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문화 연구와 디지털 스토리텔링

DH 교육용 위키
윤미진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9년 6월 7일 (금) 15:16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기말 보고서 목록으로 돌아가기

1. 문제 제기와 한국교회사 연구의 과제

  • 2018년 2학기 <한국현대교회사> 수업을 통해 한국교회사(일반 역사학 분야에서 주로 사용하는 실증적 기독교사의 관점에서 벗어나 신학적 기독교사에서 접근한 경우)를 배우며 미시연구의 한계점을 발견했다. 백낙준 박사가 한국학의 한 갈래로서 개신교사를 서술했을 때 선교사관의 입장을 계승한 한국교회사 서술이 이뤄졌으며 이로 인해 피수용자와 토착 그리스도교인들의 진술과 고백, 문헌 중심의 서술이 부족했다는 한계를 발견했다. 백낙준의 관점에서 역사의 주체는 개신교를 전파하는 선교사인 셈이다.
  • 이에 민경배 박사는 민족사관의 입장에서 백낙준 연구의 한계를 벗어나려는 입장에서 교회사 서술을 이어갔는데, 기독교를 받아들인 자들이 주체로 변모한 데 반해 엘리트 중심의 역사 서술이란 한계가 자리했다.
  • 이어 민중신학의 갈래에서 신학적 관점을 교회사에 연결해 엘리트 주의를 극복하고 여성, 천민, 피지배 계층이 역사의 주체라는 관점으로 교회사를 서술하는 민중신학사관이 발전했다. 그러나 여기에도 한계가 있으니, 주체로 자리할 대상들의 진술 기록이 많이 남아있지 않다는 것이다. 민중교회사관에 입각해서 바라보면 관변 사료 중심이기보다는 미시사, 생활사, 문화사 등 새로운 방법론을 통해 연구를 재구성하는 과제가 남아 있다.

2. 디지털인문학과 교회사의 연계

  • 정보 기술 환경에서 창조적인 인문학 활동을 전개하는 디지털인문학을 교회사 연구에 접목한 사례가 2019년 1학기 <>수업이다.


3. 선교사 편지 DB를 통한 미시사 연구의 가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