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진사대부 KU
Meta Data
내용
고려 후기 정치지배세력의 하나.
「사」는 독서인을 말하며 「대부」는 정치인을 말하는 것으로, 사대부란 학자적 관료 또는 관료적 학자를 일컫는다. 이들이 등장하게 되는 것은 무신집권기였다. 정권을 잡은 무신들은 문신을 몰아낸 뒤 그 행정적 공백을 메우기 위해 지방의 행정을 담당했던 토착세력을 등용했고, 이에 그 상층부였던 향리층이 과거를 통해 상당수 중앙으로 진출, 「능문능리」의 새로운 관인층을 형성하게 된다. 하지만 이때는 무신정권에 의탁한 진출이었기 때문에 독자적 정치세력을 이루지 못했고, 일부는 원 간섭기에 권문세족으로 성장하기도 했다. 무신정권이 무너지고 원 간섭기에 들면서 신진세력은 원나라를 통해 주자학을 도입하고 국학을 중심으로 이를 연구, 보급하는 데 주력했다. 그러다가 충선왕·충목왕·공민왕 등이 당시 지배세력이었던 권문세족을 누르고 개혁을 시도할 때 그 측근세력으로 개혁에 참여하면서, 권문세족과 대립되는 하나의 정치세력으로 부각되기 시작했다. 권문세족에 의해 개혁이 저지되어 많은 탄압을 받기도 했지만, 특히 공민왕의 개혁 때 형성된 개혁세력은 조선건국세력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이들은 지방의 중소지주적 기반을 가지고 있었으므로, 농장을 확대해가는 권문세족과는 이해관계가 대립되었다. 또 권문세족이 부재지주였던 데 비해 자신의 토지를 직접 경영했기 때문에 생산력 향상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이는 고려 말 중국의 강남농법의 도입으로 농업기술의 급진적 발전을 가져온 것과도 연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