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성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관)
(어재연)
28번째 줄: 28번째 줄:
 
=='''어재연'''==
 
=='''어재연'''==
  
어재연(魚在淵, Eo Jae yeon) 조선후기 공충도병마절도사, 회령부사, 병조판서지삼군부사 등을 역임한 장수.<br/>
+
어재연(魚在淵, Eo Jae yeon) 조선후기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02163&cid=40942&categoryId=33383 공충도병마절도사],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77330&cid=46622&categoryId=46622 회령부사],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70106&cid=40942&categoryId=33383 병조판서지삼군부사] 등을 역임한 장수.<br/>
본관은 함종(咸從). 자는 성우(性于). 어용인(魚用仁)의 아들이다. 1841년(헌종 7) 무과에 급제, 공충도병마절도사가 되었다. 1866년 프랑스 로즈(Roze,P.G.)함대가 강화도를 침략하였을 때(병인양요) 병사를 이끌고 광성진(廣城鎭)을 수비하였다. 이어 회령부사가 되어 북쪽 변경지방의 비적을 토벌, 치안을 확보하였다. 또한 이 때 장시(場市)를 개설하는 등 변경 무역을 활성화하였다. 1871년 미국 아시아함대의 강화도 내침으로 신미양요가 발생하였다. 6월 1일 손돌목[孫乭項]포격사건이 발생해, 한미간에 최초의 군사충돌이 일어났다. 이를 보고하자 진무중군(鎭撫中軍)에 임명되어 광성보(廣城堡)로 급파되어 600여 명의 군사를 거느리고 광성보에 부임, 미군과 대치하였다. 6월 10일 미군은 강화도상륙작전을 전개, 초지진(草芝鎭)을 점거하였다. 6월 11일 덕진진(德津鎭)을 함락한 미군은, 마지막으로 광성보공략에 나섰다. 이 때 광성보에 수자기(帥字旗)를 게양하고 침공해 오는 미군을 격퇴할 태세를 취하였다. 미군은 광성보에 대한 수륙양면작전을 개시해서, 해상에서는 함포사격, 지상에서는 야포사격으로 초토화작전을 전개하였다. 드디어 광성보로 돌입한 미군과 어재연군 사이에는 육박전으로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다. 어재연은 임전무퇴의 결의로 칼을 손에 잡고 적을 무찔렀고, 대포알 10여 개를 양손에 쥐고 적군에 던져 항전하다가 장렬하게 전사하였다. 병조판서지삼군부사(兵曹判書知三軍府事)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충장(忠壯)이다. <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C%96%B4%EC%9E%AC%EC%97%B0&ridx=2&tot=6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어재연']</ref>
+
본관은 [https://terms.naver.com/list.nhn?cid=44621&categoryId=44621 함종(咸從)]. 자는 성우(性于). 어용인(魚用仁)의 아들이다. 1841년(헌종 7) 무과에 급제, 공충도병마절도사가 되었다. 1866년 프랑스 로즈(Roze,P.G.)함대가 강화도를 침략하였을 때([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02207&cid=40942&categoryId=31778병인양요]) 병사를 이끌고 광성진(廣城鎭)을 수비하였다. 이어 회령부사가 되어 북쪽 변경지방의 비적을 토벌, 치안을 확보하였다. 또한 이 때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60266&cid=47306&categoryId=47306 장시(場市)]를 개설하는 등 변경 무역을 활성화하였다. 1871년 미국 아시아함대의 강화도 내침으로 신미양요가 발생하였다. 6월 1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725093&cid=49345&categoryId=49345 손돌목[孫乭項]포격사건]이 발생해, 한미간에 최초의 군사충돌이 일어났다. 이를 보고하자 진무중군(鎭撫中軍)에 임명되어 광성보(廣城堡)로 급파되어 600여 명의 군사를 거느리고 광성보에 부임, 미군과 대치하였다. 6월 10일 미군은 강화도상륙작전을 전개,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47128&cid=40942&categoryId=33537 초지진(草芝鎭)]을 점거하였다. 6월 11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43376&cid=46656&categoryId=46656 덕진진(德津鎭)]을 함락한 미군은, 마지막으로 광성보 공략에 나섰다. 이 때 광성보에 [https://ko.wikipedia.org/wiki/%EC%96%B4%EC%9E%AC%EC%97%B0_%EC%9E%A5%EA%B5%B0%EA%B8%B0 수자기(帥字旗)]를 게양하고 침공해 오는 미군을 격퇴할 태세를 취하였다. 미군은 광성보에 대한 수륙양면작전을 개시해서, 해상에서는 함포사격, 지상에서는 야포사격으로 초토화작전을 전개하였다. 드디어 광성보로 돌입한 미군과 어재연군 사이에는 육박전으로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다. 어재연은 임전무퇴의 결의로 칼을 손에 잡고 적을 무찔렀고, 대포알 10여 개를 양손에 쥐고 적군에 던져 항전하다가 장렬하게 전사하였다. 병조판서지삼군부사(兵曹判書知三軍府事)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충장(忠壯)이다. <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C%96%B4%EC%9E%AC%EC%97%B0&ridx=2&tot=6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어재연']</ref>
  
 
==='''Eo Jae Yeon'''===
 
==='''Eo Jae Yeon'''===
72번째 줄: 72번째 줄:
 
==='''손독목돈대'''===  
 
==='''손독목돈대'''===  
 
==='''광성포대'''===  
 
==='''광성포대'''===  
==='''용두돈대'''===  
+
==='''용두돈대'''===
 
+
 
+
 
+
 
+
 
+
 
+
 
+
 
+
 
+
 
+
  
 
=='''사진<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C%96%B4%EC%9E%AC%EC%97%B0&ridx=2&tot=6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강화 광성보' 사진]</ref>'''==
 
=='''사진<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C%96%B4%EC%9E%AC%EC%97%B0&ridx=2&tot=6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강화 광성보' 사진]</ref>'''==

2019년 5월 7일 (화) 11:34 판

Project Home



개관

광성보는 덕진진, 초지진, 문수산성 등과 더불어 강화해협을 지키는 중요한 요새이다. 고려가 몽고 침략에 대항하기 위하여 강화로 도읍을 옮기면서 1233년부터 1270년까지 강화외성을 쌓았는데, 이 성은 흙과 돌을 섞어서 쌓은 성으로 바다길을 따라 길게 만들어졌다. 광해군 때 다시 고쳐 쌓은 후 효종 9년(1658)에 광성보가 처음으로 설치되었다. 숙종 때 일부를 돌로 고쳐서 쌓았으며, 용두돈대, [오두돈대]], 화도돈대, 광성돈대 등 소속 돈대가 만들어 졌다. 영조 21년(1745)에 성을 고쳐 쌓으면서 성문을 만들었는데 ‘안해루’라 하였다. 이곳은 1871년의 신미양요 때 가장 치열한 격전지였다. 이 전투에서 조선군은 열세한 무기로 용감히 싸우다가 몇 명을 제외하고는 전원이 순국하였으며 문의 누각과 성 위에 낮게 쌓은 담이 파괴되었다. 1976년 다시 복원하였으며, 광성보 경내에는 신미양요 때 순국한 어재연 장군의 쌍충비신미순의총 그리고 전적지를 수리하고 세운 강화전적지, 수리한 것을 기록한 비석 등이 건립되었다.[1]

영문개관

In 1618 in the 10th year of the Gwanghaegun of the Joseon Dynasty, it was renovated and installed Gwangseongbo in 1656. it’s Dondae was bulit in 1679. Dondae of Odu, Hwado, Gwangseong and Odujeong artillery unit was belonged to it. It was rebuilt as a complete stone fortress in 1745 and the gate was also installed. Gwangseongbo was the fiercest battle of the time. On April 24, 1871, when U.S. Rogers led a fleet of 1,230 troops to invade upon demand for commerce, after the landing force occupied Chojijin and Deokjinjin, they deploy hand-to-hand fight in Gwangseongbo. After this battle, Anhaeru, Gwangseongdon, Son Dolmok, Youngudon, and the tomb of General Eo Jae yeon who died in the war were all repaired and contructed on the site of the site purificatiion. Gwangseongbo is currently designated as Historic Site. [2]

어재연

어재연(魚在淵, Eo Jae yeon) 조선후기 공충도병마절도사, 회령부사, 병조판서지삼군부사 등을 역임한 장수.
본관은 함종(咸從). 자는 성우(性于). 어용인(魚用仁)의 아들이다. 1841년(헌종 7) 무과에 급제, 공충도병마절도사가 되었다. 1866년 프랑스 로즈(Roze,P.G.)함대가 강화도를 침략하였을 때([1]) 병사를 이끌고 광성진(廣城鎭)을 수비하였다. 이어 회령부사가 되어 북쪽 변경지방의 비적을 토벌, 치안을 확보하였다. 또한 이 때 장시(場市)를 개설하는 등 변경 무역을 활성화하였다. 1871년 미국 아시아함대의 강화도 내침으로 신미양요가 발생하였다. 6월 1일 손돌목[孫乭項포격사건]이 발생해, 한미간에 최초의 군사충돌이 일어났다. 이를 보고하자 진무중군(鎭撫中軍)에 임명되어 광성보(廣城堡)로 급파되어 600여 명의 군사를 거느리고 광성보에 부임, 미군과 대치하였다. 6월 10일 미군은 강화도상륙작전을 전개, 초지진(草芝鎭)을 점거하였다. 6월 11일 덕진진(德津鎭)을 함락한 미군은, 마지막으로 광성보 공략에 나섰다. 이 때 광성보에 수자기(帥字旗)를 게양하고 침공해 오는 미군을 격퇴할 태세를 취하였다. 미군은 광성보에 대한 수륙양면작전을 개시해서, 해상에서는 함포사격, 지상에서는 야포사격으로 초토화작전을 전개하였다. 드디어 광성보로 돌입한 미군과 어재연군 사이에는 육박전으로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다. 어재연은 임전무퇴의 결의로 칼을 손에 잡고 적을 무찔렀고, 대포알 10여 개를 양손에 쥐고 적군에 던져 항전하다가 장렬하게 전사하였다. 병조판서지삼군부사(兵曹判書知三軍府事)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충장(忠壯)이다. [3]

Eo Jae Yeon

  • the life story of Eo Jae Yeon
1823 He was born.
1841 He passed the military service examination and became an Gongchungdobyungmajerdosa (commander of army).
1866 Byeongin Yangyo broke up and defended at Gwangseongbo.
1871 During Byeongin Yangyo, he was recommended to Samgunboo (the government office in charge of military affairs) 
and dispatched to Sunmoo-young as a general.
1871 During Shin Mi Yangyo in Gwangseongbo, he was killed by a gunshot wound by James Doherty.
After his death, he was promoted to Byeongjopanseo Jisamgunbusa.
(Leader of Byeongjo, which was in charge of military affairs.)
1988년 김형모 作[4]
  • Achievement (related to Ganhwa)

Shin mi Yangyo (United States-Korea War of 1871)

Shin mi Yangyo (United States-Korea War of 1871) The war situation was not good when United States-Korea War of 1871 occurred as the U.S. forces had occupied the Chojijin and Deokjinjin fortresses and attacked Gwangseongbo, the main fortress. On June 11, 600 Korean soldiers, who were at the defence site in Gwangseongjin, struggled to fight the U.S. general offensive that took over Deokjinjin. As he was pushed from Gwangseongjin to the Son Dol Mok-dondae Fortress, General Eo Jae-yeon prepared for the final battle with 350 soldiers under his command. U.S. and Joseon troops engaged into a fierce battle of in Son Dol Mok-dondae Fortress . General Eo Jae-yeon led the battle against the U.S. on both water and land, fighting without backing down until the very end, before he was shot by the U.S. marine officer James Doherty. In the battle, the Joseon military suffered a crushing defeat, with 53 soldiers killed, 100 killed and 20 captured. However, the U.S. military, which praised the Joseon soldiers for their persistent battles, politely buried the bodies of the officers, including those of the officer's staff. While his was still alive, General Eo Jae Yeon, he erected a monument as a tribute to the loyalty of his two brothers - Eo Jae-soon and General Eo Jae-yeon.[5]


광성돈대

광성돈대(廣城墩臺)는 광성보에 소속된 3개 돈대중 하나로서 숙종 5년(1679) 함경도, 황해도, 강원도의 승군 8,000명과 어영군 4,300명이 40일만에 완공하였다한다. 1977년 포좌 4개솟와 포 3문이 복원 설치되었다. 대포는 홍이포라고도 하며 사정거리 700M로서 포알은 화약의 폭발하는 힘으로 날아가나 포알 자체는 폭발하지 않아 위력은 약하다. 병자호란에도 사용하였다고 전한다. 소포는 사정거리 300M로서 포알은 대포와 같다. 대포는 조준이 안되나 소포는 조준이 된다. 작은 것은 불량기라 하며 프랑스군이 쓰던 것이라 한다.


Gwangseong-Dondae

This is one of three batteries that belonged to Fort Gwangseongbo. It is aid to have been built in 1679 during the reign of king Sukchong(r. 1674-1720) of Choson(1392~1910) by 4,300 troops and 8,000 monks mobilized from the hamgyong-do, Hwanghae-do and kangwon-do provinces and to have taken 40 days to construct. It was restored in 1977. The large guns, called hong-ip'o have a range of 700M, They were used to fire non-exploding canon balls. The guns are said to have been used in battles during the 1637 Ching Chinese invasion. The small guns have aiming devices and a range of 300M. They are said to have been left by troops of the French Asiatic Squadron that come to Korea in 1866 to take punitive action against Korea for the suppression of Catholicism and the killinig of nine French missionaries.

신미양요순국무명용사비

신미순의총

손독목돈대

광성포대

용두돈대

사진[6]

지도

영상

출처

  1. 문화재청 '강화 광성보'
  2. 'GGHS 2019 Winter - Team 10'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어재연'
  4. 강화전쟁박물관 '어재연 초상'
  5. 'GGHS 2019 Winter - Team 10'
  6.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강화 광성보' 사진
  7. TVN드라마 '미스터션샤인'

기여

일자 역할 이름 전공
2019년 4월 편집 및 정리 전준영 인문정보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