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근리 양민 학살사건

DH 교육용 위키
Hufs정다운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9년 6월 25일 (화) 19:10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의

노근리 양민 학살사건6.25 전쟁 당시 충청북도 영동군 노근리에서 미군에 의해 발생한 민간인 학살 사건이다.

학살 과정과 결과

1950년 7월 23일 정오 충청북도 영동군 영동읍 주곡리 마을에 소개명령이 떨어졌다. 이에 주곡리 마을 주민들은 영동읍 임계리로 피난하게 되고 25일 저녁 주곡리, 임계리 주민, 타지역 주민 500~600명은 미 육군의 유도에 따라 남쪽으로 피난하게 된다.

26일 4번 국도를 통해 황간면 서송원리 부근에 도착한 피난민은 미 육군의 유도에 따라 국도에서 경부선 철로로 행로 변경, 피난을 계속하던 중 미 공군의 폭격과 기관총 사격에 의해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하게 된다. 미군의 공격을 피해 피난민은 노근리에 있는 개근철교(쌍굴) 밑으로 피신하였고, 미 육군은 쌍굴 밑으로 피신한 피난민들에 대해 26일 오후부터 29일 오전까지 기관총 및 박격포 사격을 전개하였다.[1]

미 육군은 민간인 피난민 속에 북괴군들이 잠입했다고 오인하여 폭격과 기관총 발사로 민간인들을 학살하였다고 밝혔다. 현재까지 확인된 희생자만 모두 226명(사망 150명, 실종 13명, 부상 63명)이며 희생된 사람들의 대부분이 노인과 부녀자, 어린이들이었다. 심지어 사망자 가운데 27%는 영·유아 및 10살 이하의 어린이들이었다.

사건 경과

전쟁 중 신문들은 간신히 명맥을 유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정치적으로 정부의 강력한 통제를 받았다. 종군 기자들 역시 당시 미군의 ‘완전 검열’이라는 엄격한 보도통제에 시달려 전쟁 보도를 제대로 해낼 수 없었다. 또한 진급을 우려한 군인 가해자들의 은폐로 한 동안 묻혀있었다. 이 사건이 세상에 달려지게 된 것은 피해자들의 노력 때문이었다. 1960년도에 노근리사건 피해자인 정은용씨가 미국정부가 서울에 운영하던 주한미군소청사무소에 손해배상과 공개사과를 요청하는 진정서를 제출했다. 그리고 1994년도에 노근리 미군 민간인 학살 대책위원회를 설립했고, 20 여 차례 이상 미국 정부와 미국 상하의원,그리고 한국정부와 국회에도 진정서를 제출했다. 1994년4월에 노근리학살로 가족을 잃은 정은용 노근리사건 대책위원장이 노근리사건을 고발하는 책 <그대, 우리의 아픔을 아는가>를 출판하였다. 이 소설 출판을 통해 사건이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고 연합뉴스, 한겨레, AFP, 시사저널 등에서도 취재보도하면서 노근리학살의 진상이 점점 드러나기 시작했다. 특히 1999년 9월29일, 미국 <에이피(AP)통신>은 ‘전직 병사들이 한국의 학살에 대해 말하다’라는 제목의 특별취재 기사를 보도했다. 기사는 ‘1950년 7월 말, 한국의 한 철도 굴다리와 그 주변에서 400명에 달하는 피난민들이 미군의 공격으로 죽었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에이피(AP)통신은 비밀 해제된 군사 문건을 인용해 미군 지휘관들이 민간인으로 위장한 적군의 침투 위험을 감수하느니, 전선으로 접근하는 피난민을 사살해버리라는 명령을 하달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당시 1기갑 사단과 보병 25사단이 이 지역 주둔군에 내린 명령문에 따라 학살이 조직적으로 저질러졌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문건도 공개했다. 한국 생존자들의 증언과 함께 당시 사건과 관련이 있는 미군 10여 명이 “노근리 주민들에 대해 미군이 기총소사를 자행했다”고 증언하는 130여 회의 인터뷰도 덧붙였다.인용 오류: <ref> 태그를 닫는 </ref> 태그가 없습니다


--

멀티미디어

학살 당시 사진

매체 속 노근리 양민 학살사건

  • 작은연못

참고문헌

주석

  1. 나무위키 노근리 양민 학살사건 사건전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