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나타운 재중동포의 상업활동과 정체성형성:가리봉동 현장연구를 중심으로

DH 교육용 위키
외대김현수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6년 5월 29일 (일) 21:33 판

(비교) ← 이전 판 | 최신판 (비교) | 다음 판 → (비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개요

저자소개

목차

표제지

목차

국문 요약 6

제1장 서론 8

제1절 문제제기 8

제2절 이론적 논의 및 기존 연구 검토 10

1.2.1. 기존 연구 검토 10

1.2.2. 이론적 논의 14

1.2.2.1. 초국가적 이주(transnational migration) 15

1.2.2.2. 트랜스로컬리티(translocality)와 정체성 18

제3절 연구 대상 및 방법 20

1.3.1. 연구 대상 20

1.3.2. 연구 방법 26

제2장 재중동포의 한국이주와 가리봉동으로의 유입 28

제1절 재중동포의 한국 이주 28

2.1.1. 이주 역사와 경로 28

2.1.2/2.2.2. 한국 정부의 재중동포 관련 정책 32

제2절 경제적 중심지로서의 가리봉동 37

2.2.1. 재중동포 밀집 거주지의 형성 37

2.2.2. 경제적 중심지로의 변화 41

제3장 상인들의 상점 운영과 전략 48

제1절 재중동포 상인의 이주 방식과 자금마련 48

3.1.1. 순환적 이주 49

3.1.2. 결혼 이주 53

제2절 재중동포 상인의 상점 운영 전략 56

3.2.1. 중국 관련 사업 선택 56

3.2.2. 가족 기반 운영과 사업 확장 60

3.2.3. 노동력과 기술 확보의 중요한 통로인 친족 연결망 65

제3절 한국인 상인의 참여 69

3.3.1. '중국성'의 적극적 차용 69

3.3.2. 재중동포의 고용과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노력 74

제4장 재중동포의 상업 활동을 통한 정체성의 형성 77

제1절 가리봉동 지역의 의미화 77

4.1.1. '제 2의 고향' 77

4.1.2. 경제적 생존의 기반 83

제2절 재중동포의 트랜스로컬 정체성 형성 86

제5장 결론 93

제6장 참고 문헌 96

ABSTRACT 102

표 차례

〈표 1〉 재중동포 상점 운영자 23

〈표 2〉 한국인 상점 운영자 23

〈표 3〉 가리봉동의 중국 관련 상점 분포 46

〈표 4〉 J씨 상점에서 판매하는 중국 관련 식료품 예시 72

〈표 5〉 가리봉동 중국 음식점의 상호와 상점 운영자의 출신 지역 79

그림 차례

〈그림 1〉 가리봉동 중국 관련 상점 밀집 지역 25

〈그림 2〉 국내 중국동포 주거지 이동 현황 44

〈그림 3〉 가리봉동 중국 관련 상점 밀집 지역 전경 45

〈그림 4〉 가리봉동 중국 관련 상점 업종별 분포 47

〈그림 5〉 가리봉동 중국 식료품점 72

〈그림 6〉 가리봉동 중국 음식점 간자체 간판 78


각주


관련항목

S(객체1) V(관계) O(객체2)
문헌 A는_B를_저술했다 인물 or 단체 or 상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