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참골화문석(등메) 문양/제작방법

DH 교육용 위키
Sharondesig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9년 6월 26일 (수) 00:44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등메의 재료인 참골왕골과는 달리 대궁이가 똥글똥글하고 가늘며 ‘조리풀’로도 불리는 일년생풀로 논두렁에 덤불진 자연생골 즉 ‘돌골’을, 그 돌골을 물이 마르지 않는 무논에 떠다 옮겨 1년을 잘 가꾸어 부들부들한 참골이 되게 한 후에, 기본 7가지 색상으로 물을 들인 후 먼저 돗틀을 사용하여 은경밀직법으로 작업한 백석(白席)을 제작하고 물들인 참골로 무늬를 덧입힌 후에, 다음에는 뒤에 부들기직을 대고, 가장자리에 남색 모단(毛緞)으로 선둘러 꾸며 완성된다.

해설

본 내용은 1961년 5월 3일, 언론인이자 문화재위원인 예용해 기자가 당시 마지막 남은 등메 장인 3명 중 1명인 이산룡(李山龍, 58세)씨와 한 인터뷰를 바탕으로 하고 그 외 찾은 자료를 추가하여 작성되었다.
등메는 백석(白席)을 만든 후 무늬를 놓는데, 1961년 당시에 강화 교동도에는 백색을 만드는 사람은 2명, 무늬를 놓는 고로(古老)는 이씨 1명만 생존하였다고 한다. [1]

등메 재료 손질

등메의 재료인 참골왕골과는 달리 대궁이가 똥글똥글하고 가늘며 ‘조리풀’로도 불리는 일년생풀이다.

  • 교동 논두렁에 덤불진 자연생'골' 즉 돌'골’을, 그 돌'골'을 물이 마르지 않는 무논에 떠다 옮겨 1년을 잘 가꾼다.
  • 다음해 한 해 공을 들이면 부들부들한 참골이 되어 쓸 만하게 된다. 손이 뻣뻣한 농군에게 갑자기 글꾼 행세를 시켜도 안되는 이치처럼, 돌'골'을 바로 사용하지 않고, 1-2년 공을 들여 가꾼 후에 사용 가능하다.
  • 참골은 살구꽃 봉오리가 필까말까 할 때 옮겨 심는다.
  • 거름을 주고 잘 가꾸어, 하지가 선 지 열흘만에 날씨가 좋은 날을 가려서 베어 삼(麻)을 찌듯 가마솥에 물을 끓여 그 물에 휘둘러댄다.
  • 다음에는 볕에 말리면 그 빛깔이 푸르다. 이를 꼭 묶어두었다가 음력 7, 8월 이슬이 내리면 우물에 짚 축이듯 축여서 이슬을 맞히고 볕에 바래면 뽀얗게 표백이 된다.
  • 다음은 긴 것, 짧은 것, 중 것 등 ‘채’를 고른다.

(주:당시에도 등메를 찾는 사람이 없어, 아무도 골을 가꿀 생각을 하지 않아 위의 방법으로 재료를 준비해야 한다고 이산룡씨가 제안하였다)

등메 기본 색상

무늬는 골에 물감을 들이는데 그 기본색은 다음의 일곱 색이다. 제대로 색을 내기란 오랜 숙련을 필요로 한다고 한다.

  • 적 : 꽃분홍에 노랑을 잠깐 곁들여야 한다.
  • 청 : 파랑에 노랑을 곁들인다.
  • 자주 : 자줏물을 그대로 들인다.
  • 황 : 노랑에 분홍을 곁들인다.
  • 남 : 남물에 들인다.
  • 흑 : 자주에 분홍을 곁들여야 한다.
  • 백 : 참외를 먹을 음력 7월, 논두렁에 나는 ‘빽빽이풀〔일명 마령(馬鈴)〕’을 낫끝으로 벤다. 볕에 말린 다음 3, 4일 이슬을 맞혀 바래면 배꽃처럼 희어진다. 줄이슬을 맞히면 못쓴다.

(주:어떤 천연재료를 활용하여 각각의 색상을 염색하였는지 언급되지 않았다)

백석(白席) 제작

등메는 먼저 백석을 제작한 후에 문양을 덧입히는 방식으로 백석 만드는 사람과 무늬 놓는 사람이 엄격히 분업되어 있다. 반면, 현재 강화 왕골화문석은 자리와 문양을 함께 만들어간다.

  • ‘바디’는 참나무로 만든 ‘외올닥이바디’로 교동 것이라야 하며, 외지 것은 쓸 수가 없다(주:이유는 특별히 언급되지 않았다).
  • 가마니틀 비슷하게 생긴 ‘돗자리틀(돗틀)’에 먼저 ‘날실’을 건다.
  • 날실은 ‘어저귀’ 껍질을 벗겨서 물레로 날을 자은 것이다.
  • 날실 사이에 ‘바늘대’로 골을 걸어서 좌우 각 두 번씩 네 번을 넣어 바디로 다져 짜올라가는데, 이렇게 된 것을 백석(白席)이라고 한다.

(주:좌우로 2번씩 4번을 왔다갔다 작업한 후에, 위에 있는 바디로 눌러 아래쪽에 납작하게 밀착한 후 다시 작업하는 방식으로 보인다)

등메 문양

염색이 끝나면 백석을 잡고 앉아서 두 손에 송곳을 쥐고 깁실같이 가는 골과 골 사이를 버르집어 벌려서 채색을 한 골을 끼우고는 엄지손톱으로 잘라 ‘연매’한다.
골고루 다 갖춘 무늬는 십장생문(十長生紋), 호문(虎紋), 만화문(萬花紋)이고, 얕은 것으로는 색칠자(色七字), 흑칠자(黑七字), 색오자(色五字) 흑오자(黑五字)무늬가 있다.

  • 십장생문석(十長生紋席) : 백석에 먼저 가장자리를 난간문으로 두르고, 위로부터 산과 칠색운(七色雲)ㆍ백학ㆍ황학, 바위 위에 송(松)ㆍ죽(竹)ㆍ사슴 한 쌍과, 물을 안은 수진거북과 산을 안은 산진거북, 불로초, 물의 순으로 무늬를 놓는다. 무늬를 놓는 데 보름을 잡아야 한다.
  • 호문석(虎紋席) : 백석에 난간문을 치고 위로부터 소나무, 바위 아래로 까치 한 쌍을 날게 하고 바위틈에 불로초 서너 대궁이가 돋아나는데, 입을 벌린 호랑이가 험상궂게 웅크리고 앉아 있다.
  • 만화문석(萬花紋席) : 백석에 난간무늬를 치고 갓집을 지어 속에 수(壽)ㆍ복(福)ㆍ강(康)ㆍ녕(寧)의 네 글자를 넣고, 아래로 팔엽(八葉)꽃, 석류, 봉황, 사방이 막힌 단수복자(單壽福字)를 놓는다. 이 등메는 신랑, 신부가 쓰는 것이다.
  • 색칠자문석(色七字紋席) : 색으로 수ㆍ복ㆍ강ㆍ녕과 황학, 백학을 놓고 단수복을 들인 것으로 늙도 젊도 않은 내외가 까는 것이다.
  • 이하 흑칠자, 색ㆍ흑오자 등 문석도 색칠자문석과 대동소이하다. 이들 얕은 무늬는 일주일이면 된다.

(주:무늬를 제작하는 시간은 작업하는 속도가 대단히 빠른 이씨에게 해당하며, 현재 기준으로 하면 안될 것으로 여겨진다)

등메 완성

  • 백석에 위와 같은 방식으로 무늬를 놓은 다음에는 뒤에 부들기직을 댄다.
  • 가장자리에 남색 모단(毛緞)으로 선둘러 꾸미면 완성된다.

시각자료

사진

출처

  1. 예용해전집1(인간문화재), 등메장, 대원사, 1997.06.07 http://www.krpia.co.kr/viewer?plctId=PLCT00005018&tabNodeId=NODE04209736&nodeId=NODE04210444

기여

일자 역할 이름 전공
2019년 6월 정리 및 편집 손형남 인문정보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