30냥씩 모두 23냥 7전이고, 시가는 17냥 5전씩 모두 13냥 8전 2푼이다. - 홍정주(紅鼎紬) 8자, - 1필당 별무 공가는 9냥 4푼씩 모두 2냥 6푼이고, 시가는 10냥씩 모두 2냥 3전 6푼이다. - 홍마사(紅麻絲) 4돈 3푼, - 1근당 별무 공가는 1냥 2전 8푼씩 모두 4푼이고, 시가는 1냥씩 모두 3푼이다. - 저주지 8장, - 1권당 별무 공가는 1냥 6전씩 모두 6전 4푼이고, 시가는 1냥 2전씩 모두 4전 8푼이다. - 장피(獐皮 노루 가죽) 1장, - 별무 공가는 1냥 3전 3푼이고, 시가는 1냥이다. - 숙마(熟麻) 1냥, - 1근당 별무 공가는 4전씩 모두 3푼이고, 시가도 같다. - 생저(生苧 생모시) 4돈, - 1근당 별무 공가는 8전 6푼씩 모두 2푼이고, 시가는 7전씩 모두 2푼이다. - 별문방석(別紋方席) 30닢(立), - 1닢당 별무 공가는 1냥 6전씩 모두 48냥이고, 시가는 8전씩 모두 24냥이다. - 채화면석(彩花面席) 1좌, - 별무 공가는 7냥이고, 시가는 2냥 5전이다. - 상건(床巾 상보) 2건(件), - 1건당 별무 공가는 6냥씩 모두 12냥이고, 시가도 같다. - 만화안식(滿花案息) 2좌, - 1좌당 공가는 없고, 시가는 3냥씩 모두 6냥이다. - 채화등메 5좌이다. - 1좌당 공가는 없고, 시가는 6냥씩 모두 30냥이다. - 이상 별무 공가는 766냥 5전 3푼이고, 시가는 490냥 8전 4푼이다.


영조 52년 병신(1776)3월 9일(경진) 신시에 재궁을 내리다 내시가 찬궁의 문을 닫고 혼궁(魂宮)을 찬궁 앞에 배설하고 선ㆍ개를 좌우변에 설치하고 상탁(床卓)을 설치하였다. 하령하기를,

“영침(靈寢)의 처소를 서변(西邊)의 악내(幄內)에 옮겨 설치할 것이니, 화문석(花紋席)ㆍ지의(地衣)를 들여와 깔도록 하라.”

하매, 낭청 홍원섭이 나가서 화문 등매석(花紋登每席) 2부(浮)를 받들어 들여오니, 내시가 받아서 깔았다. 하령하기를,

“자정문(資政門)은 잡인을 엄금하라. 날이 이미 저물었으니, 대렴전(大殮奠)과 성빈전(成殯奠)을 아울러 설행(設行)하도록 하라.”

하고, 하령하기를,

。" 內侍閉攅宮門, 排設魂宮於攅宮前, 設扇、蓋於左右邊, 設床卓。 令曰: "靈寢處所, 將移設於西邊幄內, 花紋席ㆍ地衣, 入而鋪之可也。" 郞廳洪元變出去, 奉花紋登每席二浮入之, 內侍受而鋪之。


등메와 왕골화문석의 비교

화문석에는 두 종류가 있는데, 하나는 강화군 하점면(河岾面) 양오리(陽五里)에서 나는 왕골〔莞草〕을 재료로 하는 꽃돗자리이고, 다른 하나는 교동면 읍내에서 골을 재료로 하는 등메이다.
세상에서는 꽃돗자리와 등메를 혼동하고 있는데, 공정에 있어서도 꽃돗자리는 '왕골' 껍질을 손으로 엮은 것이고, 등메는 '골'을 한 올씩 가마니 치듯 돗자리틀에 바디로 다져서 짜는 것이며, 화문을 놓는 것도 전자는 물을 들인 왕골을 덧겹쳐 엮어서 무늬에 따라 잘라낸 것이고, 후자는 물을 들인 골로 수놓듯 무늬를 놓은 것이다. 꽃돗자리는 지금도 흔하게들 생산되며 시중에서도 볼 수가 있으나, 등메는 이미 없어진 지가 오랬고 강화 본바닥에서도 보기 힘들게 되었다. 옛날에는 궁에 진상했다고 하여 진상석이라고도 부른다. [5]


등메의 특징

  • 등메에 사용된 재료는 교동 논두렁에는 덤풀진 자연생'골'을 물이 마르지 않는 무논에 떠다 옮겨 1년을 잘 가꾼 부들부들한 참골이다.
  • 왕골은 대궁이 꼭지에 꽃이 나와서 잔 꽃이 피는 것이나, 등메의 재료인 참골은 대궁이(식물의 위 부분)가 똥글똥글하고 가늘고 살구색 꽃이 핀다. 참골은 살구꽃 봉오리가 필까말까 할 때 옮겨 심는다.
  • 제직은 가마니틀과 비슷하게 생긴 돗자리틀(돗틀)로 짠다. 이 경우에는 은경밀직방법으로 짜게 되어 경사가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 기본 색상은 7종이고, 백석을 완성한 후 두 손에 송곳을 쥐고 깁실같이 가는 골과 골 사이를 버르집어 벌려서 채색을 한 골을 끼우고는 수놓듯이 무늬를 논다.
  • 문양과 제작방법은 강화참골화문석(등메) 문양/제작방법에서 확인 가능하다.
  • 기직에 부들자리를 댄 후, 남색 모단으로 선둘러 꾸민다. (주:꾸미는 의미도 있지만, 2겹을 모단으로 합폭하는 의미도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6]


사라진 문화유산, 등메

안타깝지만, 등메는 지금은 사라진 문화유산으로 언론인이자 문화재위원인이었던 예용해(1995년 작고) 기자가 마지막 남은 등메 장인 3명 중 1명인 이산룡(李山龍, 58세)씨와 한 인터뷰를 바탕으로 한 내용 외에는 관련 자료를 찾기 어렵다.
등메에 관한 여러 정보들을 보면, 결국 1961년 했던 이씨와 1번의 인터뷰가 처음이자 마지막이었고 예용해 선생 또한 후에 이 기술을 복원하고자 여러 노력을 한 것으로 보이지만, 결국은 역사의 저편으로 사라져버렸다.

현재 없어져가고 있는 교동도의 ‘등메’도 보성석의 솜씨를 빌리면 다시 일으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7]
오랜 전통공예인 꽃자리가 여느 고장에서는 예나 다름없이 이어져 오고 있는 데에 반해서, 꽃자리 가운데서 가장 으뜸의 자리를 차지해왔던 등메만이 
우리 대에 와서 끊어지게 되었다는 것은 그 까닭을 알 수가 없는 일이다. 
그 고장의 뜻 있는 사람들이 행여나 이 글을 읽고 등메를 되살리는 일에 마음을 쓸 수 있게 된다면 그보다 더 다행한 일은 없겠다. [8]


시각자료

사진


출처

  1. 예용해전집(돗자리) 대원사, 1997.06.07 https://www.krpia.co.kr/viewer/open?plctId=PLCT00005018&nodeId=NODE04209758&medaId=MEDA04350392#none
  2. 국어사전 https://ko.dict.naver.com/small_detail.nhn?docid=10952200
  3. 세종대왕기념사업회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88993&cid=41826&categoryId=41826
  4. 한국고전용어사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88993&cid=41826&categoryId=41826
  5. 예용해전집1(인간문화재), 등메장, 대원사, 1997.06.07 http://www.krpia.co.kr/viewer?plctId=PLCT00005018&tabNodeId=NODE04209736&nodeId=NODE04210444
  6. 예용해전집1(인간문화재), 등메장, 대원사, 1997.06.07 http://www.krpia.co.kr/viewer?plctId=PLCT00005018&tabNodeId=NODE04209736&nodeId=NODE04210444
  7. 예용해전집(보성석寶城蓆) 대원사, 1997.06.07 https://www.krpia.co.kr/viewer/open?plctId=PLCT00005018&nodeId=NODE04209758&medaId=MEDA04350392#none
  8. 예용해전집(돗자리) 대원사, 1997.06.07 https://www.krpia.co.kr/viewer/open?plctId=PLCT00005018&nodeId=NODE04209758&medaId=MEDA04350392#none

기여

일자 역할 이름 전공
2019년 6월 정리 및 편집 손형남 인문정보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