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중앙교회

DH 교육용 위키
Jack Choi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9년 5월 7일 (화) 22:46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Project Home



강화중앙교회

강화 세번째 개신교 교회. 홍의교회에 출석하던 주선일, 박성일, 허진일, 김봉일 등 몇몇 교인이 강화읍 천교하(현 강화읍 신문리. 신문리 144번지, 초가 6칸 반)에 초가집을 마련하고 첫 예배를 드림으로써 오늘날 강화중앙교회의 모체(잠두교회)가 되었다.1900년 9월 1일의 일이었다. 강화지역 복음 전파 8년 만인 1900년에 수도 강화읍에 드디어 교회가 세워졌다. 다음해 4월 존스 (G.H.Jones, 趙元時) 목사의 협조로 기와집 25칸, 초가집 16칸을 구입하여 교회를 현 위치로 옮겼다. 이때 소요된 상당한 금액은 존스 목사의 주선으로 미국 오하이오주 매리에타(Marietta)에 살고 있던 교인, 찰스 오토(Charless Otto)가 보내 준 기금으로 충당되었다. 이로써 8년 전 존스가 강화성에 입성하려던 꿈을 강화토착인들에 의해 이루게 되었다. 이 교회는 설립 8개월 만에 강화에서 가장 넓고 큰 예배당을 마련하게 되었으며, 강화 선교의 구심점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교회명은 1914년‘잠두교회’에서‘강화읍교회’로 변경. 1975년 11월 ‘강화읍교회’에서 ‘강화중앙교회’로 변경되었다. 1904년 '월곶교회' 개척을 시작으로 26개 교회를 직접 개척하거나 설립에 도움을 주었다.

인물

  • 김상임, 김경일, 주선일, 허진일, 최족일, 김봉일. 이살로메. 존스(조원시, 초대 담임), 박능일
  • 이동휘(강화진위대장 출신 민족주의자, 상해 임시정부 초대 국무총리), 김우제(김이제) 목사
  • 김동수, 김남수, 김영구
  • 홍승하(제4대 담임), 권신일, 김경일, 복근채, 하춘택, 박세창, 김기범, 데밍(C. S. Deming), 케이블(E. M. Cable), 손승용(제5대 담임), 이용주

인물관계


디아스포라

http://digerati.aks.ac.kr/dhlab/2019/101/%EC%B5%9C%EC%9B%90%EC%9E%AC/%EA%B0%95%ED%99%94%EB%8F%84%EC%A4%91%EC%95%99%EA%B5%90%ED%9A%8C.html

역사

  • 1900년 9월 1일 주선일, 그의 부인 박씨, 이살로메가 주도하여 주선일씨댁(천교하 기도처; 신문리 144번지, 초가 6칸 반)에서 첫 예배를 드리며 잠두교회 설립.
  • 누에머리를 닮은 잠두 언덕배기에 위치해 설립 초기에는 잠두교회라고도 불렀다. [1]
  • 1901년 제물포지방 감리사인 조원시(존스)목사의 도움으로 현재의 신문리 위치에 기와집 25칸과 초가집 16칸을 사서 잠두교회 예배당을 봉헌
  • 1901년 교회부설로 교육기관인 잠두의숙(蠶頭義塾)을 설립. 첫 숙장(塾長)으로 과거 서당의 훈장을 했던 박능일 전도사를 임명
  • 1904년 월곶교회 개척을 시작으로 26개의 교회를 개척, 설립
  • 1907년 8월 진위대 병정해산과 관련된 소동을 잠두교회 교인이 선동했다는 일진회의 모함으로 김동수, 김남수권사, 김영구 3형제가 일제에 의해 순교
  • 1908년 12월 2일 교회부설 '사립제일합일학교' 설립
  • 1909년 4월 9일 교회부설 '제일합일여학교' 설립
  • 1914년 7월 강화최초 서양식 벽돌교회를 신축 봉헌, 교회명칭을 '강화읍 교회'로 변경 한국개신교회 최초의 교회역사책 '강화읍 잠두교회역사'를 기록
  • 1934년 4월 구(舊) 목사관을 준공
  • 1951년 10월 15일 복민의숙(강화실업고등기술학교) 개교
  • 1958년 4년 9일 교회가 분열되어 '성광교회'설립
  • 1964년 3월 3일 교회부설 '잠두유치원'개원
  • 1964년 교회후면 16평을 증축
  • 1976년 5월 '강화읍교회'에서 '강화중앙교회'로 변경
  • 1981년 12월 교회 전면 324평을 개축
  • 1984년 10월 제1교육관 1층(91평)을 준공
  • 1987년 6월 목사관 62평을 준공
  • 1991년 5월 27일 제1교육관 2.3층(232평)을 준공
  • 1994년 4월 17일 제28대 담임자 이민구목사 부임
  • 1998년 7월 6일 잠두유치원(3층) 150평 신축
  • 2000년 12월 31일 선교100주년 기념대성전 입당예배
  • 2001년 9월 2일 선교100주년 기념대성전 봉헌예배
  • 2002년 12월 15일 강화중앙교회 100년사 출판기념 예배

사회영향

  • 교육선교(1): 1901년 4월에 신교육 기관인 교회부설로 '잠두의숙(蠶頭義塾)'을 설립
  • 교육선교(2): 1902년 '합일여학교' 설립, 기독교 신앙에 바탕을 둔 민중교육을 시작. 이후 두 학교 하나의 학교로 통합. 오늘의 합일초등학교. 일제치하 민족운동과 한국 개화의 산실.
  • 민족교육운동: 보창학교(이동휘 권사), 유경근 속장(독립운동가)의 교회지도자와 강화중앙교회가 함께 추진. 이후 민중계몽과 독립사상으로 이어졌다.
  • 교육선교(3): 기독교 농민교육기관인 복민의숙(福民儀宿, 후에 복음학원 강화실업고등기술학교로 발전됨) 설립 운영
  • 교육선교(4): 덕신고등학교(강화읍)를 감리교 소속학교로 지정하고 기독교신앙 담당교사를 파송하는 한편 학교운영비로 매년 4,000만원씩 지원
  • 의료선교: 기독병원 설립
  • 해외선교: 영국에 지교회 킹스턴중앙교회. 필리핀, 몽골, 중국 등의 한인교회와 해외선교사를 돕고 있다.
  • 지역선교: 결식자 점심급식사업, 경로위안잔치, 환경미화원 위로연, 연간 2,000만원 상당의 장학금 지급, 침술선교봉사활동, 웨슬리 사회봉사단 활동, 불우이웃돕기 행사

위치

관련 사이트

참고문헌

『강화중앙교회100년사』이은용

출처

  1. 출처: [온누리 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