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신
DH 교육용 위키
메타데이터
- 타입: 인물
- 한글명: 이순신
- 한자명: 李舜臣
- 영문명: Yi Sun-sin
- 생년: 1545년
- 몰년: 1598년
- 역할: 조선 중기 무관
- 편자: 홍정욱
내용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여해(汝諧), 시호는 충무(忠武)이며, 한성 출신이다. 문반 가문 출신으로 1576년(선조 9년)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그 관직이 동구비보 권관, 훈련원 봉사, 발포진 수군만호, 조산보 만호, 전라좌도 수군절도사를 거쳐 정헌대부 삼도수군통제사에 이르렀다.
본인 스스로에게 엄격하고 청렴한 생활을 하고 깊은 효심을 지닌 선비의 모범으로 평가된다. 장수로서는 임진왜란 때 조선의 삼도수군통제사가 되어 부하들을 잘 통솔하는 지도력, 뛰어난 지략, 그리고 탁월한 전략과 능수능란한 전술로 일본 수군과의 해전에서 연전연승하여 나라를 구한 성웅(聖雄)으로 추앙받고 있다. 노량 해전에서 전사한 뒤 선무공신 1등관에 추록되고 증 의정부우의정에 추증되고 덕풍군에 추봉되었다가, 광해군 때 다시 증 의정부좌의정에 추증되고 덕풍부원군에 추봉되었고, 정조 때에는 증 의정부영의정으로 가증(加贈)되었다.
고려 때 중랑장(中郞將) 이돈수(李敦守)의 12대손이며, 조선 초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를 지낸 이변(李邊)[1]의 후손이다. 외가는 초계 변씨(卞氏), 처가는 온양 방씨(方氏)(당시에는 상주 방씨)이다. 그의 묘는 충청남도 아산시에 있다.[2]
관련 항목
사건
인물
친족관계
- 고조부 : 이효조(李孝組)
관련 문화재
대한민국에는 이순신과 관련된 문화재와 사적이 8개가 있다.
- 이순신 유물 일괄 (보물 제326호)
- 이충무공묘 (사적 제112호)
- 한산도 이충무공 유적 (사적 제113호)
- 묘당도 이충무공 유적 (사적 제114호)
- 관음포 이충무공 전몰 유허 (사적 제232호)
- 아산 이충무공 유허 (사적 제 155호) 아산 이충무공 유허 안에는 현충사가 있다.
- 남해 충렬사 (사적 제233호)
- 통영 충렬사 (사적 제236호)
- 여수 충민사 (사적 제381호)
- 여수 석천사 [3][4]
- 정읍 충렬사
- 순천 충무사
관련서적
- 《난중일기》: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이 기술한 전쟁 일기.
- 《충무공이순신전서》: 유고 전집으로 정조의 어명으로 교서관(校書館) 관리 유득공(柳得恭)의 주도 아래 찬수를 시작하여 정조 19년(1795년)에 간행되었다.[5] 14권 8책의 활자본.
- 《이순신전》(李舜臣傳):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독립신문에서 1923년 2월에 박은식(朴殷植)이 편저하여 발행하였다.
- 《구국의 명장 이순신》: 최석남이 쓴 이순신의 전기, 이순신의 자살설을 주장하고 있다, 1992년, ISBN(13) : 9788909002318
- 《난중일기 "Das Kriegstagebuch,Nanjung Ilgi"》 《Gründel, 2013 독일 마인쯔 대학 출판사》ISBN 3-00-017418-4,
《이양숙 덕수 이씨,그륜델 ,독일어 번역, 출판 》
출전
-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 ↑ 위키백과 이순신
- ↑ 석천사
- ↑ 디지털여수문화대전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 ↑ 조선왕조실록 《충무공이순신전서를 발간하다.》, 1795-0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