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문화 연구와 디지털 스토리텔링

DH 교육용 위키
윤미진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9년 6월 9일 (일) 14:39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기말 보고서 목록으로 돌아가기


문제 제기와 한국교회사 연구의 과제

  • 소제목에서 사용한 한국교회사란 명칭은 일반 역사학 분야에서 주로 사용하는 실증적 기독교사의 관점에서 벗어나 신학적 기독교사로 접근하려는 의도를 나타낸다. 발표자는 2018년 2학기 <한국현대교회사> 수업을 통해 한국교회사를 살펴보며, 한국교회 미시사 연구의 한계점을 발견했다. 백낙준의 선교사관과 민경배의 민족사관의 뒤를 이은 민중신학사관의 흐름 속에서 역사 기술의 주체는 선교사에서 엘리트 그리고 민중으로 변모해갔지만 서술 주체의 관련된 자료가 충분히 남아있지 않음을 알게 된 것이다.
  • 따라서 한국학의 한 갈래로서 선교사 중심의 개신교사 서술과 엘리트 위주의 서술을 넘어 기독교를 수용하는 자들과 토착 그리스도인들의 진술과 고백 중심 연구의 필요성을 실감했으며 이를 통한 생활사, 문화사 등 기독교 문화 연구로 현대교회사뿐만 아니라 한국교회사를 재구성해야 할 과제를 발견했다.

교회사 연구와 디지털 인문학의 연계

  • 한편 김현, 안승준, 류인태가 학술지 『횡단인문학』을 통해 발표한 <데이터 기반 인문학 연구 방법의 모색- 문중 고문서 아카이브와 디지털 인문학의 만남>에 따르면 디지털 인문학이란 ‘단순히 인문학 자료를 디지털화 하거나 연구 결과물을 디지털 형태로 간행하기보다, 정보 기술 환경에서 보다 창조적인 인문학 활동을 전개하는 것’이다.
  • 디지털 인문학 연구의 공통점은 인간의 언어로만 기술했던 인문 지식의 요소들을 기계가독적(machine readable) 데이터로 전환해 컴퓨터가 정보 해석을 도울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디지털 인문학을 교회사 연구에 접목한 시도가 바로 2019년 1학기에 개설한 <선교사 편지 DB를 통한 재한선교사 연구>이다. 1885년부터 1897년까지 언더우드가 엘린우드를 비롯한 여러 인물들과 주고 받은 편지를 원문과 번역문 중심으로 데이터화 하는 것을 기반으로 인물, 단체, 공간, 사건 등의 자료를 데이터로 구체화 하고, 네트워크 그래프를 작성하는 순으로 수업을 진행했다.
  • 참여한 학생들은 수업 전반을 위키 문법 학습과 데이터 툴에 익숙해지는 데 할애해 연구 방면에 집중할 수 없었다는 데 아쉬움을 느낀 반면 데이터를 축적하며 이전에는 명확하지 않았던 정보를 노트해 두었다가 정확하게 기재해내는 과정 속에 기존 인문학 연구 방식과는 차별화된 디지털 인문학의 장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즉, 불명확한 자료라도 태그를 남겨두었다가 언제든 되돌아가 지식을 접목하고, 수정하는 과정을 반복할 경우 플랫폼의 이전 활동의 모든 기록을 찾아보는 편리함과 기존 데이터를 연동할 수 있는 즉시성의 편리함을 누린 것이다. 또한 클래스(공동의 속성을 가진 개체들의 범주)를 나누고, 개체 간 관계와 관계 속성을 쉽게 읽어내는 네트워크 그래프를 작성하는 과정을 통해 정보화의 대상이 되는 세계를 전자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구성한 데이터 기술 체계인 온톨로지 설계를 시도해볼 수 있었다. 네트워크 그래프는 연구자 뿐만 아니라 데이터에 접근하는 대중들이 시각화 된 자료를 손쉽게 해석할 수 있다는 강점을 지녀 연구 분야 뿐만 아니라 교육, 스토리텔링 등 다양한 연구 분야에 접목할 경우 일어날 시너지를 가늠해볼 수 있었다.

선교사 편지 DB를 통한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가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