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해진찬의궤 데이터 아카이브 편찬 계획-김현승
작성자: 김현승
목차
- 1 큐레이션 내용
- 2 정해년 진찬 소개
- 3 정해진찬의궤 강독
- 4 자료 분석
- 4.1 진찬 참여자의 참여 횟수('의주'와 '배설' 참고)
- 4.2 권1 '전교(傳敎)'에 쓰여진 인물/복장/복식 관련 내용
- 4.3 권1 '악장(樂章)'에 쓰여진 인물/복장/복식 관련 내용
- 4.4 권1 '의주'에 쓰여진 인물/복장/복식 관련 내용
- 4.5 권1 '이문(移文)'에 쓰여진 인물/복장/복식 관련 내용
- 4.6 권1 '내관(來關)'에 쓰여진 인물/복장/복식 관련 내용
- 4.7 권2 '품목(稟目)'에 쓰여진 인물/복장/복식 관련 내용
- 4.8 권2 '감결(甘結)'에 쓰여진 인물/복장/복식 관련 내용
- 4.9 권2 '채화(綵花)'에 쓰여진 참여자 머리 꽃장식
- 4.10 권2 '기용(器用)'에 쓰여진 인물/복장/복식 관련 내용
- 4.11 권3 '의위(儀衛)'에 쓰여진 인물/복장/복식 관련 내용
- 4.12 권3 '내외빈(內外賓)' 명단
- 4.13 권3 '공령(工伶)'에 쓰여진 인물/복장/복식 관련 내용
- 4.14 권3 '악기풍물(樂器風物)'에 쓰여진 복식의 소요량
- 5 참여자의 복식
- 6 참고자료
큐레이션 내용
신정왕후(1808~1890)의 팔순 잔치였던 정해년 진찬에는 행사의 주인공인 신정왕후를 비롯한 왕실인원과 손님으로 초대된 내외빈, 진찬을 준비한 진찬소 당상과 낭청, 그리고 그 옆에서 일손을 도운 궁인 및 차비, 음악을 연주한 악공, 정재무를 췄던 여령 등이 참여했습니다. 이 행사는 병풍으로 제작하여 전해지고 있어 이를 통해 연향에 어떤 기물이 사용되었고 행해진 정재가 어떤 모습이었는지 참고할 수 있습니다. 다만 궁중기록화의 특성상 왕실인원과 내빈의 모습은 생략되고 그들의 자리만 표시되어 있어 그 모습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기는 어렵습니다. 이번 큐레이션에서는 정해년 진찬이 여성을 주인공으로 한 내진찬이었던 만큼 왕실인원의 복장과 여성의 복식을 중심으로 의궤, 반차도, 병풍, 유물 등의 자료를 소개하려 합니다. 이를 통해서 조선후기 화려했던 궁중연향의 모습이 좀 더 입체적으로 보여질 수 있길 기대합니다.
정해진찬의궤 복식 지식관계망 설계
온톨로지 설계 참고
- 《2020 한양도성 타임머신》에 사용된 '정해년진찬 지식 관계망'
정해년 진찬 소개
정해진찬의궤 강독
자료 분석
- 奎14412
진찬 참여자의 참여 횟수('의주'와 '배설' 참고)
진찬 | 대왕대비 | 왕 | 왕비 | 왕세자 | 왕세자빈 | 내빈 | 외빈 | 진찬소 당상 낭청 |
---|---|---|---|---|---|---|---|---|
만경전진찬 | ○ | ○ | ○ | ○ | ○ | ○ | ○ | ○ |
만경전야진찬 | ○ | ○ | ○ | |||||
만경전익일회작 | ○ | ○ | ○ | |||||
만경전익일야연 | ○ | ○ | ||||||
만경전재익일회작 | ○ | ○ | ○ | |||||
만경전재익일야연 | ○ | ○ | ||||||
참여 횟수 | 2 | 4 | 1 | 4 | 1 | 3 | 1 | 5 |
권1 '전교(傳敎)'에 쓰여진 인물/복장/복식 관련 내용
丙戌十月十一日
傳曰 : “進饌時, 諸般擧行, 令親軍營專管爲之. 凡係儀節, 務從省約, 卽所以仰體 慈聖沖挹之意也. 外道女伶, 亦勿知委.”
고종이 대왕대비의 뜻을 받들어 지방 여령에게 알리지 말라고 함.
丁亥正月十六日
口傳下敎曰 “左命婦班首, 以貞敬夫人金氏, 右命婦班首, 以貞夫人徐氏爲之, ….”
구전하교왈 “좌명부반수, 이정경부인김씨, 우명부반수, 이정부인서씨위지, ….”
정해년 정월 16일 고종이 구두로 하교하기를 "좌명부의 반수는 정경부인 김씨로 하고, 우명부의 반수는 정부인 서씨로 한다. …."
권1 '악장(樂章)'에 쓰여진 인물/복장/복식 관련 내용
정재 목록
- 장생보연지무(長生寶宴之舞)
- 금척(金尺)
- 헌선도(獻仙桃)
- 수연장(壽延長)
- 향령(響鈴)
- 아박(牙拍)
- 보상무(寶相舞)
- 가인전목단(佳人剪牧丹)
- 연백복지무(演百福之舞)
- 무산향(舞山香)
- 무고(舞皷)
- 포구락(抛毬樂)
- 오양선(五羊仙)
- 하황은(荷皇恩)
- 춘앵전(春鶯囀)
- 향발(響鈸)
- 연화대무(蓮花臺舞)
- 첨수무(尖袖舞)
- 선유락(船遊樂)
- 검기무(劍器舞)
- 학무(鶴舞)
'향령'의 복식 관련 내용
*향령(響鈴)
|
'아박'의 복식 관련 내용
*아박(牙拍)
|
'가인전목단'의 복식 관련 내용
*가인전목단(佳人剪牧丹)
|
'향발'의 복식 관련 내용
*향발(響鈸) |
'연화대무'의 복식 관련 내용
*연화대무(蓮花臺舞)
|
'첨수무'의 복식 관련 내용
*첨수무(尖袖舞)
춤추는 사람이 손에 아무것도 잡지 않고 춘다.
|
'선유락'의 복식 관련 내용
*선유락(船遊樂)
|
'검기무'의 복식 관련 내용
*검기무(劍器舞)
|
'학무'의 복식 관련 내용
*학무(鶴舞)
|
권1 '의주'에 쓰여진 인물/복장/복식 관련 내용
만경전진찬의(萬慶殿進饌儀)
① 상침(尙寢)이 그 예속을 이끌고 대왕대비의 자리를 설치
大王大妃殿座於萬慶殿北壁南向
대왕대비전의 자리를 북벽에서 남향으로 설치한다.
寶案於座東, 香案二於殿外左右, 又設大次於萬慶殿東閤.
보안(寶案)을 자리에서 동쪽에 설치.
향안(香案)을 전 바깥 좌우에 설치.
대차(大次)를 만경전 동각에 설치한다.
② 여집사와 여관이 왕, 왕비, 왕세자, 왕세자빈의 자리를 설치
女執事設 殿下侍坐位, 於簾外, 東階上, 近東西向.
여집사가 전하의 자리를 주렴 바깥에, 동쪽 계단 위에, 동쪽에 가깝에 하고 서향하여 설치한다.
女官設 王妃侍坐位, 於殿內近西東向.
여관이 왕비의 자리를 주렴 안쪽에 서쪽 가깝게 하고 동향하여 설치한다.
女執事設 王世子侍坐位, 於 殿下座之南, 稍東西向.
여집사가 왕세자의 자리를 전하의 자리에서 남쪽에, 좀 더 동쪽에 서향하여 설치한다.
女官設 王世子嬪侍坐位, 於 王妃座之南, 稍西東向.
여관이 왕세자빈의 자리를 왕비의 자리에에서 남쪽에, 좀 더 서쪽에 동향하여 설치한다.
女執事設 殿下致詞箋文案, 於簾外東階上
여집사가 전하의 치사전문안을 주렴 바깥 동쪽 계단 위에 설치한다.
女官設 王妃致詞案, 於簾內西階上.
여관이 왕비의 치사안을 주렴 안 서쪽 계단 위에 설치한다.
女執事設 王世子致詞箋文案, 於 殿下致詞箋文案之東稍退.
여집사가 왕세자의 치사전문안을 전하의 치사전문안의 동쪽에서 조금 물러나서 설치한다.
女官設 王世子嬪致詞案, 於 王妃致詞案之西稍退.
여관이 왕세자빈의 치사안을 왕비의 치사안의 서쪽에서 조금 물러나서 설치한다.
掌樂院備樂, 陳呈才舞於殿之南階上.
작악원은 음악을 준비하고, 정재무를 전(殿)의 남쪽 계단 위에 설치한다.
設女執事擧麾位於殿之西階上, 近西東向.
여집사가 거휘(擧麾) 자리를 전(殿)의 서쪽 계단 위에서 서쪽에 가깝게 하고 동향하여 설치한다.
典賓設左右命婦侍位, 於簾內東西階上, 北向.
전빈이 좌우명부의 자리를 주렴 안 동쪽과 서쪽 계단 위에서 북향하여 설치한다.
女執事陳儀仗, 於殿門外及簾外階上東西, 如常.
여집사가 의장을 전(殿)의 문 바깥과 주렴 바깥의 계단 위 동쪽과 서쪽에 평상시와 같이 설치한다.
권1 '이문(移文)'에 쓰여진 인물/복장/복식 관련 내용
병술 10월 16일
(『(丁亥)進饌儀軌』 卷1 「移文」 057a, b)
(『(丁亥)進饌儀軌』 卷1 「移文」 058a, b)
… 今此進饌敎是時, 呈才中鶴舞所用靑鶴白鶴, 猝難自京措備乙仍于, 이번 진찬교에는 정재 가운데 학무에 소용되는 청학과 백학을 갑자기 서울에서 구하기 어려우므로, |
병술 10월 20일
今此進饌敎是時, 典樂樂工服飾新備物力自 戶曹上下事奉承下敎敎是置 依後錄件數磨鍊上下之地宜當【戶曹】 이번 진찬교에는 전악·악공 복식에 새로 갖출 물력을 호조에서 하교를 받들어 하고, 후록에 따라 건수를 마련한다.【호조】 |
권1 '내관(來關)'에 쓰여진 인물/복장/복식 관련 내용
병술 11월 11일
黃海道觀察使, 爲到付事, … 황해도 관찰사가 보낼 일은, …
|
병술 11월 13일
禮曹爲相考事節啓下敎曹單子今此內進饌敎是時習儀吉日令日官推擇則初度來正月初十日二度同月十 七日三度同月二十五日俱吉云以此日擧行而初二度 習儀則各日早朝進饌所堂郞俱以黑團領本所良中行禮爲白乎旀 三度習儀乙良依正日例萬慶殿行禮爲白乎矣
☞첫 번째 연습날: 정월 초 10일 |
병술 11월 20일
慶州府尹爲上送事節到付關內乙用良本府所在靑白鶴諸具樂工處準授上送事據到付
|
권2 '품목(稟目)'에 쓰여진 인물/복장/복식 관련 내용
병술 10월 28일
(『(丁亥)進饌儀軌』 卷2 「稟目」 004a, b)
(『(丁亥)進饌儀軌』 卷2 「稟目」 005a, b)
今此進饌敎是時舞鼓女伶所著服飾當爲磨鍊 금차진찬교이시무고여령소착복식당위마련 |
今此進饌敎是時呈才女伶三十六名所著服飾當爲製造 금차진찬교이시정재여령삼십육명소착복식당위제조 |
- 정재여령 1명의 복식에 소요되는 재료와 값
품목 | 색상 및 재료 | 소요량 | 값 |
---|---|---|---|
관 | 1냥 8전 | ||
꽃 | 1냥 | ||
상의 | 황색 초 | 17척 | 4냥 2전 5푼 |
치마 | 홍색 초 | 9척 5촌 | 2냥 2전 7푼 |
허리띠 | 홍색 공단 | 길이 7척, 너비 4촌 | 2냥 2전 |
허리띠 부금 | 금박 | 1속 | 2냥 |
한삼 | 오색 초 | 각 색 길이 1척, 너비 2촌 | 3전 8푼 |
총 합계 | 15냥 |
병술 11월 초 3일
今此進饌敎是時宣川女伶九名所著呈才服飾當爲製造矣 所入物力磨鍊後錄仰稟依此上下何如稟事據依稟 금차진찬교이시선천여령구명소착정재복식당위제조의 소입물력마련후록앙품의차상하하여품사거의품 |
- 선천여령 1명의 복식에 소요되는 재료의 값과 9명분의 총 합계
품목 | 색상 및 재료 | 소요량 | 값 |
---|---|---|---|
화관 | 비녀를 갖춤 | 16냥 5전 | |
홍색치마 | 설황초 | 11냥 | |
황단삼 | 설황초 | 25냥 | |
오색한삼 | 설황초 | 36냥 | |
홍색허리띠 | 공릉. 금박 | 25냥 | |
9명 복식 총 합계 | 1246냥 5전 |
☞위의 내용을 비교해보면, 병술 10월 28일에 서술한 정재여령 복식 값과 11월 초 3일에 서술한 선천여령 복식의 값이 심하게 차이난다.
(『(丁亥)進饌儀軌』 卷2 「稟目」 006a, b)
(『(丁亥)進饌儀軌』 卷2 「稟目」 007a, b)
今此進饌敎是時宣川女伶九名所著差僃服飾不可不自本所製造以給乙仍于所入物力及工錢後錄仰稟依上下何如稟事據依稟 금차진찬교이시선천여령구명소착차비복식불가불자본소제조이급을잉우소입물력급공전후록앙품의상하가여품사거의품 加里麻九件所入黑洋貢綾十尺價錢二十五兩【每尺二兩五錢】 表筒紙六張價錢九兩【每張一兩五錢】 紫芝纓九巨里價錢九錢【每巨里一錢】 白紙一卷價錢一兩四錢 白銅釵九柄價錢三十兩六錢【每柄三兩四錢】 絹莫只九件外拱次草綠八兩紬五十四尺價錢一百八十九兩【每尺三兩五錢】 巨等/乙只次白八兩紬六尺價錢二十一兩【每尺三兩五錢】 內拱次洋紗二十三尺價錢二十二兩【每尺九錢六分】 係次紫芝八兩紬三尺五寸價錢十二兩二錢五分【每尺三兩五錢】 工錢四十兩五錢 草綠鞋九部價錢四十九兩五錢【每部五兩五錢】 以上錢四百一兩一錢五分 |
- 선천여령 9명의 차비 복식에 소요되는 재료와 값
품목 | 색상 및 재료 | 소요량 | 값 |
---|---|---|---|
가리마 | 흑색 양공릉 | 10척 | 25냥(1척에 25전) |
표통지(가리마 부속) | 6장 | 9냥(1장에 1냥 5전) | |
끈(가리마 부속) | 자색 | 9거리 | 9전(1거리에 1전) |
백지(가리마 부속) | 1권 | 1냥 4전 | |
백동비녀 | 백동 | 30냥 6전(1병에 3냥 4전) | |
견마기 겉감 | 초록색 팔량주 | 54척 | 189냥(1척에 3냥 5전) |
견마기 안감 | 양사 | 23척 | 22냥(1척에 9전 6푼) |
거들지(견마기 부속) | 백색 팔량주 | 6척 | 21냥(1척에 3냥 5전) |
끈(견마기 부속) | 자색 팔량주 | 3척 5촌 | 13냥 2전 5푼(1척에 3냥 5전) |
초록혜 | 49냥 5전(1부에 5냥 5전) | ||
9명 복식 총 합계 | 401냥 1전 5푼 |
☞초록색 견마기 1건의 소요량은 6척, 값은 21냥이다.
☞위의 자료에서 10월 28일에 서술한 정재여령의 정재복식 황색상의(4냥 2전 5푼) 보다 11월 초 3일 선천여령 견마기 값(겉감만 21냥)이 훨씬 비싸게 나타난다.
今此進饌敎是時平壤童妓四名所著私服不可不自本所製造以給乙仍于所入物力及工錢後錄仰稟依此上下何如稟事據依稟 금차진찬교이시평양동기네명소착사복불가불자본소제조이급을잉우소입물력급공전후록앙품의차상하하여품사거의품 赤古里八件【每名二件】 外拱粉紅倭紬二十四尺【每件三尺】價錢六十兩【每尺二兩五錢】 內拱洋木九尺六寸【每件一尺二寸】價錢九兩六錢【每尺一兩】 藍裳四件【每名一件】三八紬四十八尺【每件十兩尺】價錢一百六十八兩【每尺三兩五錢】 腰及纓次洋木兩尺【每件五寸】價錢二兩【每尺一兩】 玉色裳四件【每名一件】綿紬五十六尺【每件十四尺】價錢六十四兩四錢【每尺一兩一錢五分】 腰及纓次洋木兩尺【每件五寸】價錢二兩【每尺一兩】 廣袴八件【每名二件】綿紬九十六尺【每件十兩尺】價錢一百十兩四錢【每尺一兩一錢五分】 腰及纓次洋四尺【每件五寸】價錢四兩【每尺一兩】 甲袴八件【每名二件】 外拱綿紬九十六尺【每件十兩尺】價錢一百十兩四錢【每尺一兩一錢五分】 內拱洋木四十尺【每件五尺】價錢四十兩【每尺一兩】 腰及纓次洋木四尺【每件五寸】價錢四兩【每尺一兩】 襪十二件【每名三件】 外拱白三升九尺六寸【每件八寸】價錢十兩【每尺一兩四分】 內拱白木十九尺二寸【每件一尺六寸】價錢九兩六錢【每尺五錢】 赤古里及甲袴與襪所入去核六斤價錢三十九兩【每斤六兩五錢】 搗砧及針工錢八十八兩六錢五分 油鞋四部【每名一部】價錢二十八兩【每部七兩】 手巾四件【每名一件】黃綿紬十尺【每件兩尺五寸】價錢十一兩【每尺一兩一錢】 以上錢七百六十一兩五分 |
- 평양동기 4명의 사복에 소요되는 재료와 값
품목 | 수량 | 색상 및 재료 | 소요량 | 값 |
---|---|---|---|---|
저고리(겉감) | 8건 | 분홍색 왜주 | 24척(1건에 3척) | 60냥(1척에 2냥 5전) |
저고리(안감) | 양목 | 9척 6촌(1건에 1척 2촌) | 9냥 6전(1척에 1냥) | |
남색치마 | 4건 | 남색 삼팔주 | 48척(1건에 12척) | 168냥(1척에 3냥 5전) |
남색치마의 허리끈 | 양목 | 2척(1건에 5촌) | 2냥(1척에 1냥) | |
옥색치마 | 4건 | 옥색 명주 | 56척(1건에 14척) | 64냥(1척에 1냥 1전 5푼) |
옥색치마의 허리끈 | 양목 | 2척(1건에 5촌) | 2냥(1척에 1냥) | |
너른바지 | 8건 | 명주 | 96척(1건에 12척) | 110냥 4전(1척에 1냥 1전 5푼) |
너른바지의 허리끈 | 양목 | 4척(1건에 5촌) | 4냥(1척에 1냥) | |
겹바지(겉감) | 8건 | 명주 | 96척(1건에 12척) | 110냥 4전(1척에 1냥 1전 5푼) |
겹바지(안감) | 양목 | 40척(1건에 5척) | 40냥(1척에 1냥) | |
겹바지의 허리끈 | 양목 | 4척(1건에 5촌) | 4냥(1척에 1냥) | |
버선(겉감) | 12건 | 백색 삼승 | 9척 6촌(1건에 8촌) | 10냥(1척에 1냥 4푼) |
버선(안감) | 백색 무명 | 19척 2촌(1건에 1척 6촌) | 9냥 6전(1척에 5전) | |
저고리·겹바지·버선 솜 | 6근 | 39냥(1근에 6냥 5전) | ||
유혜 | 4부 | 28냥(1부에 7냥) | ||
수건 | 4건 | 황색 명주 | 10척(1건에 2척 5촌) | 11냥(1척에 1냥 1전) |
4명 복식 총 합계 | 761냥 5푼 |
- 평양동기 사복을 통해 알 수 있는 재료별 가격
재료 | 단위 | 가격 | 사용된 품목 |
---|---|---|---|
유혜 | 1부 | 7냥 | 신발 |
솜 | 1근 | 6냥 5전 | 저고리, 겹바지, 버선 |
삼팔주 | 1척 | 3냥 5전 | 남색치마 |
왜주 | 1척 | 2냥 5전 | 저고리 겉감 |
명주 | 1척 | 1냥 1전 5푼 | 옥색치마, 너른바지, 겹바지 겉감 |
수건용 명주 | 1척 | 1냥 1전 | 수건 |
삼승 | 1척 | 1냥 4푼 | 버선 겉감 |
양목 | 1척 | 1냥 | 저고리·겹바지 안감, 남색치마·옥색치마·너른바지·겹바지 허리끈 |
무명 | 1척 | 5전 | 버선 안감 |
권2 '감결(甘結)'에 쓰여진 인물/복장/복식 관련 내용
병술 10월 15일
(『(丁亥)進饌儀軌』 卷2 「甘結」 023a, b)
(『(丁亥)進饌儀軌』 卷2 「甘結」 024a, b)
右甘結今二十日本所始役時各處所女伶盡數待令于 右營新營是矣預先修成冊來納爲旀等待時各其掌 領付事【內醫院尙衣院工曹】 右甘結本所女伶肄習自今二十日爲始右營新營良中 設行去乎善唱禮貌官率事書員逐日待令事【通禮院】 |
정해 정월 초 5일
右甘結今此進饌敎是時賜饌床擧行床排軍各一百名及所靑衣靑巾各二百件…
|
권2 '채화(綵花)'에 쓰여진 참여자 머리 꽃장식
(『(丁亥)進饌儀軌』 卷2 「綵花」 062a, b)
(『(丁亥)進饌儀軌』 卷2 「綵花」 063a, b)
絲圈花 四本 長一尺二寸 以銀爲跗 各色絨絲造花葉銀銅絲爲匡 사권화 4본, 길이 1척2촌, 은받침, 각색 융사로 조화와 잎을 만들고, 은·구리실로 고정한다.
|
권2 '기용(器用)'에 쓰여진 인물/복장/복식 관련 내용
본소(本所)에서 새로 준비할 물품
絲圈花銀簇四箇【合所入天銀二兩及匠料竝錢一百二十兩】 사권화 은족(받침) 4개【전체 소용은 천은(품질 좋은 은) 2냥과 장인에게 지급하는 돈 120냥】 |
주원숙설소의 소용(所用)
(『(丁亥)進饌儀軌』 卷2 「器用」 068a, b)
(『(丁亥)進饌儀軌』 卷2 「器用」 068a, b)
廚院熟設所所用 … 軍人所著靑衣靑巾各五十件【以上濟用監用後還下】… 주원숙설소 소용 … 군인이 입는 청의, 청건 각 50건【이상 제용감이며 사용 후 돌려보낸다】 |
권3 '의위(儀衛)'에 쓰여진 인물/복장/복식 관련 내용
내진찬시 시위 각 차비
內進饌時侍衛各差備 【啓請前導尙宮及都副執事·尙寢·典言·司贊·贊笏·典贊·典燈女官, |
☞ 여관 직무에 따른 복장
직무 | 복식 |
---|---|
계청, 전도상궁, 도집사, 부집사, 상침, 전언, 사찬, 찬홀, 전찬, 전등여관 | 어유미, 흑원삼, 남색치마, 남사상, 남색금수대, 홍색온혜 |
시위, 찬청승인, 전인상궁, 상식, 상사, 상찬, 상기, 전식, 상인, 사인, 전빈, 전선, 각 차비여관 | 어유미, 초록원삼, 남색치마, 홍사상, 남색금수대, 홍색온혜 |
차비 여령 | 화관, 황초삼, 남색치마, 홍초상, 홍단금루수대, 오색한삼, 초록혜 |
문외의장 봉지비자 | 가리마, 초록당의, 남색치마, 흰색한삼, 흑혜 |
만경전진찬 때 대왕대비전 시위 및 각 차비
大王大妃殿 啓請尙儀一, |
역할 | 직위 | 인원 | 인명 | 비고 |
---|---|---|---|---|
계청 | 상의 | 1 | ||
좌우찬례 | 상궁 | 2 | ||
시위 | 상궁 | 2 | ||
보차비 | 1 | |||
산선차비 | 2 | |||
향꽂이차비 | 2 | |||
노연승차비 | 2 | |||
수주정 겸 다정차비 | 상식 | 1 | ||
진휘건차비 | 상식 | 1 | 진시접 겸행 | |
진어찬차비 | 상식 | 2 | ||
진수작차비 | 상식 | 1 | ||
진다차비 | 상식 | 1 | 진수작차비를 겸함 | |
선교차비 | 1 | 계청상의 겸함 | ||
사주차비 | 상식 | 1 | ||
도 | 집사 | 1 | ||
부 | 집사 | 1 | 선교차비 겸함 | |
사찬 | 1 | 도집사 겸함 | ||
전찬 | 2 | |||
내빈반화때 창명차비 | 1 | |||
상침 | 1 | |||
치사전문함봉입차비 | 상기 | 1 | ||
총 | 28 | 이상 여관 각 차비 28인. 모두 발 안에서 거행. | ||
총 | 24 | ※ 3인의 겸행이 있음. 총 24인. |
奉揮巾差備一 【花仙】 奉御饌差備二 【洞庭月•花仙•傳捧女官】 |
역할 | 직위 | 인원 | 인명 | 비고 |
---|---|---|---|---|
봉휘건차비 | 1 | 화선 | ||
봉어찬차비 | 2 | 동정월, 화선 | 전봉여관 | |
창명차비 | 2 | 혜옥, 부용 | 외빈 반화시 | |
풍선차비 | 2 | 롱주, 소향 | ||
작선차비 | 2 | 월선, 기월 | ||
홍개차비 | 1 | 설화 | ||
청개차비 | 1 | 학선 | 婢子奉持傳捧女伶 비자가 전봉여령으로 봉지한다 | |
총 | 11 | 이상 여령 각 차비 11인. 모두 발 밖에서 거행. | ||
총 | 10 | ※ 1인의 겸행이 있음. 총 10인. |
陽繖差備一, 金罐子差備二, |
역할 | 직위 | 인원 | 인명 | 비고 |
---|---|---|---|---|
양산차비 | 1 | |||
금관자차비 | 2 | |||
은관자차비 | 1 | |||
모절차비 | 1 | |||
정차비 | 1 | |||
총 | 6 | 이상 비자 각 차비 12인. 모두 문 밖에서 봉지. | ||
총 | 12 |
만경전진찬 때 대전 시위 및 각 차비
(『(丁亥)進饌儀軌』 卷3 「儀衛」 014a, b)
(『(丁亥)進饌儀軌』 卷3 「儀衛」 014a, b)
大殿 承導尙宮二, |
역할 | 직위 | 인원 | 인명 | 비고 |
---|---|---|---|---|
승도 | 상궁 | 2 | ||
시위 | 상궁 | 2 | 이상 여관 각 차비 4인. 모두 발 안에서 거행. | |
계청차비 | 1 | 연심 | ||
전도차비 | 2 | 채봉, 봉심 | ||
시위 | 6 | 화향, 연홍, 행화, 금운, 선희, 난향 | ||
산선차비 | 2 | 금선, 춘운 | ||
일산차비 | 1 | 도화 | ||
계자차비 | 1 | 금화 | ||
주정겸다정차비 | 1 | 금희 | 금희가 진다를 겸행. | |
진휘건겸진시접진화차비 | 1 | 난향 | 난향이 시위를 겸행. | |
봉어찬차비 | 2 | 연심, 금희 | 연심이 계청 겸행. 금희가 주정 겸행. | |
진어찬차비 | 2 | 선희, 난향 | 선희, 난향이 시위 겸행. | |
홀기차비 | 2 | 옥진, 명희 | ||
동서창 | 2 | 금홍, 정희 | ||
집사 | 2 | 명희, 운향 | 명희가 홀기를 겸행. | |
대치사독전문차비 | 1 | 소월 | ||
전전문차비 | 2 | 연심, 금희 | 연심은 계청 겸행. 금희는 주정 겸행. | |
배치사전문함겸승교차비 | 1 | 소월 | 소월이 대치사를 겸행. | |
총 | 29 | 이상 여령 각 차비 29명. 모두 발 밖에서 거행 | ||
총 | 24 | ※ 겸행이 있음. 총 24인. |
☞만경전진찬 때 대전의 '시위 각 차비' 중에 주렴 밖에서 활동한 인물을 중심으로 직무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이름 | 직무 |
---|---|
금선 | 산선차비 |
금운 | 시위 |
금홍 | 동서창 |
금화 | 계자치비 |
금희 | 주정겸다정차비, 봉어찬차비, 전전문차비 |
난향 | 시위, 진휘건 겸 진시접 진화차비, 진어찬차비 |
도화 | 일산차비 |
명희 | 홀기차비, 집사 |
봉심 | 전도차비 |
선희 | 시위, 진어찬차비 |
소월 | 대치사독전문차비, 배치사전문함 겸 승교차비 |
연심 | 계청차비, 봉어찬차비, 전전문차비 |
연홍 | 시위 |
옥진 | 홀기차비 |
운향 | 집사 |
정희 | 동서창 |
채봉 | 전도차비 |
춘운 | 산선차비 |
행화 | 시위 |
화향 | 시위 |
만경전진찬 때 중궁전 시위 및 각 차비
中宮殿 啓請尙宮一, |
역할 | 직위 | 인원 | 인명 | 비고 |
---|---|---|---|---|
계청 | 상궁 | 1 | ||
전도 | 상궁 | 2 | ||
시위 | 상궁 | 2 | ||
산선차비 | 2 | |||
양산차비 | 1 | |||
주정겸다정차비 | 상식 | 1 | ||
진어찬차비 | 상식 | 2 | ||
진화찬차비 | 상식 | 1 | ||
진휘건차비 | 상식 | 1 | 진화차비가 겸함. | |
진다차비 | 상식 | 1 | 진시접을 겸함. | |
대치사차비 | 전언 | 1 | ||
승교차비 | 1 | 계청상궁이 겸함. | ||
총 | 16 | 이상 여관 각 차비 16인. 모두 발 안에서 거행. | ||
총 | 14 | ※ 겸행이 있음. 총 14인. |
奉御饌差備二 【竹葉•雪花, 簾外擧行】 주렴 밖에서 거행 |
역할 | 직위 | 인원 | 인명 | 비고 |
---|---|---|---|---|
봉어찬차비 | 2 | 죽엽, 설화 | 발 밖에서 거행. |
만경전진찬 때 세자궁 시위 및 각 차비
世子宮承導尙宮二, 陪衛尙宮二, 以上女官各差備四人【竝簾內擧行】
|
역할 | 직위 | 인원 | 인명 | 비고 |
---|---|---|---|---|
승도 | 상궁 | 2 | ||
배위 | 상궁 | 2 | 이상 여관 각 차비 4인. 모두 발 안에서 거행. |
贊請差備一【映珠】 前導差備二【蓮心·小濤】 |
역할 | 직위 | 인원 | 인명 | 비고 |
---|---|---|---|---|
찬청차비 | 1 | 영주 | ||
전도차비 | 2 | 연심, 소도 | ||
배위 | 6 | 경옥, 옥향, 행화, 채운, 옥계, 화용 | ||
산선차비 | 1 | 학희 | ||
산선차비 | 1 | 계선 | ||
일산차비 | 1 | 란희 | ||
달자차비 | 1 | 채희 | ||
주정겸다정차비 | 1 | 산홍 | 진다를 겸행 | |
진휘건 겸 진시접 진화차비 | 1 | 화용 | 배위를 겸행 | |
봉예찬차비 | 2 | 영주, 산홍 | 영주가 찬청을 겸행. 산흥이 주정을 겸행 | |
진예찬차비 | 2 | 채운, 화용 | 배위를 겸행 | |
대치사독전문차비 | 1 | 화선 | ||
전전문차비 | 2 | 영주, 산홍 | 영주가 찬청을 겸행. 산흥이 주정을 겸행 | |
배치사전문함 겸 승령차비 | 1 | 화선 | 대치사 겸행 | |
총 | 23 | 이상 여령 각 차비 23인. 모두 발 밖에서 거행. | ||
총 | 15 | ※ 겸행 있음. 총 15인 |
만경전진찬 때 세자빈궁 시위 및 각 차비
世子嬪宮 贊請尙宮一, |
역할 | 직위 | 인원 | 인명 | 비고 |
---|---|---|---|---|
찬청 | 상궁 | 1 | ||
전인 | 상궁 | 2 | ||
배위 | 상궁 | 2 | ||
산선차비 | 2 | |||
주정겸 다정차비 | 1 | |||
진예찬차비 | 2 | |||
진화차비 | 1 | |||
진휘건차비 | 1 | 진화차비 겸행 | ||
진다차비 | 1 | 진시접 겸행 | ||
대치사차비 | 1 | |||
승령차비 | 1 | 찬청상궁 겸행 | ||
총 | 15 | 이상 15인. 모두 발 안에서 거행 | ||
총 | 13 | ※ 겸행 있음. 총 13인 |
奉睿饌差備二 【鶴仙•月仙, 簾外擧行】
|
역할 | 직위 | 인원 | 인명 | 비고 |
---|---|---|---|---|
봉예찬차비 | 1 | 월선 | ||
봉예찬차비 | 1 | 학선 | ||
총 | 2 | 발 밖에서 거행 |
만경전진찬 때 좌우명부 시위 및 각 차비
左右命婦 典賓二, |
역할 | 직위 | 인원 | 인명 | 비고 |
---|---|---|---|---|
전빈 | 2 | |||
반화차비 | 전식 | 2 | ||
주탁겸선찬행주차비 | 전선 | 4 | ||
대치사차비 | 전언 | 2 | ||
배치사차비 | 2 | |||
12 | 이상 12인. 모두 발 안에서 거행 |
饌床差備八 【洞庭月·竹葉·鶴仙·桃花·雪花·桂蟾·月仙·蘭喜】
|
역할 | 직위 | 인원 | 인명 | 비고 |
---|---|---|---|---|
찬상차비 | 2 | 도화, 월선 | ||
찬상차비 | 6 | 동정월, 죽엽, 학선, 설화, 계섬, 란희 | ||
8 |
만경전진찬 때 종친·의빈·척신·진찬소 당낭 시위 및 각 차비
宗親·儀賓·戚臣·進饌堂郞 引接二 【月仙·竹葉】 |
역할 | 직위 | 인원 | 인명 | 비고 |
---|---|---|---|---|
인접 | 2 | 월선, 죽엽 | ||
외창 | 2 | 혜옥, 부용 | ||
반화차비 | 2 | 혜옥, 부용 | ||
대치사차비 | 2 | 화선, 소월 | ||
배치사차비 | 1 | 동정월 | ||
주탁겸행주차비 | 4 | 동정월, 죽엽, 월선, 학선 | ||
총 | 13 | 이상 여령 각 차비 13인 | ||
총 | 8 | ※ 겸행 있음. 총 8인 |
☞'여령 각 차비'의 인물별 역할을 표로 정리했다.
☞만경전진찬에서 정재여령 역할을 겸한 인물은 노란색으로 표시.
이름 | 역할 |
---|---|
동정월 | 배치사차비, 주탁겸행주차비 |
죽엽 | 인접, 주탁겸행주차비 |
학선 | 주탁겸행주차비 |
부용 | 외창, 반화차비 |
소월 | 대치사차비 |
월선 | 인접, 주탁겸행주차비 |
혜옥 | 외창, 반화차비 |
화선 | 대치사차비 |
권3 '내외빈(內外賓)' 명단
권3 '공령(工伶)'에 쓰여진 인물/복장/복식 관련 내용
진찬시 악사와 악공의 복장
【進饌時, 軒架執事樂師, 戴紗帽, 蓍黑團領, 隨品帶, 黑靴, |
구분 | 인물 | 쓰개 | 옷 | 허리띠 | 신발 |
---|---|---|---|---|---|
헌가 | 집사악사 | 사모 | 흑단령 | 품대 | 흑화 |
헌가 | 집박전악 | 모라복두 | 녹초삼(안 남색주) | 야대 | 흑화 |
헌가 | 악공 | 화화복두 | 홍주의 | 오정대 | 흑화 |
전상 | 집사악사 | 사모 | 흑단령 | 품대 | 흑화 |
전상 | 집박전악 | 모라복두 | 녹초삼(안 남색주) | 야대 | 흑화 |
전상 | 대오전악 | 모라복두 | 녹초삼(안 남색주) | 야대 | 흑화 |
전상 | 권저전악 | 모라복두 | 녹초삼(안 남색주) | 야대 | 흑화 |
전상 | 악공 | 화화복두 | 홍주의(안 남색주) | 오정대 | 흑화 |
진찬시 정재여령, 동기, 무동의 복장
各舞呈才女伶, 戴花冠, 著黃綃單衫, 裏藍色裳, 表紅綃裳, 紅緞金縷繡帶, 繫五色汗衫, 草綠鞋, 각 무 정재여령, 화관, 황초단삼, 안 남색상, 겉 홍초상, 홍단금루수대, 오색한삼, 초록혜 |
구분 | 쓰개 | 상의 | 안치마 | 겉치마 | 허리띠 | 신발 | 기타 |
---|---|---|---|---|---|---|---|
기본 정재여령 복장 | 화관-여령 | 황초단삼 | 남색치마 | 홍초상 | 홍단금루수대 | 초록혜 | 오색한삼 |
향령무 | 화관-여령 | 황초단삼 | 남색치마 | 홍초상 | 홍단금루수대 | 초록혜 | 홍색한삼 |
가인전목단 | 화관-여령 | 황초단삼 | 남색치마 | 홍초상 | 홍단금루수대 | 초록혜 | 옥색한삼 |
무산향 | 화관-무산향 | 홍갑사착수의, 녹갑사쾌자 |
남색치마 | 홍초상 | 남색전대 | 진홍단혜 | 오색한삼, 금가자 |
무고 | 화관-여령 | 황초단삼, 청색·적색·백색·유록색쾌자 |
남색치마 | 홍초상 | 홍단금루수대 | 초록혜 | 오색한삼 |
춘앵전 | 화관-춘앵전 | 황초단삼-춘앵전 | 남색치마 | 홍초상 | 홍단금루수대 | 진홍단혜 | 오색한삼, 홍금수구, 초록하피 |
첨수무 | 화관-여령 | 황초단삼 | 남색치마 | 홍초상 | 홍단금루수대 | 초록혜 | 오색한삼, 홍단첨수 |
검기무 | 산홍모전립 | 금화협수, 아청색전복 |
남색치마 | 홍초상 | 남색전대 | 초록혜 | 무도(무용 검) |
선유락집사 | 주립 (호수, 밀화갓끈) |
남사철릭 | 남색치마 | 홍초상 | 진홍광대 | 흑단수화자 | 통개, 검, 주칠등편 |
선유락동기 | 화관-선유락동기 | 초록갑사단의 | 홍주말군 | 홍사상 | 홍단수대 | 홍단수초혜 (연화대무 동기와 같다) |
|
연화대무 동기 | 합립 (동령, 유소, 황색·홍색 장미) |
초록단의 | 홍색말군 | 홍라상 | 금화홍라대 | 홍단수초혜 | 옥색한삼 |
학무 | 청학, 백학 | 학의 | 학말(학 버선) | 청색·황색 바지 |
만경전진찬시 전상악차비 및 정재여령 각 차비
이름 | 역할 |
---|---|
부용-芙蓉 | 만경전진찬 가인전목단 우무 여령 |
연화-蓮花 | 만경전진찬 가인전목단 우무 여령 |
채봉-彩鳳 | 만경전진찬 가인전목단 우무 여령 |
행화-杏花 | 만경전진찬 가인전목단 우무 여령 |
혜옥-蕙玉 | 만경전진찬 가인전목단 우무 여령 |
화향-花香 | 만경전진찬 가인전목단 우무 여령 |
도화-桃花 | 만경전진찬 가인전목단 좌무 여령 |
봉심-鳳心 | 만경전진찬 가인전목단 좌무 여령 |
선희-仙喜 | 만경전진찬 가인전목단 좌무 여령 |
소월-小月 | 만경전진찬 가인전목단 좌무 여령 |
정희-貞喜 | 만경전진찬 가인전목단 좌무 여령 |
채운-彩雲 | 만경전진찬 가인전목단 좌무 여령 |
동정월-洞庭月 | 만경전진찬 대왕대비전 주렴 밖 봉어찬 차비 |
화선-花仙 | 만경전진찬 대왕대비전 주렴 밖 봉어찬 차비 |
화선-花仙 | 만경전진찬 대왕대비전 주렴 밖 봉휘건 차비 |
기월-琪月 | 만경전진찬 대왕대비전 주렴 밖 작선 차비 |
월선-月仙 | 만경전진찬 대왕대비전 주렴 밖 작선 차비 |
부용-芙蓉 | 만경전진찬 대왕대비전 주렴 밖 창명 차비 |
혜옥-蕙玉 | 만경전진찬 대왕대비전 주렴 밖 창명 차비 |
학선-鶴仙 | 만경전진찬 대왕대비전 주렴 밖 청개 차비 |
롱주-弄珠 | 만경전진찬 대왕대비전 주렴 밖 풍선 차비 |
소향-小香 | 만경전진찬 대왕대비전 주렴 밖 풍선 차비 |
설화-雪花 | 만경전진찬 대왕대비전 주렴 밖 홍개 차비 |
금화-錦花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계자 차비 |
연심-蓮心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계청 차비 |
소월-小月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대치사독전문 차비 |
금홍-錦紅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동서창 |
정희-貞喜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동서창 |
소월-小月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배치사전문함겸승교 차비 |
금희-錦喜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봉어찬 차비 |
연심-蓮心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봉어찬 차비 |
금선-錦仙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산선 차비 |
춘운-春雲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산선 차비 |
금운-錦雲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시위 |
난향-蘭香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시위 |
선희-仙喜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시위 |
연홍-姸紅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시위 |
행화-杏花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시위 |
화향-花香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시위 |
도화-桃花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일산 차비 |
봉심-鳳心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전도 차비 |
채봉-彩鳳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전도 차비 |
금희-錦喜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전전문 차비 |
연심-蓮心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전전문 차비 |
금희-錦喜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주정겸다정 차비 |
난향-蘭香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진어찬 차비 |
선희-仙喜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진어찬 차비 |
난향-蘭香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진휘건겸진시접진화 차비 |
명희-明喜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집사 |
운향-雲香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집사 |
명희-明喜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홀기 차비 |
옥진-玉眞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홀기 차비 |
운향-雲香 | 만경전진찬 몽금척 봉금척 여령 |
화향-花香 | 만경전진찬 몽금척 봉족자 여령 |
금화-錦花 | 만경전진찬 몽금척 봉죽간자 여령 |
채희-彩喜 | 만경전진찬 몽금척 봉죽간자 여령 |
봉심-鳳心 | 만경전진찬 몽금척 봉황개 여령 |
명희-明喜 | 만경전진찬 몽금척 우무 여령 |
산홍-山紅 | 만경전진찬 몽금척 우무 여령 |
소월-小月 | 만경전진찬 몽금척 우무 여령 |
연화-蓮花 | 만경전진찬 몽금척 우무 여령 |
정희-貞喜 | 만경전진찬 몽금척 우무 여령 |
화선-花仙 | 만경전진찬 몽금척 우무 여령 |
금홍-錦紅 | 만경전진찬 몽금척 좌무 여령 |
도화-桃花 | 만경전진찬 몽금척 좌무 여령 |
옥진-玉眞 | 만경전진찬 몽금척 좌무 여령 |
옥향-玉香 | 만경전진찬 몽금척 좌무 여령 |
채봉-彩鳳 | 만경전진찬 몽금척 좌무 여령 |
혜옥-蕙玉 | 만경전진찬 몽금척 좌무 여령 |
금홍-錦紅 | 만경전진찬 무고 원무 여령 |
옥진-玉眞 | 만경전진찬 무고 원무 여령 |
채봉-彩鳳 | 만경전진찬 무고 원무 여령 |
화선-花仙 | 만경전진찬 무고 원무 여령 |
봉심-鳳心 | 만경전진찬 무고 협무 여령 |
연화-蓮花 | 만경전진찬 무고 협무 여령 |
옥향-玉香 | 만경전진찬 무고 협무 여령 |
화향-花香 | 만경전진찬 무고 협무 여령 |
금홍-錦紅 | 만경전진찬 무산향 무 여령 |
봉심-鳳心 | 만경전진찬 보상무 봉필 여령 |
화향-花香 | 만경전진찬 보상무 봉화 여령 |
정희-貞喜 | 만경전진찬 보상무 우무 여령 |
채희-彩喜 | 만경전진찬 보상무 우무 여령 |
화선-花仙 | 만경전진찬 보상무 우무 여령 |
금화-錦花 | 만경전진찬 보상무 좌무 여령 |
산홍-山紅 | 만경전진찬 보상무 좌무 여령 |
채봉-彩鳳 | 만경전진찬 보상무 좌무 여령 |
월선-月仙 | 만경전진찬 선유락 거범 여령 |
기월-琪月 | 만경전진찬 선유락 거정 여령 |
경옥-瓊玉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금운-錦雲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금홍-錦紅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금화-錦花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금희-錦喜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난향-蘭香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도화-桃花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봉심-鳳心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부용-芙蓉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산홍-山紅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선희-仙喜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소도-小濤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소월-小月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연심-蓮心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연홍-姸紅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연화-蓮花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옥진-玉眞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옥향-玉香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정희-貞喜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채봉-彩鳳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채운-彩雲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채희-彩喜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행화-杏花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행화-杏花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혜옥-蕙玉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화선-花仙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화용-花容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화향-花香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금선-錦仙 | 만경전진찬 선유락 예선 여령 |
영주-映珠 | 만경전진찬 선유락 예선 여령 |
옥계-玉桂 | 만경전진찬 선유락 예선 여령 |
춘운-春雲 | 만경전진찬 선유락 예선 여령 |
학희-鶴喜 | 만경전진찬 선유락 예선 여령 |
향매-香梅 | 만경전진찬 선유락 예선 여령 |
기월-琪月 | 만경전진찬 선유락 집노 여령 |
월선-月仙 | 만경전진찬 선유락 집노 여령 |
명희-明喜 | 만경전진찬 선유락 집사 여령 |
운향-雲香 | 만경전진찬 선유락 집사 여령 |
채희-彩喜 |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달자 차비 |
화선-花仙 |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대치사독전문 차비 |
경옥-瓊玉 |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배위 |
옥계-玉桂 |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배위 |
옥향-玉香 |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배위 |
채운-彩雲 |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배위 |
행화-杏花 |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배위 |
화용-花容 |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배위 |
화선-花仙 |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배치사전문함겸승령 차비 |
산홍-山紅 |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봉예찬 차비 |
영주-映珠 |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봉예찬 차비 |
계섬-桂蟾 |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산선 차비 |
학희-鶴喜 |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산선 차비 |
란희-蘭喜 |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일산 차비 |
소도-小濤 |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전도 차비 |
연심-蓮心 |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전도 차비 |
산홍-山紅 |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전전문 차비 |
영주-映珠 |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전전문 차비 |
산홍-山紅 |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주정겸다정 차비 |
채운-彩雲 |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진예찬 차비 |
화용-花容 |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진예찬 차비 |
화용-花容 |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진휘건겸진시접진화 차비 |
영주-映珠 |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찬청 차비 |
월선-月仙 | 만경전진찬 세자빈궁 주렴 밖 봉예찬 차비 |
학선-鶴仙 | 만경전진찬 세자빈궁 주렴 밖 봉예찬 차비 |
연화-蓮花 | 만경전진찬 수연장 봉죽간자 여령 |
행화-杏花 | 만경전진찬 수연장 봉죽간자 여령 |
명희-明喜 | 만경전진찬 수연장 우무 여령 |
소월-小月 | 만경전진찬 수연장 우무 여령 |
정희-貞喜 | 만경전진찬 수연장 우무 여령 |
화선-花仙 | 만경전진찬 수연장 우무 여령 |
금홍-錦紅 | 만경전진찬 수연장 좌무 여령 |
산홍-山紅 | 만경전진찬 수연장 좌무 여령 |
옥진-玉眞 | 만경전진찬 수연장 좌무 여령 |
혜옥-蕙玉 | 만경전진찬 수연장 좌무 여령 |
연화-蓮花 | 만경전진찬 아박 우무 여령 |
행화-杏花 | 만경전진찬 아박 우무 여령 |
난향-蘭香 | 만경전진찬 아박 좌무 여령 |
소도-小濤 | 만경전진찬 아박 좌무 여령 |
연화-蓮花 | 만경전진찬 연백복지무 봉죽간자 여령 |
행화-杏花 | 만경전진찬 연백복지무 봉죽간자 여령 |
혜옥-蕙玉 | 만경전진찬 연백복지무 선모 여령 |
산홍-山紅 | 만경전진찬 연백복지무 우무 여령 |
정희-貞喜 | 만경전진찬 연백복지무 우무 여령 |
소월-小月 | 만경전진찬 연백복지무 좌무 여령 |
화선-花仙 | 만경전진찬 연백복지무 좌무 여령 |
연화-蓮花 | 만경전진찬 장생보연지무 봉죽간자 여령 |
행화-杏花 | 만경전진찬 장생보연지무 봉죽간자 여령 |
금홍-錦紅 | 만경전진찬 장생보연지무 선모 여령 |
산홍-山紅 | 만경전진찬 장생보연지무 우무 여령 |
혜옥-蕙玉 | 만경전진찬 장생보연지무 우무 여령 |
도화-桃花 | 만경전진찬 장생보연지무 좌무 여령 |
옥진-玉眞 | 만경전진찬 장생보연지무 좌무 여령 |
향매-香梅 | 만경전진찬 전상 거휘 차비 |
산홍-山紅 | 만경전진찬 전상 선창악장 차비 |
소월-小月 | 만경전진찬 전상 선창악장 차비 |
소월-小月 | 만경전진찬 전상 어혁장 차비 |
운향-雲香 | 만경전진찬 전상 어혁장 차비 |
도화-桃花 | 만경전진찬 전상 집박 차비 |
산홍-山紅 | 만경전진찬 전상 후창악장 차비 |
소월-小月 | 만경전진찬 전상 후창악장 차비 |
소월-小月 | 외빈 대치사 차비 |
화선-花仙 | 외빈 대치사 차비 |
부용-芙蓉 | 외빈 반화 차비 |
혜옥-蕙玉 | 외빈 반화 차비 |
동정월-洞庭月 | 외빈 배치사 차비 |
부용-芙蓉 | 외빈 외창 |
혜옥-蕙玉 | 외빈 외창 |
월선-月仙 | 외빈 인접 |
죽엽-竹葉 | 외빈 인접 |
동정월-洞庭月 | 외빈 주탁겸행주 차비 |
월선-月仙 | 외빈 주탁겸행주 차비 |
죽엽-竹葉 | 외빈 주탁겸행주 차비 |
학선-鶴仙 | 외빈 주탁겸행주 차비 |
계섬-桂蟾 | 만경전진찬 내빈 찬상 차비 |
도화-桃花 | 만경전진찬 내빈 찬상 차비 |
동정월-洞庭月 | 만경전진찬 내빈 찬상 차비 |
란희-蘭喜 | 만경전진찬 내빈 찬상 차비 |
설화-雪花 | 만경전진찬 내빈 찬상 차비 |
월선-月仙 | 만경전진찬 내빈 찬상 차비 |
죽엽-竹葉 | 만경전진찬 내빈 찬상 차비 |
학선-鶴仙 | 만경전진찬 내빈 찬상 차비 |
설화-雪花 | 만경전진찬 중궁전 주렴 밖 봉어찬 차비 |
죽엽-竹葉 | 만경전진찬 중궁전 주렴 밖 봉어찬 차비 |
채봉-彩鳳 | 만경전진찬 첨수무 우무 여령 |
화선-花仙 | 만경전진찬 첨수무 우무 여령 |
금홍-錦紅 | 만경전진찬 첨수무 좌무 여령 |
옥진-玉眞 | 만경전진찬 첨수무 좌무 여령 |
정희-貞喜 | 만경전진찬 향령무 우무 여령 |
채희-彩喜 | 만경전진찬 향령무 우무 여령 |
운향-雲香 | 만경전진찬 향령무 전무 여령 |
금화-錦花 | 만경전진찬 향령무 좌무 여령 |
소월-小月 | 만경전진찬 향령무 좌무 여령 |
산홍-山紅 | 만경전진찬 향령무 후무 여령 |
연화-蓮花 | 만경전진찬 헌선도 봉반 여령 |
금화-錦花 | 만경전진찬 헌선도 봉죽간자 여령 |
채희-彩喜 | 만경전진찬 헌선도 봉죽간자 여령 |
봉심-鳳心 | 만경전진찬 헌선도 봉탁 여령 |
화향-花香 | 만경전진찬 헌선도 봉탁 여령 |
도화-桃花 | 만경전진찬 헌선도 선모 여령 |
화선-花仙 | 만경전진찬 헌선도 우무 여령 |
옥진-玉眞 | 만경전진찬 헌선도 좌무 여령 |
권3 '악기풍물(樂器風物)'에 쓰여진 복식의 소요량
향발, 향령, 청학, 황학
(『(丁亥)進饌儀軌』 卷3 「樂器風物」 031a, b)
響鈸四雙【前排仍用】 향발 4쌍【이전에 쓰던 것을 그대로 쓴다】 |
가인전목단 차비의 복식 및 소품
(『(丁亥)進饌儀軌』 卷3 「樂器風物」 033a, b)
佳人剪牧丹差備 所著汗衫八件 所入玉色禾紬 三十六尺 貿用 가인전목단 차비가 착용하는 한삼 8건에는 옥색화주 36척을 사서 쓴다. |
선유락 집사차비의 복식 및 소품
(『(丁亥)進饌儀軌』 卷3 「樂器風物」 033a, b)
(『(丁亥)進饌儀軌』 卷3 「樂器風物」 034a, b)
船遊樂執事差備 所著服飾二件 所入 선유락 집사차비가 착용하는 복식 2건의 소입으로 |
선유락 동기의 복식 및 소품
(『(丁亥)進饌儀軌』 卷3 「樂器風物」 034a, b)
(『(丁亥)進饌儀軌』 卷3 「樂器風物」 035a, b)
童妓所著服飾 二件 所入 동기 복식 2건 소입 |
무고 차비의 복식 및 소품
(『(丁亥)進饌儀軌』 卷3 「樂器風物」 035a, b)
舞鼔 差備 所著 服飾 四件 所入 무고 차비가 입는 복식 4건 소입 ○實入 |
검기무 차비의 복식 및 소품
(『(丁亥)進饌儀軌』 卷3 「樂器風物」 035a, b)
劍器舞 差僃 所著 服飾 四件 所入 검기무 차비가 착용하는 복식 4건 소입 |
향령무 차비의 복식 및 소품
(『(丁亥)進饌儀軌』 卷3 「樂器風物」 036a, b)
響鈴舞 差備 所著 汗衫 六件 所入【紅禾紬 二十五尺 貿用】 향령무 차비가 착용하는 한삼 6건 소입【홍색화주 25척. 사서 사용】 |
연화대무 동기의 복식 및 소품
(『(丁亥)進饌儀軌』 卷3 「樂器風物」 036a, b)
蓮花臺舞 童妓 所著 服飾 二件 所入 연화대무 동기의 복식 2건 소입 |
첨수무 차비의 복식 및 소품
(『(丁亥)進饌儀軌』 卷3 「樂器風物」 036a, b)
尖袖舞 差備 所著 尖袖 四雙 所入
紅佛手緞 兩尺 價錢 三十兩六錢【每尺 十五兩三錢】 첨수무 차비가 착용하는 첨수 4쌍 소입 홍색불수단 2척 값 30냥6전【매 척 15냥3전】 以上 所入 錢 內下
이상 소입 전 내하
|
전악 복식 및 소품
(『(丁亥)進饌儀軌』 卷3 「樂器風物」 036a, b)
典樂 所著 服飾 六件 所入 전악이 입는 복식 6건 소입 |
전상 공인 복식 및 소품
(『(丁亥)進饌儀軌』 卷3 「樂器風物」 036a, b)
(『(丁亥)進饌儀軌』 卷3 「樂器風物」 037a, b)
殿上 工人 所著 服飾 五十件 所入 전상 공인이 입는 복식 50건 소입 |
헌가 악공 복식 및 소품
(『(丁亥)進饌儀軌』 卷3 「樂器風物」 037a, b)
軒架 樂工 所著 服飾 四十件 所入 헌가 악공이 입는 복식 40건 소입 |
반차도에 그려진 인물의 위치
도식에 그려진 인물의 위치와 복장/복식
도병에 그려진 인물의 위치와 복장/복식
상방정례에 규정된 왕실인원의 복식
유물
참여자의 복식
참고자료
- ↑ 한복려·이효지·정길자, 『고종 정해년 진찬의궤』, 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09, 212쪽.
- 원문사진출처: "進饌儀軌(奎14412)",
『규장각 원문검색서비스』online , 규장각한국학연구원.