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6. 망도서(望島嶼)
DH 교육용 위키
回首西南海色長 (회수서남해색장) 고개 돌려 서남쪽 보니 바다 넓게 펼쳐있고,
浮浮島嶼摠環疆 (부부도서총환강) 떠 있는 섬들도 모두다 우리 강토.
列星半落靑天外 (열성반락청천외) 열 지은 별들이 하늘 밖으로 기우니,
點點如碁一局張 (점점여기일국장) 점점이 늘어선 모습 한판의 바둑판 같구나.
○ 정상에 올라 서남쪽을 바라보면 강화부의 14개의 섬이 바둑처럼 펼쳐져 있다.
○ 14도는 신도(信島), 시도(矢島), 모도(茅島), 매음도(媒音島), 사도(蛇島ㆍ거주민은 없고 산에는 대나무가 있다), 석모도(席毛島), 미 법도(彌法島), 서검도(西黔島), 동검도(東黔島), 말도(唜島), 볼음도(乶音島 ; 혹은 望島라고도 한다. 강화부의 향교는 예전에는 있었지만 지금은 터와 위전만이 남아있다.), 아차도(阿此島) 등이 있다.
○ 유수 이민서(李敏叙)의 시는 다음과 같다.
輕颷拂拂送歸帆 (경표불불송귀범) 가벼운 바람 불어 돌아온 배 보내고
隱几超然倚半酣 (은궤초연의반감) 안석에 기대어서 초연하게 취한다네.
隔水看山迷遠近 (격수간산미원근) 물 건너 산을 보니 원근이 어지럽고
回檣轉柁失東南 (회장전타실동남) 돛대 돌려 기를 굴려 방향을 잃었다네.
日西翔鳥且千百 (일서상조차천백) 서쪽으로 나는 새 그 수는 셀 수 없지만
烟際漁舟時兩三 (연제어주시량삼) 안개에 고깃배는 몇 척이 아니 되네.
賴有府中携手客 (뢰유부중휴수객) 믿을 만한 강도부는 서로가 도와서
令人發興得窮探 (령인발흥득궁탐) 사람을 흥을 돋아 끝까지 살피네.
이 시의 제목은 ʻ주문도(注文島)ʼ이다.
○ 유수 이민서의 시는 다음과 같다.
捨舟尋小島 (사주심소도) 배 버리고 작은 섬을 찾으니
榛逕歷高低 (진경력고저) 숲속에서 오르기도 내리기도
古井荒山下 (고정황산하)황량한 산 아래엔 옛우물 있고
茅茨喬木西 (모자교목서)교목의 서쪽에는 초가가 있네
畝深誇土美 (무심과토미)깊은 이랑 좋은 토질 자랑하고
地僻類巖棲 (지벽류암서)궁벽한 곳 바위에서 사는 듯
宿昔乘桴地 (숙석승부지)예전에는 뗏목타고 다녔지만
臨風意更凄 (림풍의경처)바람 따라 처량한 이 마음
이 시의 제목은 ʻ장봉도(長峯島)ʼ이다.
○ 유수 이민서의 시는 다음과 같다.
輕颷拂拂送歸帆 (경표불불송귀범)바람 물결 치고 치니 앞의 섬이 어둡고
隱几超然倚半酣 (은궤초연의반감)쉬지 않고 밤새 돌아 배를 옮기네.
隔水看山迷遠近 (격수간산미원근)뜬 구름 없어지고 온누리가 맑아지니
回檣轉柁失東南 (회장전타실동남)밝은 달이 떠올라 배앞에 걸리네.
日西翔鳥且千百 (일서상조차천백)허공에 의지해 부요의 힘 아니 빌려
烟際漁舟時兩三 (연제어주시량삼)뜻을 얻어 진실로 실컷 노니네.
賴有府中携手客 (뢰유부중휴수객)취하여 누워서는 날새는 줄 모르고
令人發興得窮探 (령인발흥득궁탐)새벽되어 흰갈매기 나는 꿈을 꾼다네.
이 시의 제목은 ʻ상월(賞月)ʼ이다.
인물
- 이민서(1633∼1688)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이중(彛仲), 호는 서하(西河). 1683년 강화부유수가 되고, 예조·호조·이조의 판서를 역임했다.
참고
- 부요(扶搖)는 부상(扶桑)을 말한다. 즉 해 뜨는 곳에 있다고 전하는 신목(神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