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대지주

DH 교육용 위키
이수민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9년 6월 17일 (월) 16:54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강화지역의 농업조건

강화도는 부속도서 면적을 제외하고 우리나라에서 다섯번째로 큰 섬이며, 토지면적은 총 41만 732제곱킬로미터이다. 그 중 논이 12만ㄴ 8582제곱 킬러미터, 벼농사를 중심으로 한 지주경영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강화는 조선시대부터 수로를 통하여 지바으이 물자를 서울로 대량 수송하는 수로 유통경제의 중심지였다. 또한 인천이 개항하면서 경기지역 주요 쌀 생산지인 강화는 미곡상인들이 미곡을 수매하여 개항장 미곡무역상에게 전매하기에 가장 용이한 지역으로 부상되었다. 따라서 개항 후 강화지역의 지주들은 미곡 무역을 적절히 이용하였으며 미곡상인들도 농촌에서 미곡을 수매하여 이를 무역상에 전매함으로써 부를 모으고 이를 다시 토지에 투자함으로써 대지주가 되기도 하였다.

강화지역의 농업생산이나 지주경영은 국내외의 유통경제의 발달과 깊은 관계가 있다. 이에 따라 한말 일제하 지주제 변동문제와 관련하여 강화 김씨가, 강화 홍씨가의 지주경영에 대해서 일찍부터 주목되어왔다. 이들이들 지주들의 농업경영은 기본적으로 전통적 지주제 형태를 취하였으며 일제의 침략과 더부어 농민에 대한 수탈도 강화되었다. 1920년대 들어 일제가 산미증식계획을 실시하면서 지주들은 일본 자본주의 체제하의 지주로 재편성되었으며 식민지 농업정책의 비호하ㅎ에 확대 발전되었다 반면 일제하 절대 다수의 농민층은 농업생산비는 물론이고 생활비마저 잠식당하는 고율의 지대에 허덕였고 결국 농가경제의 파탄은 피할 수 없는 현상이었다. 따라서 이들 농민들은 생계보충을 위한 외지벌이에 나서거나 그것도 여의치 않을 경우 결국 고리대에 의존하는 채무농으로 전락하였다. 당시 대부분의 농민들은 고율의 소작료를 지불해야만 했던 가난한 소작농이었다. 일제하 강화지역의 농촌사회의 실정도 만성적인 빈궁화가 진행되었다. [1]

제 2절 강화지역 지주와 농업경영 강화는 비록 도서지역이지만 토지가 광활하여 경지면적으로 자작한다면 그 소출만으로도 이 지역 농민들이 3년을 호구하는 것이 가능하여다. 그러나 경작지의 대부분은 소작농에 의해 경작되었고 지주들은 고율 소작료를 수탈하고 있었다. 강화지역 지주들은 자경지를 경작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대부분의 농지를 고율소작료에 의지하는 소작제로 경영하고 있었다. 앞에서 본 바와 같이 1926년 당시 강화의 총경지 면적은 논이 1만 1699ha이고, 밭이 4357ha, 합계 1만 6056ha였다. 그 가운데 자작지의 비율은 41.2%였고 소작지의 비율은 58.7%이다. 이로 보아 강화지역은 남부지역보다는 자작지의 비율이 높은 편에 속하였다. 그렇지만 약 60%의 경지는 소작농에 의해 경작되었고 이들 경작지를 소유한 지주들이 광범위하게 존재하고 있었다 특히 강화는 논의 비율이 높은 편이었고, 강화 김씨가나 강화 홍씨가의 사례연구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벼농사 중심이었다. 김씨가의 경우 농지경영의 규모는 밭농사에 대한 벼농사의 비율이 20:80, 10:90이었고 홍씨가의 경우에는 비율이 97:3, 95.5로 그 격차가 더욱 컸다. 그렇기 때문에 일제하 강화에는 벼농사를 지주제로 경영하는 지주층이 광범위하게 존재하고 있었다. 그럼 우선 일제하 강화지역의 지주 명단이 자세히 소개된 명부를 통해 살펴보자. 다음 표는 1937년 6월 말 현재 30ha 이상 소유한 한국인 및 일본인 대지주 명부이다.

표 삽입, [2]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존재하지만, <references/> 태그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