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도의 종교.lst

DH 교육용 위키
Jyjy9707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9년 5월 15일 (수) 00:51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Project
h1 강화도의 종교

#Class

종교	gold	circle
중심지 	magenta star
인물	green	triangle
위치    blue circle
예식	black	ellipse
시대	orange	ellipse
문화재	brown	box
콘텐츠  silver  ellipse
신성    red    star
건물    yellow oval
부속    purple oval

#Relation
	
와_관련되다
로_유명하다 
에_위치한다
가_만들었다
을_믿는다
가_존재한다
로_기원한다
을_모신다
에_만들어졌다
로_지정됐다
이_속해있다
에_속한다
이_출연한다
에서_촬영되었다

#Nodes

부처님   신성    부처님
예수님   신성    예수님
칠성님   신성    칠성님
불교 	 종교	 불교
성공회	 종교  	 성공회		
무속	 종교  	 무속						
전등사   중심지  전등사
강화성당 중심지  강화성당
금화당   중심지  금화당
아도        인물 아도 
고요한주교  인물  고요한주교
김금화      인물  김금화
고대  시대  고대
현대  시대  현대
대한제국 시대 대한제국
관청리 위치  관청리
하점면 위치  하점면
길상면 위치  길상면
사적제424호 문화재 사적제424호
등록문화재제705호 문화재 등록문화재제705호
보물제178호 문화재 보물제178호
보물제179호 문화재 보물제179호
보물제393호 문화재 보물제393호
중요무형문화재제82-2호 문화재 중요무형문화재제82-2호
감사성찬례 예식 감사성찬례
예불 예식 예불
배연신굿 예식 배연신굿
대동굿 예식 대동굿
만신 콘텐츠 만신
영화만신 콘텐츠 영화만신
템플스테이 콘텐츠 템플스테이
한옥성당 콘텐츠 한옥성당
대웅보전 건물 대웅보전
향로전 건물 향로전
남문 건물 남문
정행당 건물 정행당
고려가궐지 건물 고려가궐지
강설당 건물 강설당
극락암 건물 극락암
종각 건물 종각
죽림다원 건물 죽림다원
관해암 건물 관해암
명부전 건물 명부저너
적묵당 건물 적묵당
종무소 건물 종무소
향헌수비 건물 향헌수비
삼랑성 건물 삼랑성
설법전 건물 설법전
약사전 건물 약사전
대조루  건물 대조루
동문 건물 동문
부도전 건물 부도전
요사채 건물 요사채
삼성각 건물 삼성각
종루 건물 종루
정족사고 건물 정족사고
취향당 건물 취향당
사제관 건물 사제관
외삼문 건물 외삼문
내삼문 건물 내삼문
십자가종루 건물 십자가종루
제대 부속 제대
소제단 부속 소제단
성수대 부속 성수대
전실 부속 전실
예복실 부속 예복실
김새론 인물 김새론
문소리 인물 문소리
류현경 인물 류현경
황화순 인물 황화순
김영순 인물 김영순
김중기 인물 김중기
류혜영 인물 류혜영
박찬경 인물 박찬경




#Links
강화성당 성공회 에_속한다
전등사 불교 에_속한다
금호당 무속 에_속한다
불교 부처님 을_믿는다
성공회 예수님 을_믿는다
무속 칠성님 을_믿는다
전등사 길상면 에_위치한다
금화당 하점면 에_위치한다
강화성당 관청리 에_위치한다
강화성당 고요한주교 가_만들었다
금화당 김금화 가_만들었다
전등사 아도 가_만들었다
불교  예불 로_기원한다
무속  대동굿 로_기원한다
무속  배연신굿 로_기원한다
성공회 감사성찬례 로_기원한다
금화당 현대 에_만들어졌다
강화성당 대한제국 에_만들어졌다
전등사 고대 에_만들어졌다
강화성당 예수님 을_모신다
금화당   칠성님 을_모신다
전등사   부처님 을_모신다
김금화 만신 로_유명하다
전등사 템플스테이 로_유명하다
강화성당 한옥성당 로_유명하다
강화성당 사적제424호 로_지정됐다
강화성당 등록문화재제705호 로_지정됐다
전등사 보물제178호 로_지정됐다
전등사 보물제179호 로_지정됐다
전등사 보물제393호 로_지정됐다
김금화 중요무형문화재제82-2호 로_지정됐다
예수님 부처님 와_관련되다
칠성님 예수님 와_관련되다
부처님 칠성님 와_관련되다
전등사 대웅보전 이_속해있다
전등사 향로전 이_속해있다
전등사 남문 이_속해있다
전등사 정행당 이_속해있다
전등사 고려가궐지 이_속해있다
전등사 강설당 이_속해있다
전등사 극락암 이_속해있다
전등사 종각 이_속해있다
전등사 죽림다원 이_속해있다
전등사 관해암 이_속해있다
전등사 명부전 이_속해있다
전등사 적묵당 이_속해있다
전등사 종무소 이_속해있다
전등사 향헌수비 이_속해있다
전등사 삼랑성 이_속해있다
전등사 설법전 이_속해있다
전등사 약사전 이_속해있다
전등사 대조루 이_속해있다
전등사 동문 이_속해있다
전등사 부도전 이_속해있다
전등사 요사채 이_속해있다
전등사 삼성각 이_속해있다
전등사 종루 이_속해있다 
전등사 정족사고 이_속해있다
전등사 취향당 이_속해있다
사제관 강화성당 이_속해있다
강화성당 외삼문 이_속해있다
강화성당 내삼문 이_속해있다
강화성당 십자가종루 이_속해있다
강화성당 제대 이_속해있다
강화성당 소제단 이_속해있다
강화성당 성수대 이_속해있다
강화성당 전실 이_속해있다
강화성당 예복실 이_속해있다
영화만신 김새론 이_출연한다
영화만신 문소리 이_출연한다
영화만신 류현경 이_출연한다
영화만신 황화순 이_출연한다
영화만신 김영순 이_출연한다
영화만신 김중기 이_출연한다
영화만신 류혜영 이_출연한다
박찬경 영화만신 가_만들었다
김금화 영화만신 이_출연한다
김금화 영화만신 이_속해있다
영화만신 금화당 에서_촬영되었다
금화당  무속  이_속해있다

#End

시각자료



주제 : 강화도 불교, 무속신앙, 개신교의 부흥과 전래양상


개요

강화도는 고대부터 한반도의 입구로써 문화나 종교가 최초로 유입되는 곳이였다. 또한 육지와 비교적 가깝지만 지리적으로 섬의 형태를 띄고 있어 종교가 융성하였다. 강화도의 종교적 장소는 선사시대의 고인돌, 단군 관련 마니산 정상에는 단군이 쌓고 제사를 지냈다는 참성단, 381년(소수림왕 11)에 아도(阿道)가 창건한 전등사, 한국 최초의 성공회 성당인 강화성당, 무형문화재이자 대동굿과 배연신굿으로 유명한 김금화의 전수관까지 시기와 모두 존재한다.



주요 노드

  • 신성 : 부처님, 하나님, 칠성님
  • 중심지 : 전등사, 금화당, 강화성당
  • 인물 : 아도(阿道), 고요한(C.J. Corfe) 주교, 김금화(金錦花)
  • 예식 : 예불, 감사성찬례, 배연신굿, 대동굿
  • 콘텐츠 : 템플스테이, 한옥성당, 영화 만신
  • 시대 : 고대, 근대, 현대
  • 인물 : 천축조사

전설에 대한 기록

  • 다섯 개의 연사(蓮寺)가 있었던 것은 1696년 『강도지』에 처음 언급됨
    • 청련(靑蓮), 홍련(紅蓮), 벽련(碧蓮), 백련(白蓮), 자련(紫蓮)
      • 1783 『강화부지』 : 홍련(紅蓮) --> 적련(赤蓮)
      • 1932 『숙수증보강도지』 : 벽련(碧蓮) --> 흑련(黑蓮), 자련(紫蓮) --> 황련(黃蓮)
  • 전설은 1783년 『강화부지』에 처음 언급됨;
    • '오색의 연꽃'
    • "이곳에 붉은 연꽃이 떨어지면 그이름을 적련사라 하였고, 흰 연꽃이면 또한 백련사라 하였다 한다. 그리하여 국정사의 동쪽에는 청련사의 터가 있는데..."
  • 전설이 이루어진 정확한 연도 '416년'은 1905년 『백련사중건기』에 처음 언급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