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0-700.story

DH 교육용 위키
박려정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3월 24일 (목) 02:42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Links
E0-700A	조선_고종	hasContextualElement
E0-700A	고종_어진	hasContextualElement
E0-700A 채용신 creator
E0-700A	사진-문화재청-2001-덕수궁_중화전_어좌	hasContextualElement
E0-700A	일월오봉도삽병	hasContextualElement
E0-700A 익선관  hasContextualElement
E0-700A 황룡포  hasContextualElement
E0-700A 3D-황룡포  hasContextualElement
E0-700A	원광대학교_박물관	hasContextualElement
#End

Theme

병풍에 담긴 의례의 역사

Synopsis

조선조 궁중 행사의 성격에 따라 병풍은 확연히 다르게 사용되었다. 그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병풍은 어좌 뒤에 항상 있는 오봉병, 그리고 십장생도병, 영모병풍, 모란병 등이었는데, 왕의 평소 집무실이라 할 편전에도 일월오봉병이 배설(排設)되었고 때로는 산수도병·사군자병·서예병·고사화병·오봉십장생도병·모란병 등이 둘러 쳐지기도 하였다. 왕의 휴식공간이며 생활공간인 침전에는 일월오봉병 대신 경직도·빈풍칠월도·모란도 등이 장식되기도 하였다.
조선시대 고궁의 색을 찾아서, 무늬를 찾아서...

Episode 1: 권위의 상징 - 일월오봉병
Episode 2: 왕실의 색채
Episode 3: 궁중의 문자서병
Episode 4: 모란과 국장
Episode 5: 왕실 여인들을 위한 연화병

儀軌 사용처
자경전진작정례의궤(慈慶殿進爵整禮儀軌)(1827) 大殿便次 대청御座
자경전진작정례의궤(慈慶殿進爵整禮儀軌)(1827) 中宫殿 便次 대청御座
진작의궤(進爵儀軌) (1828) 御座
진찬의궤(進饌儀軌)(1829) 明政殿 御座
진찬의궤(進饌儀軌)(1829) 慈慶殿 御座
진찬의궤(進饌儀軌)(1848) 通明殿 大殿 侍座
진찬의궤(進饌儀軌)(1848) 通明殿 야진찬시 大殿朝 侍座
진찬의궤(進饌儀軌)(1848) 通明殿 翌日회작시 御座
진찬의궤(進饌儀軌)(1848) 通明殿 翌日야연시 御座
진연의궤(進宴儀軌)(1868) 康寧殿 진찬시 大殿朝 侍座
진연의궤(進宴儀軌)(1868) 康寧殿 야연시 大殿朝 侍座
진연의궤(進宴儀軌)(1868) 康寧殿 翌日 회작시 御座
진작의궤(進爵儀軌)(1873) 康寧殿 내진작시 大殿朝 侍座
진작의궤(進爵儀軌)(1873) 康寧殿 야진찬시 大殿朝 侍座
진작의궤(進爵儀軌)(1873) 康寧殿 翌日회작시 御座
진작의궤(進爵儀軌)(1873) 康寧殿 翌日야연시 御座
진찬의궤(進饌儀軌)(1877) 通明殿 翌日회작시 御座
진찬의궤(進饌儀軌)(1877) 通明殿 翌日야연시 御座
진찬의궤(進饌儀軌)(1887) 萬慶殿 翌日회작시 御座
진찬의궤(進饌儀軌)(1892) 勤政殿 외진찬시 御座
진찬의궤(進饌儀軌)(1892) 康寧殿 내진찬시 御座
진찬의궤(進饌儀軌)(1892) 야진찬시 御座

Storytelling 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