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의(露衣)"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정의)
12번째 줄: 12번째 줄:
  
 
==정의==
 
==정의==
 
+
::노의는 고려시대부터 부녀들이 외출시 입던 옷이었는데, 조선시대 중후기로 가면서 일반 부녀의 착용은 사라지고 왕실 여인들이 특정 의례에 입는 옷으로 축소된다. 노의는 왕실복식에서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복식사 연구 초기에는 깊이있는 고찰이 진행되지 않았고, 최근 십여년사이 여러편의 논문에서 연구되었다. 그러나 왕비의 노의 형태와 그 일습을 구성하는 복식의 형태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의 도식과 무늬 도식이 있는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를 기본으로 하고 기타 여러 사료를 종합하여, 인조의 계비인 장렬왕후가 1638년 혼례를 올릴 때 마련한 노의 일습을 고증 및 복원하였다. 연구내용은 크게 장렬왕후의 혼례절차와 혼례복 물목 파악, 착용신분 및 착용상황, 노의 일습의 구성 제시, 노의 일습의 복식 품목별 형태 고증, 고증에 근거한 노의 일습의 도식 및 치수 제시, 고증된 도식과 치수에 근거한 복원품 제작, 착장순서 고증 및 착장 재현 등으로 이뤄진다.<ref>  ..</ref>
 
+
 
+
  
 
==내용==
 
==내용==

2020년 12월 16일 (수) 23:58 판

금원문노의
(金圓紋露衣)
장렬왕후 금원문노의[1]
대표명칭 금원문노의
한자표기 金圓紋露衣
구분 혼례복
착용신분 왕비
착용성별 여자



정의

노의는 고려시대부터 부녀들이 외출시 입던 옷이었는데, 조선시대 중후기로 가면서 일반 부녀의 착용은 사라지고 왕실 여인들이 특정 의례에 입는 옷으로 축소된다. 노의는 왕실복식에서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복식사 연구 초기에는 깊이있는 고찰이 진행되지 않았고, 최근 십여년사이 여러편의 논문에서 연구되었다. 그러나 왕비의 노의 형태와 그 일습을 구성하는 복식의 형태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의 도식과 무늬 도식이 있는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를 기본으로 하고 기타 여러 사료를 종합하여, 인조의 계비인 장렬왕후가 1638년 혼례를 올릴 때 마련한 노의 일습을 고증 및 복원하였다. 연구내용은 크게 장렬왕후의 혼례절차와 혼례복 물목 파악, 착용신분 및 착용상황, 노의 일습의 구성 제시, 노의 일습의 복식 품목별 형태 고증, 고증에 근거한 노의 일습의 도식 및 치수 제시, 고증된 도식과 치수에 근거한 복원품 제작, 착장순서 고증 및 착장 재현 등으로 이뤄진다.[2]

내용

구분 삼아+단속곳 저고리 3점-일작 남색치마+청금선단저고리 자적필단스란치마+심초록토주저고리 자적필단스란치마+자적화문필단저고리 중삼 노의 노의+너울
도설
(圖說)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에 기록된 장렬왕후 노의일습 착장 추정

지식관계망

클래스

  • Actor-인물 : 장렬왕후
  • Clothing-복장 : 노의
  • Clothing-복식 : 금원문노의
  • Clothing-복식 : 노의대
  • Clothing-복식 : 립과 너울
  • Clothing-복식 : 황사중삼
  • Clothing-복식 : 청금선단저고리
  • Clothing-복식 : 심초록토주저고리
  • Clothing-복식 : 자적필단저고리
  • Clothing-복식 : 삼아
  • Clothing-복식 : 자적필단치마
  • Clothing-복장 : 남필단치마
  • Clothing-복장 : 단속곳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장렬왕후 금원문노의 A는 B를 착용하였다 A wear B
노의 금원문노의 A는 B에 속해있다 A dcterms:hasPart B
노의 노의대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노의 립과 너울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노의 황사중삼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노의 청금선단저고리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노의 심초록토주저고리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노의 자적필단저고리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노의 삼아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노의 자적필단치마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노의 남필단치마1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노의 단속곳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visualization

└☞ 본 네트워크 그래프에서 사용된 아이콘 이미지는 '한국 문화 엔사이브'의 아이콘 모음 자료를 활용하였다.

주석

  1. 김남희,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의 노의 일습 복원에 관한 연구, 2016
  2. ..

참고문헌

김남희,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의 노의 일습 복원에 관한 연구,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