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사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가 기억하는 문화유산)
(3명의 사용자에 의한 34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수강생정보
 
{{수강생정보
|이름= 김사현<ref>몇몇 분들에게 이름이 예쁘다고 들은적이 많습니다</ref>
+
|이름= 김사현
 
|한자= 金思顯
 
|한자= 金思顯
 
|영문= Sahyun Kim
 
|영문= Sahyun Kim
 
|소속= [http://www.aks.ac.kr 한국학중앙연구원]  
 
|소속= [http://www.aks.ac.kr 한국학중앙연구원]  
 
|전공= 인문정보학, 디지털 인문학, [http://dchrl.com 블로그]
 
|전공= 인문정보학, 디지털 인문학, [http://dchrl.com 블로그]
|사진=sahyun.jpg
+
|사진= Sahyun.JPG
|학번= 20162652
+
 
|메일= in2acous@gmail.com
 
|메일= in2acous@gmail.com
 
}}
 
}}
  
=='''명함을 대신하여'''==
+
==이 사람은 누구인가?==
  
* 또다른 수업을 나와 함께 수강하는 사람들 : [[류인태]] [[서소리]] [[이제현]] [[강원규]] [[김현종]]
 
  
=='''최근에 날 자극시킨 무엇'''==
+
===관심분야===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300px"  
+
*디지털 인문학
|+관계 테이블
+
**디지털 환경은 우리에게 지식정보의 제작 및 전달 방법의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디지털 환경이 우리에게 주는 이로움을 따라 인문학의 연구, 교육도 일부분 새로워질 필요가 있습니다. 디지털 인문학은 디지털 환경에서 기존 인문학의 연구주제를 계승하고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인문학 연구 수행이라는 목표를 가집니다. 디지털 인문학이 가져올 우리 사회, 학계의 긍정적인 변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주어 || 관계 || 목적어
+
 
 +
 
 +
*문화유산의 디지털 활용
 +
**문화유산은 디지털 환경에서 보존을 중심으로 고려되어 왔습니다. 그 이유로는 문화유산이 자연 및 인간의 활동에 의해 언제든지 손상되거나 파괴될 수 있는 현실에서 기록을 디지털 환경에서 보존함으로써 문화유산의 본질을 잊지 않기 위함일 것입니다. 2008년 숭례문 화재사건은 문화유산의 디지털 기록에 대한 관심을 불러 일으켰습니다. 화재 이전 확보된 3D 레이저 스캐닝을 통한 3D 포인트 클라우드는 숭례문 복원에 큰 도움을 주었습니다. 이로 생성된 많은 문화유산 디지털 자원은 보존의 목적 외에도 연구 교육 및 산업적 활용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
 
 +
===학력===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70%; background:white;"
 +
!width="15%"|학위||width="40%"|학교명||전공분야||width="20%"|기간
 
|-
 
|-
| 커피 || 잠못들게하다 || [[김사현]]
+
|학사||한국전통문화대학교||문화유적학(고고학)||
|-  
+
|-
| 커피 || 필요로하다 || [[김사현]]
+
|석사||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인문정보학||
 +
|-
 +
|박사||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인문정보학||
 
|-
 
|-
 
|}
 
|}
  
==내가 기억하는 문화유산==
+
===경력===
*부석사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70%; background:white;"
**기억하는 이유 : 고향에 있는 사찰로 어릴 때 부터 자주 가던 곳. <REF>소수서원과 함께 단골 소풍 코스였다.</REF>
+
!width="15%"|구분||width="40%"|내용||소속기관||직위||기간
*
+
|-
 
+
|프로젝트||한국학방향잡기 지리학||한국학중앙연구원||연구보조원||2013
<html>
+
|-
<iframe src="https://www.google.com/maps/d/embed?mid=1rYtgaGIBd8RioyVy12X5SKLLL68" width="640" height="480"></iframe>
+
|프로젝트||한국고문서 조사·연구 및 보존처리사업||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연구보조원||2014~2019
</html>
+
|-
 +
|프로젝트||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방안 연구용역||문화재청||연구보조원||2015
 +
|-
 +
|프로젝트||한국 기록유산의 디지털 스토리텔링 자원 개발||한국학중앙연구원||연구보조원||2016-2017
 +
|-
 +
|강의||디지털 문화지도의 이해||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콘텐츠전공||시간강사||2016
 +
|-
 +
|}
  
 
==각주==
 
==각주==
38번째 줄: 52번째 줄:
  
 
==분류==
 
==분류==
[[분류:수강생]] [[분류:기숙사생]] [[분류:인물]]
+
[[분류:인물]]

2019년 4월 30일 (화) 20:07 판


이 사람은 누구인가?

관심분야

  • 디지털 인문학
    • 디지털 환경은 우리에게 지식정보의 제작 및 전달 방법의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디지털 환경이 우리에게 주는 이로움을 따라 인문학의 연구, 교육도 일부분 새로워질 필요가 있습니다. 디지털 인문학은 디지털 환경에서 기존 인문학의 연구주제를 계승하고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인문학 연구 수행이라는 목표를 가집니다. 디지털 인문학이 가져올 우리 사회, 학계의 긍정적인 변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문화유산의 디지털 활용
    • 문화유산은 디지털 환경에서 보존을 중심으로 고려되어 왔습니다. 그 이유로는 문화유산이 자연 및 인간의 활동에 의해 언제든지 손상되거나 파괴될 수 있는 현실에서 기록을 디지털 환경에서 보존함으로써 문화유산의 본질을 잊지 않기 위함일 것입니다. 2008년 숭례문 화재사건은 문화유산의 디지털 기록에 대한 관심을 불러 일으켰습니다. 화재 이전 확보된 3D 레이저 스캐닝을 통한 3D 포인트 클라우드는 숭례문 복원에 큰 도움을 주었습니다. 이로 생성된 많은 문화유산 디지털 자원은 보존의 목적 외에도 연구 교육 및 산업적 활용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학력

학위 학교명 전공분야 기간
학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적학(고고학)
석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정보학
박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정보학

경력

구분 내용 소속기관 직위 기간
프로젝트 한국학방향잡기 지리학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보조원 2013
프로젝트 한국고문서 조사·연구 및 보존처리사업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연구보조원 2014~2019
프로젝트 문화재 안내표기(설명문 등) 및 체계 개선방안 연구용역 문화재청 연구보조원 2015
프로젝트 한국 기록유산의 디지털 스토리텔링 자원 개발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보조원 2016-2017
강의 디지털 문화지도의 이해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콘텐츠전공 시간강사 2016

각주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